$\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알루미늄 기지 자동차에 쓰이는 탄소강 리벳과 그라파이트간의 갈바닉 부식 방지 연구
Study on Prevention of Galvanic Corrosion between Carbon Steel Rivets and Graphite Used in Aluminum Matrix Automobiles 원문보기

Corrosion science and technology, v.16 no.3, 2017년, pp.128 - 140  

서동일 (국민대학교 공과대학 신소재공학부) ,  이재봉 (국민대학교 공과대학 신소재공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uminum alloy matrix may be used for manufacturing lighter automobiles. However, galvanic corrosion may occur between the rivet joint combining aluminum alloy matrix and a CFRP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laminate. The possibility of galvanic corrosion may be investigated by measuring galvan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실험에서는 CFRP와 알루미늄 합금을 리벳으로 체결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CFRP의 주 성분인 그라파이트와 리벳 재료 그리고 알루미늄 합금기지와 리벳 재료 간의 갈바닉 전류밀도를 직접 측정하였다. 갈바닉 계열에서 그라파이트의 전위는 보다 매우 높은 귀방향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실제 CFRP의 경우 좀더 가혹하다고 할 수 있으며 이 실험 결과로 니켈 도금을 한 탄소강과 316L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 강으로 탄소강을 대체한 경우를 각각 비교하여 그라파이트와 리벳 재료 간의 갈바닉 부식에 대한 개선 효과를 확인 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갈바닉 계열을 이용하여 탄소강 리벳과 CFRP를 모사한 그라파이트 와의 갈바닉 부식을 완화하기 위하여 갈바닉 계열에서 탄소강과 그라파이트의 전위차가 매우 크므로 탄소강을 니켈도금 하거나 316L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 강으로 대체하여 그라파이트와의 전위차를 줄여 갈바닉 전류밀도를 낮추었다.
  • 갈바닉 부식은 우선적으로 부식되는 양극과 부식되지 않는 음극과 그 사이의 전해질로 구성 되는데 [4] 탄소강과 알루미늄 합금의 경우 갈바닉계열에서 부식전위가 높은 탄소강이 음극이 되고 부식전위가 낮은 알루미늄 합금은 양극으로 작용하여 알루미늄 합금에서 갈바닉 부식이 일어나게 되며 또한 탄소강과 CFRP사이에는 오히려 탄소강이 양극이 되고 CFRP가 음극으로 작용하게 되어 탄소강에서 갈바닉 부식을 일으키게 된다 [5]. 본 연구에서는 두가지 종류의 리벳조인트의 갈바닉 부식 가능성을 모두 고려하기 위하여 탄소강 리벳에 니켈 도금을 하거나 또는 탄소강 리벳 재료를 316L 스테인리스 강 재료로서 교체하여 갈바닉 부식을 지연시키고자 하는 실험을 하였다. 특히 탄소강과 CFRP사이의 갈바닉 부식이 알루미늄 합금기지와 탄소강 사이의 갈바닉 부식보다 더 심각하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에 [1] 본 연구에서는 탄소강과 CFRP의 주 성분인 그라파이트 간의 갈바닉 부식에 더욱 초점을 맞출 것이며 알루미늄 기지와의 갈바닉 부식 가능성도 함께 조사 하고자 한다.
  • 그라파이트의 물성은 CFRP의 물성과 차이가 있으나 갈바닉 부식을 일으키는 원인은 CFRP의 주성분인 그라파이트이기 때문에 실험에 사용되었다. 탄소강으로 이루어진 리벳의 첫번째 갈바닉 부식 개선 방법으로 탄소강 리벳에 접착성이 우수하다고 알려진 Watts 용액을 도금욕으로 사용하여 [6] 니켈도금을 하였는데, 니켈이 갈바닉 계열의 탄소강의 활성 전위를 귀 방향으로 이동 시키는 효과로 갈바닉 부식을 지연시키고자 한 것이다. 두번째 개선 방법은 탄소강 리벳 대신에 316L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 강 리벳으로 교체하였는데 이는 갈바닉 계열에서 탄소강보다 스테인리스강이 귀방향 전위를 가진 합금인 것을 착안한 것이다 [7].
  • 본 연구에서는 두가지 종류의 리벳조인트의 갈바닉 부식 가능성을 모두 고려하기 위하여 탄소강 리벳에 니켈 도금을 하거나 또는 탄소강 리벳 재료를 316L 스테인리스 강 재료로서 교체하여 갈바닉 부식을 지연시키고자 하는 실험을 하였다. 특히 탄소강과 CFRP사이의 갈바닉 부식이 알루미늄 합금기지와 탄소강 사이의 갈바닉 부식보다 더 심각하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에 [1] 본 연구에서는 탄소강과 CFRP의 주 성분인 그라파이트 간의 갈바닉 부식에 더욱 초점을 맞출 것이며 알루미늄 기지와의 갈바닉 부식 가능성도 함께 조사 하고자 한다. 그라파이트의 물성은 CFRP의 물성과 차이가 있으나 갈바닉 부식을 일으키는 원인은 CFRP의 주성분인 그라파이트이기 때문에 실험에 사용되었다.

가설 설정

  • 두번째 개선 방법은 탄소강 리벳 대신에 316L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 강 리벳으로 교체하였는데 이는 갈바닉 계열에서 탄소강보다 스테인리스강이 귀방향 전위를 가진 합금인 것을 착안한 것이다 [7]. 본 실험에서는 CFRP와 알루미늄 합금을 리벳으로 체결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CFRP의 주 성분인 그라파이트와 리벳 재료 그리고 알루미늄 합금기지와 리벳 재료 간의 갈바닉 전류밀도를 직접 측정하였다. 갈바닉 계열에서 그라파이트의 전위는 보다 매우 높은 귀방향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실제 CFRP의 경우 좀더 가혹하다고 할 수 있으며 이 실험 결과로 니켈 도금을 한 탄소강과 316L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 강으로 탄소강을 대체한 경우를 각각 비교하여 그라파이트와 리벳 재료 간의 갈바닉 부식에 대한 개선 효과를 확인 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M. Mandel and L. Kruger, Materialwiss. Werkstofftech., 43, 4 (2012). 

  2. L. T. Harper, T. A. Turner, J. R. B. Martin, and N. A. Warrior, J. Compos Mater., 44, 931 (2010). 

  3. M. Mandel, Corros., Sci., 73, 172 (2013). 

  4. X. G. Zhang, Galvanic Corrosion, Uhlig's Corrosion Handbook, 3rd ed.,p. 123, John Wiley & Sons (2011). 

  5. T. Mohammadreza and S. Hamid, J. Compos. Constr., 5, 200 (2001). 

  6. G. A. Di Bari, Modern Electroplating, 5th ed., p. 79, John Wiley & Sons Inc., Hoboken, New Jersey (2010). 

  7. R. Baboian, Corrosion: Fundamentals, Testing, and Protection, ASM Handbook, p. 210, ASM International (2003). 

  8. M. Wicklein, S. Ryan, D. M. White, and R. A. Clegg, Int. J. Impact Eng., 35, 1861 (2008). 

  9. K. Suk-Won and L. Jae-Bong, J. Kor. Inst. Met. Mater., 40, 1191 (2002). 

  10. ASTM Standard B689, Standard Specification for Electroplated Engineering Nickel Coatings (1997). 

  11. V. Minakshi, S. A. Vasanwala, and A. K. Desai, J. Eng. Res. Appl., 4, 657 (2014). 

  12. T. Izabela, Ph.D. Thesis, p. 60, Cracow University of Technology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