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차단형 최종복토층 설치가 폐기물 매립지 안정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inal Cover Installation on the Waste Landfill Stabilization 원문보기

유기물자원화 = Journal of the Korea Organic Resources Recycling Association, v.25 no.2, 2017년, pp.33 - 40  

윤석표 (세명대학교 바이오환경공학과) ,  정진모 (세명대학교 바이오환경공학과)

초록

우리나라는 폐기물매립지의 사용이 종료되면 즉시 차단형 최종복토층을 설치하고 30년간 사후관리를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우수의 침투를 차단하는 최종복토층의 설치는 매립된 유기성 폐기물의 분해를 지연시키고, 침출수로 용출되는 오염물질의 양을 저감시킴에 따라 사후관리가 종료된 이후에 오염물질이 배출되어 주변을 오염시킬 우려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실 규모의 모의매립조를 이용하여 약 7개월간 동일한 조건에서 인공우수를 주입한 후, 이후 8.4개월 동안 최종복토를 가정하여 매립지 내부로 유입되는 강수량을 달리한 경우에 침출수로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양을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로부터 폐기물 매립지의 사용종료 후 즉각적으로 차단형 최종복토층을 설치하는 것보다는 어느 정도 우수의 침투를 허용하는 임시복토층을 설치하는 것이 사후관리기간이 종료된 이후의 환경관리 측면에서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Korea, it is required to install the final cover layer immediately after the end of use of the waste landfill, and to conduct aftercare for 30 years. However, the installation of the final cover layer minimizing the penetration of the rainfall will delay the decomposition of the buried organic w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최종복토층의 설치가 매립폐기물의 안정화에 미치는 영향을 모의매립조 연구를 통해서 확인하고자 하였고, 이를 통해서 매립이 종료된 후 언제 최종복토층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지를 제안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매립폐기물이 어느 정도 안정화된 시점(매립 후 206일 이후)부터 모의매립조 상단에 벤토나이트와 토사를 혼합한 토사층을 추가하고, 인공강우량을 달리하면서 배출되는 침출수질의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최종복토층 설치시기에 따른 폐기물 매립지의 안정화 효과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모의매립조 상단에 벤토나이트/토사 혼합층을 추가하고, 인공강우량을 달리하면서 배출되는 침출수질의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최종복토층 설치시기에 따른 폐기물 매립지의 안정화 효과를 검토하였으며,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폐기물매립지의 사용이 종료되면 몇년간 사후관리를 하도록 규정하고 있는가? 우리나라는 폐기물매립지의 사용이 종료되면 즉시 차단형 최종복토층을 설치하고 30년간 사후관리를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우수의 침투를 차단하는 최종복토층의 설치는 매립된 유기성 폐기물의 분해를 지연시키고, 침출수로 용출되는 오염물질의 양을 저감시킴에 따라 사후관리가 종료된 이후에 오염물질이 배출되어 주변을 오염시킬 우려가 있다.
폐기물매립지의 사용이 종료되면 즉시 무엇을 설치하여야 하는가? 우리나라는 폐기물매립지의 사용이 종료되면 즉시 차단형 최종복토층을 설치하고 30년간 사후관리를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우수의 침투를 차단하는 최종복토층의 설치는 매립된 유기성 폐기물의 분해를 지연시키고, 침출수로 용출되는 오염물질의 양을 저감시킴에 따라 사후관리가 종료된 이후에 오염물질이 배출되어 주변을 오염시킬 우려가 있다.
폐기물매립지는 사용이 종료되면 무엇을 설치해야 하는가? 우리나라의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 별표 11에 의하면 폐기물매립지는 사용이 종료되면 최종복토층을 설치해야 한다. 우수 침투를 억제하는 차단형 최종복토층은 두께가 45 cm 이상이고 투수계수 10-6cm/s 이하인 점토층이나, 두께 30 cm 이상이고 투수계수가 10-6 cm/s 이하인 점토·점토광물혼합토 등의 층을 설치한 후 그 위에 두께 1.5밀리미터 이상인 합성고분자차수막을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1).그러나 최종복토층이 설치되면 이후 폐기물 매립층으로 우수의 침투가 어려워서 침출수 관리 측면에서는 유리하나, 매립폐기물의 안정화 측면에서는 미생물의 분해작용이 저하되어 30년간의 사후관리 기간이 지난 후, 폐기물 매립지의 관리가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 재차 오염물질의 배출이 진행될 우려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Enforcement rule of the wastes control act, Attached Table 11,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Amended by Dec 30, 2016. 

  2. Laner, D., Fellner, J., Brunner, P.H., "Future landfill emissions and effect of final cover installation - A case study", Waste Management, 31, pp. 1522-1531. (2011). 

  3. Yoon, S.P., Kim, H.U., Lee, N.H., Kim, K., Lee, B.S., "Change of leachate characteristics at aerobic landfill lysimeter with different air flow-rate", Journal of Korea Society of Waste Management, 29(3), pp. 275-280. (2012). 

  4. Kim, H.U., Wang, F., Yoon, S.P., Park, H.S., "A Lysimeter Study on the Waste Landfill Injection of Anaerobically Digested Food Wastewater", Journal of Korea Society of Waste Management, 31(2), pp. 228-234. (2014). 

  5. Yoon, S.P., Lee, N.H., Kim, J.Y., "Landfill Decomposition Characteristics of Mechanical-Biological Pretreated Waste", Journal of Korea Society of Waste Management, 21(6), pp. 618-626. (2004). 

  6. Park, J.K., Kang, J.H., Chong, Y.G., Lee, N.H., "A Study on Mass Balance of Carbon in a Solid Waste Landfill", Journal of Korea Society of Waste Management, 29(4), pp. 348-355. (2012). 

  7. Kajiwara, N., Hirata, O., Takigami, H., Noma, Y., Ayako Tachifuji, A., Matsufuji, Y., "Leaching of brominated flame retardants from mixed wastes in lysimeters under conditions simulating landfills in developing countries", Chemosphere, 116, pp. 46-53. (2014). 

  8. Pelkonen, M. and Wang, Y., "Leachate direct-discharge limits and incentives related to landfill aftercare costs", Journal of Material Cycles and Waste Management, 19(1), pp. 413-422. (2017). 

  9. Wang, Y., Pelkonen, M., Kaila, J., "Optimization of landfill leachate management in the aftercare period", Waste Management & Research, 30(8), pp. 789-799. (2012). 

  10. APHA, AWWA, and WEF,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20th ed. (1998). 

  11. McBean, E.A., Rovers, F.A., Farquhar, G.J., Solid waste landfill engineering and design, Prentice Hall PTR, pp. 307-309. (1995). 

  12. Enforcement rule of the wastes control act, Attached Table 19,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Amended by April 28,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