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소작업차의 원격 제어를 포함한 중앙집중식 컨트롤러 및 유압식 상승리프트 개발
Development of Centralized controller with remote control and hydraulic lift 원문보기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v.10 no.3, 2017년, pp.232 - 241  

이상식 (Division of Bio-medical engineering, Catholic Kwangdong University) ,  김준태 (Division of Bio-medical engineering, Catholic Kwangdong University) ,  박원엽 (Division of Mechanical Engineering,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선행 연구로 진행되었던 과수원 및 농경지에서 사용되는 고소작업차의 안정적인 요소를 설계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Auto leveling system과 수평센서를 이용하여 불규칙하고 경사가진 곳에서 안전하게 작업하기 위하여 유압식 상승리프트를 개발하였으며 고소작업대에서의 제어를 하기 위하여 원격 제어를 포함한 중앙집중식 컨트롤러의 개발을 진행하였다. 개발된 모듈을 통하여 고소작업대에서의 안정적 제어가 되는지 현장 시 운행을 실시하였으며, 고소 작업대의 구조해석을 통하여 작업자가 작업대에서 안전하게 작업을 할 수 있는 최대 적재 하중 및 균등 적재량을 제시함으로서 보다 안전에 대해 유의하도록 하였다. 각 부위별 설계 및 검증, 제작을 통하여 완성된 고소기계차의 현장 시운행을 통하여 프로토타입의 고소기계차를 제작하였고, 몇 가지의 수정 보완 사항을 통하여 연구를 지속적으로 행할 예정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sign the stable elements of the aerial work machinery used in the orchard and farmland which had been conducted in the previous research. A hydraulic lifting lift has been developed to work safely at irregular and inclined locations using an auto leveling system and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유압식 리프트 시스템의 개발 및 이를 바탕으로 한 작업대의 안전성에대한 구조해석을 진행하였다. 선행 연구로 진행된 경사면에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수평 센서 및 Auto leveling system을 제작하여 배수 및 평평하지 않은 지면에서의 움직임을 안전하게 할 수 있도록 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유압시스템을 접목, 작업대의 안전성 구조 해석을 완료하였다.

가설 설정

  • 고소작업기계의 구조해석은 고소작업차가 운영될 때 적재함의 최대 적재량을 고려하여 하중이 적재함을 1/4로 나누어 집중되는 것을 가정하여 아래 그림 21과 같이 적재하중 위치별로 발생될 수 있는 변위와 응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좌·우 기울기 조절이 가능하여 적재함이 좌·우로 최대 기울기를 가질 때의 위치별로 발생될 수 있는 변위와 응력에 대해여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재 농경사회에 일손이 부족한 이유는? 현재 농경사회는 젊은층의 도시이탈과 이에 따른 일손 부족 및 고령화로 인하여 일손이 부족한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특히 과수원같은 수확물의 수확이 기계 및 도구의 도움 없이 이루어지는 곳은 더욱 힘들다.
과수원에서의 고소작업을 위한 기체의 크기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5m 이상이 되어야 효율적인 작업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작업 범위를 위해 기체의 크기를 크게 설계하는 것은 효율적이지 못하기 때문에 실제 인력을 탑승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상부의 작업대는 2,40×1,20(mm) 크기로 구성하였으며 작업대의 높이는 최고 2,690mm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작업대의 승하강은 좌우조절 프레임에 부착된 크로스리프트 장치를 유압실린더에 의해 작동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고소작업차는 어디에서 어려움을 겪는가? 고소작업차는 일반 산업용으로 많이 쓰이고 있으며 대부분 바닥이 평평한 곳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바닥의 경사가 일정치 않고 자체적으로 약간의 경사를 둔 농사지에서 사용하기에는 운반 및 보관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2]. 이러한 이유로 고소작업차는 위험에서 벗어날 수 없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Jang, Ik-Joo, "Development of a Lifting Utility with Balance-controlled Platform", J. of Biosystems Eng., Vol. 36, No. 3, pp. 171 to 179, 2011 

  2. Hwang, H., "Development of IT Oriented Environment Friendly Cultivation and Mechanization for a Pear Orchard". Sungkyunkwan University Research Report, 2012 

  3.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2010 AGRICULTURAL MACHINERY YEARBOOK REPUBLIC OF KOREA", 2010 

  4. Jae-Hwan Son, Park Ki-jin, Woo Seung-min, Han Chang-woo, "A study on the stability of a vehicle with lifting utility", Proceedings of the KSME Spring Annual Meeting, pp.77-80, 2012 

  5. Lee, Kyung - Sook, Hyo - Cheol Kim, Hye Sun Chae, Kyung Ran Kim, Soo Jin Lee, "A Study on Agricultural Safety Technology for Ergonomic Intervention in Farm-work",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uman Engineering, Vol.29, No.2, pp.225-239, 2010 

  6. "Design of Motor-driven Traveling System for High Clearance Working Machinery based on Tractive Performance and Hill Climbing Abilit"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Electroic Communication Technology, Vol. 9, No. 3, 2016 

  7. Kim, Byoung-Soo, Jae-Hwan Son, and Park, Ki-Jin, "A study on workspace and dynamics analysis of orchard high place operation car", 27th ICROS Conference, pp.430-431, 2012 

  8. Lee, Chang - Min, Yeon - Ju, Yoo, Hyun - Hyun, Shin, Kwang - Hyun, "The Ergonomics Improvement of Convenience Equipment for farm work (about the fruit and field crops)", Proceedings of the 2009 Spring Conference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190-194,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