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문주란의 모발 성장기 유도 기전
The Mechanism of Crinum asiaticum var. japonicum on the Activation of Anagen 원문보기

생약학회지, v.48 no.2, 2017년, pp.148 - 154  

강정일 (제주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의학과) ,  최주환 (제주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의학과) ,  이종건 (제주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의학과) ,  유은숙 (제주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의학과) ,  김영호 (충남대학교 약학대학) ,  강희경 (제주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rinum asiaticum var. japonicum and its active component, norgalanthamine have been reported to have hair growth-promoting effect via the proliferation of dermal papilla cell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other mechanisms of C. asiaticum extract var. japonicum and norgalanthamine on the hai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이 문주란의 육모 활성물질임을 규명하였다.25) 그러나, 문주란 및 norgalanthamine의 작용 기전이 모유두세포 증식 작용 이외에는 알려진 것이 없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모유두세포 증식 작용 이외의 모발의 성장과 관련된 다른 기전을 조사하였다. 우선, finasteride와 같은 5α-reductase 억제 활성이 있는지, minoxidil과 같은 KATP채널 개방효과가 있는지 조사하였다.
  • 모유두 세포 증식 효능을 갖는 문주란 추출물 및 육모효능 성분인 norgalathamine이 탈모방지 효능에서 중요한 5α-reductase 억제 활성을 나타내며, 모낭의 퇴행기로의 이행에 관여하는 TGF-β 신호전달 경로를 조절할 수 있다는 본 연구 결과는 문주란 추출물 및 육모효능 성분인 norgalanthamine이 탈모치료 및 탈모예방에 이용될 수 있다는 근거를 제시하는 것이다.
  • 본 연구자들은 이전 연구에서 문주란 추출물의 ex vivo 및 in vivo 육모 효능을 확인하였으며, 그 작용기전 중의 하나가 모유두 세포의 증식 작용임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문주란의 육모효능의 다른 작용기전을 조사하였다.
  • 우선, finasteride와 같은 5α-reductase 억제 활성이 있는지, minoxidil과 같은 KATP채널 개방효과가 있는지 조사하였다.
  • 우선, 문주란 추출물이 5α-reductase 활성을 억제하는지 조사하였다.
  • 특히, 모발주기 중 퇴행기를 유도하는 TGF-β1신호전달 경로가 norgalanthamine에 의하여 조절되는지 조사하여 문주란 추출물 및 norgalanthamine을 탈모치료 및 탈모예방에 이용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탈모의 특징은 무엇인가? 탈모는 남성과 여성 모두에서 발생하며, 신체 또는 머리부위의 모발이 가늘어지며 감소하는 증상으로, 모낭의 축소화 및 성장기 모낭의 감소 등의 특징을 수반한다.1,2) 지금까지 밝혀진 탈모요인으로는 모발 주기 조절과 관련된 모유두 세포의 증식억제 또는 기능저하,3) 남성호르몬의 작용에 의한 모발주기의 비정상화,4) 두피로의 혈류량 저하로 인한 모발주기의 비정상적 변화,4) 항암제,5,6) 정신적 스트레스, 물리적 자극, 및 환경오염 등이 다양하게 거론되고 있으나,6,7)탈모의 정확한 기전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문주란은 어떤 식물인가? 문주란속 식물은 수선화과에 속하며 열대와 아열대 지방을 포함하여 약 130 여종이 분포되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 토끼섬 해변의 모래밭에 군락으로 자생하고 있으며, 생리활성이 높은 alkaloid를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어 그 활용도가 높은 자원 식물이다.21,22) 특히 문주란으로부터 분리된 단일물질들(lycorine, crinamine 및 norgalanthamine)은 HIF-1 활성 억제 효능, 항암 효능 및 acetylcholinesterase 억제 효능을 나타냄이 알려져 있다.
탈모요인에는 무엇이 있는가? 탈모는 남성과 여성 모두에서 발생하며, 신체 또는 머리부위의 모발이 가늘어지며 감소하는 증상으로, 모낭의 축소화 및 성장기 모낭의 감소 등의 특징을 수반한다.1,2) 지금까지 밝혀진 탈모요인으로는 모발 주기 조절과 관련된 모유두 세포의 증식억제 또는 기능저하,3) 남성호르몬의 작용에 의한 모발주기의 비정상화,4) 두피로의 혈류량 저하로 인한 모발주기의 비정상적 변화,4) 항암제,5,6) 정신적 스트레스, 물리적 자극, 및 환경오염 등이 다양하게 거론되고 있으나,6,7)탈모의 정확한 기전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1,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Price, V. H. (1999) Treatment of hair loss. N. Engl. J. Med. 341: 964-973. 

  2. Ellis, J. A., Sinclair, R. and Harrap, S. B. (2002) Androgenetic alopecia: pathogenesis and potential for therapy. Expert. Rev. Mol. Med. 4: 1-11. 

  3. Elliott, K., Stephenson, T. J. and Messenger, A. G. (1999) Differences in hair follicle dermal papilla volume are due to extracellular matrix volume and cell number: implications for the control of hair follicle size and androgen responses. J. Invest. Dermatol. 113: 873-877. 

  4. Kaufman, K. D. (2002) Androgens and alopecia. Mol. Cell Endocrinol. 198: 89-95. 

  5. Botchkarev, V. A. (2003) Molecular mechanisms of chemotherapy-induced hair loss. J. Investig. Dermatol. Symp. Proc. 8: 72-75. 

  6. Batchelor, D. (2001) Hair and cancer chemotherapy: consequences and nursing care-a literature study. Eur. J. Cancer. Care(Engl). 10: 147-163. 

  7. Aoki, E., Shibasaki, T. and Kawana, S. (2003) Intermittent foot shock stress prolongs the telogen stage in the hair cycle of mice. Exp. Dermatol. 12: 371-377. 

  8. Kaufman, K. D. and Dawber, R. P. (1999) Finasteride, a Type 2 5alpha-reductase inhibitor, in the treatment of men with androgenetic alopecia. Expert. Opin. Investig. Drugs. 8: 403-415. 

  9. Messenger, A. G. and Rundegren, J. (2004) Minoxidil: mechanisms of action on hair growth. Br. J. Dermatol. 150: 186-194. 

  10. Han, J. H., Kwon, O. S., Chung, J. H., Cho, K. H., Eun, H. C. and Kim, K. H. (2004) Effect of minoxodil on proliferation and apoptosis in dermal papilla cells of human hair follicle. J. Dermatol. Sci. 34: 91-98. 

  11. Hamaoka, H., Minakuchi, K., Miyoshi, H., Arase, S., Chen, C. H. and Nakaya, Y. (1997) Effect of $K^+$ channel openers on $K^+$ channel in cultured human dermal papilla cells. J. Med. Invest. 44: 73-77. 

  12. Shorter, K., Farjo, N. P., Picksley, S. M. and Randall, V. A. (2008) Human hair follicles contain two forms of ATP-sensitive potassium channels, only one of which is sensitive to minoxidil. FASEB J. 22: 1725-1736. 

  13. Kwack, M. H., Kang, B. M., Kim, M. K., Kim, J. C. and Sung, Y. K. (2011) Minoxidil activates beta-catenin pathway in human dermal papilla cells: A possible explanation for its anagen prolongation effect. J. Dermatol. Sci. 62: 154-159. 

  14. Cotsarelis, G. and Millar, S. E. (2001) Towards a molecular understanding of hair loss and its treatment. Trends. Mol. Med. 7: 293-301. 

  15. Paus, R., Foitzik, K., Welker, P., Bulfone-Paus, S. and Eichmuller, S. (1997)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receptor type I and type II expression during murine hair follicle development and cycling. J. Invest. Dermatol. 109: 518-526. 

  16. Foitzik, K., Lindner, G., Mueller-Roever, S., Maurer, M., Botchkareva, N., Botchkarev, V., Handjiski, B., Metz, M., Hibino, T., Soma, T., Dotto, G. P. and Paus, R. (2000) Control of murine hair follicle regression (catagen) by TGF-beta1 in vivo. FASEB J. 14: 752-760. 

  17. Li, C. Y., Suardet, L. and Little, J. B. (1995) Potential role of WAF1/Cip1/p21 as a mediator of TGF-beta cytoinhibitory effect. J. Biol. Chem. 270: 4971-4974. 

  18. Pardali, K., Kurisaki, A., Moren, A., ten Dijke, P., Kardassis, D. and Moustakas, A. (2000) Role of Smad proteins and transcription factor Sp1 in p21(Waf1/Cip1) regulation by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J. Biol. Chem. 275: 29244-29256. 

  19. Park, S. J., Yang, S. W. and Kim, B. C. (2016)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1 induces cell cycle arrest by activating atypical cyclin-dependent kinase 5 through up-regulation of Smad3-dependent p35 expression in human MCF10A mammary epithelial cells. Biochem. Biophys. Res. Commun. 472: 502-507. 

  20. Cheng, H., Wang, S. and Feng, R. (2016) STIM1 plays an important role in TGF- ${\beta}$ -induced suppression of breast cancer cell proliferation. Oncotarget.7: 16866-16878. 

  21. Gabrielsen, B., Monath, T. P., Huggins, J. W., Kefauver, D. F., Petit, G. R., Groszek, G., Hollingshead, M., Kirsi, J. J., Shannon, W. M., Schubert, E. M., Dake, J. and Ugarkar B (1992) Antiviral (RNA) activity of selected Amaryllidaceae isoquinoline constituents and synthesis of related substances J. Nat. Prod. 55: 1569-1581. 

  22. Min, B. S., Gao, J. J., Nakamura, N., Kim, Y. H. and Hattori, M. (2001) Cytotoxic alkaloids and a flavan from the bulbs of Crinum asiaticum var. japonicum. Chem. Pharm. Bull(Tokyo). 49: 1217-1219. 

  23. Kim, Y. H., Park, E. J., Park, M. H., Badarch, U., Woldemichael, G. M. and Beutler, J. A. (2006) Crinamine from Crinum asiaticum var.japonicum inhibits hypoxia inducible factor-1 activity but not activity of hypoxia inducible factor2. Biol Pharm Bull. 29: 2140-2142. 

  24. Lo'pez, S., Bastida, J., Viladomat, F. and Codina, C. (2002) Acetylcholinesterase activity of some Amaryllidaceae alkaloids and Narcissus extracts. Life Sci. 71: 2521-2529. 

  25. Kim, S. C., Kang, J. I., Kim, M. K., Hyun, J. H., Boo, H. J., Park, D. B., Lee, Y. J., Yoo, E. S., Kim, Y. H., Kim, Y, H. and Kang, H. K. (2010) Promotion effect of norgalanthamine, a component of Crinum asiaticum, on hair growth. Eur. J. Dermatol. 20: 42-48. 

  26. Hyun, J. H., Kang, J. I., Kim, S. C., Kim, E., Kang, J. H., Kwon, J. M., Park, D. B., Lee, Y. J., Yoo, E. S. and Kang, H. K. (2008) The effects of Crinum asiaticum on the apoptosis induction and the reversal of multidrug resistance in HL-60/MX2. Toxicol. Res. 24: 29-36. 

  27. Picard, F., Schulz, T. and Hartmann, R. W. (2002) 5-phenyl substituted 1-methyl-2-pyridones and 40-substituted biphenyl-4-carboxylic acids. Synthesis and evaluation as inhibitors of steroid-5 ${\alpha}$ -reductase type 1 and 2. Biorg. Med. Chem. 10: 437-448. 

  28. Carmichael, J., DeGraff, W. G., Gazdar, A. F., Minna, J. D. and Mitchell, J. B. (1987) Evaluation of a tetrazolium-based semiautomated colorimetric assay: assessment of chemosensitivity testing. Cancer Res. 47: 936-942. 

  29. Bradford, M. M. (1976) A rapid and sensitive method for the quantitation of microgram quantities of protein utilizing the principle of protein-dye binding. Anal. Biochem. 72: 248-254. 

  30. Kaufman, K. D., Olsen, E. A., Whiting, D., Savin, R., DeVillez, R., Bergfeld, W., Price, V. H., Van Neste, D., Roberts, J. L., Hordinsky, M., Shapiro, J., Binkowitz, B. and Gormley, G. J. (1998) Finasteride in the treatment of men with androgenetic alopecia. Finasteride Male Pattern Hair Loss Study Group. J. Am. Acad. Dermatol. 39: 578-589. 

  31. Sinclair, R. (1998) Male pattern androgenetic alopecia. BMJ. 317:865-869. 

  32. Olsen, E. A., Hordinsky, M., Whiting, D., Stough, D., Hobbs, S., Ellis, M. L., Wilson, T. and Rittmaster, R. S. (2006) The importance of dual 5alpha-reductase inhibition in the treatment of male pattern hair loss: results of a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study of dutasteride versus finasteride. J. Am. Acad. Dermatol. 55: 1014-1023. 

  33. Kumar, N., Rungseevijitprapa, W., Narkkhong, N. A., Suttajit, M. and Chaiyasut, C. (2012) 5 ${\alpha}$ -reductase inhibition and hair growth promotion of some Thai plants traditionally used for hair treatment. J. Ethnopharmacol. 139: 765-771. 

  34. Murata, K., Noguchi, K., Kondo, M., Onishi, M., Watanabe, N., Okamura, K. and Matsuda, H. (2013) Promotion of hair growth by Rosmarinus officinalis leaf extract. Phytother. Res. 27: 212-217. 

  35. Sanders, D. A., Fiddes, I., Thompson, D. M., Philpott, M. P., Westgate, G. E. and Kealey, T. (1996) In the absence of streptomycin, minoxidil potentiates the mitogenic effects of fetal calf serum, insulin-like growth factor 1, and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on NIH 3T3 fibroblasts in a K+ channel-dependent fashion. J. Invest. Dermatol. 107: 229-234. 

  36. Chiariello, M,, Gomez, E. and Gutkind JS. (2000) Regulation of cyclin-dependent kinase (Cdk) 2 Thr-160 phosphorylation and activity by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in late G1 phase. Biochem. J. 349: 869-876. 

  37. Kang, J. I., Kim, S. C., Hyun, J. H., Kang, J. H., Park, D. B., Lee, Y. J., Yoo, E. S. and Kang HK. (2009) Promotion effect of Schisandra nigra on the growth of hair. Eur. J. Dermatol. 19: 119-125. 

  38. Kim, S. C., Kang, J. I., Kim, M. K., Boo, H. J., Park, D. B., Lee, Y. K., Kang, J. H., Yoo, E. S., Kim, Y. H. and Kang, H. K. (2011) The hair growth promoting effect of 4-O-methylhonokiol. Eur. J. Dermatol. 21: 1012-101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