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high-performing photoelectric device was realized for the $MoS_2$-embedded Si device. $MoS_2$-coating was performed by an available large-scale sputtering method. The $MoS_2$-layer coating on the p-Si spontaneously provides the rectifying current flow with a signi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cm) 기판을 사용하였으며, 연구 진행에 앞서 세정 작업을 수행하였다. Acetone, methanol, pure water순으로 ultrasonic cleaner를 이용하여 각각 5분씩 세정하였으며 nitrogen blowing으로 건조작업을 수행하였다. 실험 진행에 있어서 필요한 증착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마그네트론 스퍼터(magnetron sputter)를 이용하였으며,공정 순서는 그림 1과 같다.
  • 전체적 디바이스의 구조와 증착물의 두께를 관찰하기 위해 전계 방출 주사 전자 현미경(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FE-SEM)을 이용하였다. 또한, 전기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소스미터기(Keithley, 2400)를 이용하여 I-V 특성을 측정하였고, 외부의 전압 바이어스 인가 없이, 다양한 400 nm, 600 nm, 900nm, 1,100 nm의 파장에 대해 디바이스의 광 응답을 측정하였으며, 디바이스의 투과도를 측정하여 보기 위하여 UV-vis spectrophotometer (Shimadzu, UV-1800)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 본 디바이스의 광응답 특성에 대해서 알아보기 위하여 외부의 전압 바이어스는 없이 3 mW/cm2의 전력밀도를 가지는 다양한 특정 파장에 대하여 펄스형태로 디바이스에 조사(illumination)하였고, 온-오프 되는 빛에 대한 전류를 측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p-type Si을 기반으로 하부에는 스퍼터의 타겟 물질로 Ni을 사용하고 실온(room temperaure,RT)에서 Ar (argon) 가스를 50 sccm 공급하면서 DC power를 50 W로 인가하고 공정압력 5 mTorr에서 3분간 스퍼터링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되는 10 nm 두께의 박막을 증착하여 접촉저항(contact resistance)을 개선시켜 주었으며, 상부에는 O2 분위기에서 RTP (rapid thermal processing)를 이용하여 500℃에서 10분간 어닐링(annealing) 공정을 거쳐 3 nm 두께의 SiO2 막을 형성하여 주었다. 제작된 SiO2층은 junction quality의 향상과 이후 증착되는 MoS2의 Si으로의 diffusion을 감소시켜 주기에 탁월하다.
  • 본 연구에서는 대면적 적용이 가능한 스퍼터링과 RTP만을 이용하여 디바이스를 제작하였으며, p-Si 하부에는 Ni을 증착하고, p-Si 상부에는 RTP를 이용하여 어닐링을 통한 SiO2를 형성한 후 MoS2를 증착한 다음 ITO층을 TCO로서 증착시킨 헤테로 접합 광전소자를 제작하였다.
  • /p-Si/Ni/Al-back metal의 구조를 가진다. 본 연구의 모든 층의 형성은 스퍼터링 방식으로 증착하여 대면적 공정이 가능하며 SiO2의 형성을 위하여 RTP를 이용한 열처리 공정을 진행하였다. 더불어 이러한 마그네트론 스퍼터를 이용하여 제작한 광전소자는 공정상의 용이성의 장점을 가지며 대면적 공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대상 데이터

  • ,ITO의 구조는 FE-SEM을 이용하여 표면과 단면을 관찰하였으며 그림 5는 FE-SEM 촬영 이미지이다. SEM 이미지를 보면 본 디바이스의 구성 MoS2와 ITO층의 두께는 각각 6 nm, 50 nm으로 형성되어 있다.
  • 본 실험에서 이용한 기판은 p-type 실리콘(borondoped, [100] orientation, resistivity 1-10 Ohm.cm) 기판을 사용하였으며, 연구 진행에 앞서 세정 작업을 수행하였다. Acetone, methanol, pure water순으로 ultrasonic cleaner를 이용하여 각각 5분씩 세정하였으며 nitrogen blowing으로 건조작업을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 제작된 디바이스의 접합 구조는 그림 2에서와 같이 Al-front metal/ITO/MoS2/SiO2/p-Si/Ni/Al-back metal의 구조를 가진다. 본 연구의 모든 층의 형성은 스퍼터링 방식으로 증착하여 대면적 공정이 가능하며 SiO2의 형성을 위하여 RTP를 이용한 열처리 공정을 진행하였다.
  • 세정을 마친 p-type 실리콘 하부에 Ni (nickel)과 Al 금속을 증착하였다. 실리콘의 상부에는 O2 분위기에서 RTP (rapid thermal processing)를 이용한 어닐링(annealing) 공정을 거쳐 SiO2 막을 형성하여 주었다.

이론/모형

  • 전체적 디바이스의 구조와 증착물의 두께를 관찰하기 위해 전계 방출 주사 전자 현미경(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FE-SEM)을 이용하였다. 또한, 전기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소스미터기(Keithley, 2400)를 이용하여 I-V 특성을 측정하였고, 외부의 전압 바이어스 인가 없이, 다양한 400 nm, 600 nm, 900nm, 1,100 nm의 파장에 대해 디바이스의 광 응답을 측정하였으며, 디바이스의 투과도를 측정하여 보기 위하여 UV-vis spectrophotometer (Shimadzu, UV-1800)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황화 몰리브덴이란? 2차원의 층상구조를 가진 칼고게나이드계의 반도체 물질인 이황화 몰리브덴(molybdenum disulfide, MoS2)은 현재 윤활유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물질로, 자연 상태로 존재하는 물질이다. 이황화 몰리브덴은 두 개의 황 원자들 사이에 몰리브덴이 껴있는 구조로 그래핀(graphene)과 비슷한 구조 특성을 가지고 있는 물질이다.
이황화 몰리브덴의 활용방법은? 차이점으로는 반도체 사용에 필요한 밴드갭(bandgap)이 그래핀에는 없지만 이황화 몰리브덴은 밴드갭이존재해 트랜지스터의 제작 물질로 활용하여 전자, 전기디바이스나 태양전지에 널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기스위칭에 사용되는 실리콘(Si) 트랜지스터의 반응속도보다 수백 배에서 수천 배 빠르다.
이황화 몰리브덴이 실리콘 트랜지스터와 비교했을 때 장점은? 차이점으로는 반도체 사용에 필요한 밴드갭(bandgap)이 그래핀에는 없지만 이황화 몰리브덴은 밴드갭이존재해 트랜지스터의 제작 물질로 활용하여 전자, 전기디바이스나 태양전지에 널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기스위칭에 사용되는 실리콘(Si) 트랜지스터의 반응속도보다 수백 배에서 수천 배 빠르다. 세부성질로는 2층 이상적층돼 있을 경우 빛의 흡수와 방출이 거의 없는 형태지만 단일 층으로 박리되면 직접형 밴드갭(direct band-gap) 특성을 갖게 되며, 흡수율이 백배 정도 증가한다 [2,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O. Lopez-Sanchez, D. Lembke, M. Kayci, A. Radenovic, and A. Kis, Nat. Nanotechnol, 7, 497 (2013). [DOI: https://doi.org/10.1038/nnano.2013.100] 

  2. D. Kufer and G. Konstantatos, Nano Lett., 15, 7307 (2015). [DOI: https://doi.org/10.1021/acs.nanolett.5b02559] 

  3. Y. Yu, C. Li, Y. Liu, L. Su, Y. Zhang, and L. Cao, Sci. Rep., 3, 1866 (2013). [DOI: https://doi.org/10.1038/srep01866] 

  4. G. R. Bhimanapati, Z. Lin, V. Meunier, Y. W. Jung, J. Cha, S. Das, D. Xiao, Y. W. Son, M. S. Strano, V. R. Cooper, L. Liang, S. G. Louie, E. Ringe, W. Zhou, S. S. Kim, R. R. Naik, B. G. Sumpter, H. Terrones, F. Xia, Y. Wang, J. Zhu, D. Akinwande, N. Alem, J. A. Schuller, R. E. Schaak, M. Terrones, and J. A. Robinson, ACS Nano, 9, 11509 (2015). [DOI: https://doi.org/10.1021/acsnano.5b05556] 

  5. J. H. Ryu, G. W. Baek, S. J. Yu, S. G. Seo, and S. H. Jin, IEEE Electron Device Lett., 38, 67 (2017). [DOI: https://doi.org/10.1109/LED.2016.2633479] 

  6. S. J. Jeong, S. M. Kim, Y. M. Kang, H. S. Lee, and D. H. Kim, Korean J. Mater. Res., 26, 422 (2016). [DOI : https://doi.org/10.3740/MRSK.2016.26.8.422] 

  7. L. Zhang, C. Liu, A. B. Wong, J. Resasco, and P. Yang, Nano Res., 8, 281 (2015). [DOI: https://doi.org/10.1007/s12274-014-0673-y] 

  8. H. S. Kim, M. Patel, H. H. Park, A. Ray, C. Jeong, and J. Kim, ACS Appl. Mater. Interfaces, 8, 8662 (2016). [DOI : https://doi.org/10.1021/acsami.5b12732] 

  9. K. M. Kang, J. H. Yun, Y. C. Park, and J. D. Kim, J. Korean Inst. Electr. Electron. Mater. Eng., 27, 276 (2014). [DOI: http://dx.doi.org/10.4313/JKEM.2014.27.5.276] 

  10. M. D. Kumar, K. K. Kim, and J. D. Kim, Sens. Actuators, A, 223 (2015). 

  11. L. Yang, K. Majumdar, H. Liu, H. Wu, M. Hatzistergos, P. Y. Hung, R. Tieckelmann, W. Tsai, C. Hobbs, and P. D. Ye, Nano Lett., 14, 6275 (2014). [DOI: https://doi.org/10.1021/nl502603d] 

  12. L. Cheng, W. Huang, Q. Gong, C. Liu, Z. Liu, Y. Li, and H. Dai, Angew. Chem., Int. Ed., 53, 7860 (2014). [DOI: https://doi.org/10.1002/anie.201402315] 

  13. M. Patel, H. S. Kim, and J. D. Kim, Adv. Electron. Mater., 1, 1500232 (2015). [DOI: https://doi.org/10.1002/aelm.201500232] 

  14. E. L. Warren, S. W. Boettcher, J. R. McKone and N. S. Lewis, Proc. SPIE Int. Soc. Opt. Eng. (California, USA, 2010) p. 7770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