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기 반도체를 기반으로 하는 태양전지 원문보기

태양광발전학회 = Bulletin of the Korea Photovoltaic Society, v.3 no.1, 2017년, pp.17 - 24  

김경곤 (이화여자대학교 화학나노과학과)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2%의 효율을 달성하였다. 이후 전자 수용체 역할을 하는 분자구조를 pyridyl[2,1,3] thiadiazole에서 5-fluorobenzo[c]- [1,2,5,]thiadiazole로 변경하여 p-DTS(FBTTh2)2(14) 전자공여체를 개발하였다. p-DTS(FBTTh2)2는 향상된 광흡수 능력과 더불어 산성 특성의 interlayer 재료에 대하여 강한 안정성을 보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태양전지의 구조는 무엇인가? 일반적인 태양전지의 구조는 양극/활성층/음극으로 이루어진다. 양극은 투명유리위에 빛의 투과성이 좋으며 전기전도도가 높으며 일함수가 높아 정공(hole)을 잘 받아들일 수 있는 Indium tin oxide(ITO) 가 널리 쓰이고 있으며, 음극은 일함수가 작아 전자(electron)를 전기도선으로 잘 뽑아낼 수 있는 칼슘(Ca) 이나 알루미늄(Al)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특징은 무엇인가? 최근 정보 전자산업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차세대 디스플레이로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이 디스플레이는 마음대로 휘거나 접을 수 있고 곡면으로 제작이 가능하여 모바일유비쿼터스 환경을 충실히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가볍고 깨지지 않으며 저가의 요구를 만족하기 위해서는 기판에서부터 주요 반도체 재료에 이르기까지 플라스틱이나 저분자의 유기물 재료를 활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플라스틱이나 저분자의 유기물 재료를 활용하는 것이 필수적인 이유는 무엇인가? 이 디스플레이는 마음대로 휘거나 접을 수 있고 곡면으로 제작이 가능하여 모바일유비쿼터스 환경을 충실히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가볍고 깨지지 않으며 저가의 요구를 만족하기 위해서는 기판에서부터 주요 반도체 재료에 이르기까지 플라스틱이나 저분자의 유기물 재료를 활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에 따라 최근 들어 핵심이 되는 유기물 반도체(organic semiconductor) 재료와 이를 이용한 소자들에 대해서도 다양한 연구와 관심이 기울여지고 있는데, 앞의 차세대 디스플레이를 위한 유기 발광소자(organic/polymeric light emitting diode)와 유기 전계 트랜지스터(organic field effect transistor)를 위시하여, 유기 반도체 레이저(organic laser), 유기 태양전지(organic photovoltaic cell)등이 대표적인 예가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C. W. Tang, Appl. Phys.Lett. 48, 183 (1986). 

  2. S. R. Forrest, MRS Bull. 30, 28 (2005). 

  3. G. Yu, J. Gao, J. C. Hummelen, F. Wudl, A. J. Heeger, Science, 270, 5243, 1789 (1995). 

  4. W. Ma, C. Yang, X. Gong, K. Lee and A. J. Heeger, Adv. Func. Mater., 15, 1617 (2005). 

  5. M. Reyes-Reyes, K. Kim, D. L. Carroll, Appl. Phys. Lett. 87, 083506 (2005). 

  6. Z. Zhu, D. Waller, R. Gaudiana, M. Morana, D. Muhlbacher, M. Scharber, C. Brabec, Macromolecules, 40, 1981 (2007). 

  7. S. H Park, A. Roy, S. Beaupr, S. Cho, N. Coates, J. S. Moon, D. Moses, M. Leclerc, K. Lee, A. J. Heeger, Nature Photonics, 3, 297 (2009). 

  8. H.-Y. Chen, J. Hou, S. Zhang, Y. Liang, G. Yang, Y. Yang, L. Yu, Y. Wu, G. Li, Nature Photonics, 3, 649 (2009) 

  9. S.-H. Liao, H.-J. Jhuo, Y.-S. Cheng, S.-A. Chen, Adv. Func. Mater., 25, 4766 (2013). 

  10. Z. B. Henson, G. C. Welch, T. van der Poll, and G. C. Bazan, J. Am. Chem. Soc., 134, 3766 (2012). 

  11. T. van der Poll, J. A. Love, T. -Q. Nguyen and G. C. Bazan, Adv. Mater., 24, 3646 (2012). 

  12. T. W. Holcombe, C. H. Woo, D. F. Kavulak, B. C. Thompson, J. M. Frechet. J. Am. Chem. Soc., 131, 14160 (2009). 

  13. H. Kang, M. A. Uddin, C. Lee, K.-H. Kim, T. L. Nguyen, W. Lee, Y. Li, C. Wang, H. Y. Woo, B. J. Kim, J. Am. Chem. Soc., 137, 2359 (2015). 

  14. M. D. Irwin, D. B. Buchholz, A. W. Hains, R. P. H. Chang, T. J. Marks, Proc. Natl. Acad. Sci., 105, 2783 (2008).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