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콩기름 에멀션의 광산화에 대한 산나물과 허브 추출물의 첨가 효과
Effect of Sannamul and Herb Extract Addition on the Photooxidation of Soybean Oil Emulsion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33 no.3, 2017년, pp.275 - 284  

송애림 (인하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최은옥 (인하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sannamul or herb extract addition to a soybean oil-in-water emulsion during photooxidation in the presence of chlorophyll. Methods: The emulsion mainly consisted of purified soybean oil and citric acid buffer (pH 4.0) at a weight ratio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는 자동산화에서의 산나물과 허브 추출물의 효과를 분석하였으며 광산화에 대한 연구는 매우 드문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클로로필을 함유한 에멀션에 산나물 또는 허브 추출물을 첨가하여 빛의 존재에서 저장하면서 에멀션의 지방질 산화 정도를 평가하고 미량성분들을 모니터링하여 산나물과 허브 추출물을 활용한 에멀션의 광산화 안정성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결과는 삼나물 추출물이 물 속 콩기름 에멀션의 광산화 중 산소 소비, 과산화물 생성과 분해를 감소시킴으로써 에멀션의 광산화를 억제시키는 효과를 명확히 보여주었으며, 본 결과는 삼나물 추출물의 에멀션의 지방질 광산화 억제 작용에 대한 첫번째 보고이다. 콩기름 에멀션에서 삼나물 추출물의 광산화 억제작용은 삼나물 추출물에 높은 농도로 함유된 폴리페놀 화합물 등 산화 방지 성분과 함께 일중항산소 생성을 통하여 광산화를 가속화하는 클로로필의 함량이 다른 추출물에 비해 삼나무 추출물에서 낮았던 데서 비롯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방질의 광산화로 공기 중의 삼중항 산소를 일중항 산소로 변환시키는 색소는 무엇인가? 마요네즈, 샐러드 드레싱 등 투명 용기에 포장된 식품은 진열대에서 빛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는 경우 지방질의 광산화가 발생한다(An S 등 2014). 특히 클로로필, 리보 플래빈 등의 색소는 빛 에너지를 받아 공기중의 삼중항 산소를 활성이 높은 일중항산소로 변환시킨다(Choe E & Min DB 2005). 지방질의 산화는 이취 생성, 영양소 분해등 식품 품질을 저하시키므로 천연 산화방지제가 풍부한 식물추출물을 첨가하여 지방질 산화를 억제하고 품질을 개선할 수 있는 노력이 에멀션 식품에서도 끊임없이 이루어지고 있다(Frankel EN 등 1996, Kim J & Choe E 2016).
식품 내 클로로필 존재로 삼중항산소가 일중항산소로 전환되었을 때, 지방질 산화에 미치는 영향은? 05) 에멀션 지방질의 광산화 중 산소 소비를 입증하였다. 클로로필은 빛에너지를 이용하여 공기중의 삼중항산소를 일중항산소로 전환시키며 일중항산소는 지방질의 이중결합과 직접 반응하여 산화를 가속화 시킨다(Choe E & Min DB 2005). 다래순, 삼나물, 바질, 페퍼 민트 추출물 첨가 에멀션의 헤드스페이스 산소는 산화전 8.
지방질의 산화가 식품 품질에 미치는 영향은? 특히 클로로필, 리보 플래빈 등의 색소는 빛 에너지를 받아 공기중의 삼중항 산소를 활성이 높은 일중항산소로 변환시킨다(Choe E & Min DB 2005). 지방질의 산화는 이취 생성, 영양소 분해등 식품 품질을 저하시키므로 천연 산화방지제가 풍부한 식물추출물을 첨가하여 지방질 산화를 억제하고 품질을 개선할 수 있는 노력이 에멀션 식품에서도 끊임없이 이루어지고 있다(Frankel EN 등 1996, Kim J & Choe E 2016). 산나물은 취나물, 다래나물, 두릅 등 오래 전부터 산과 들에서 채집, 식용되어 왔으며, 폴리페놀 화합물, 플라보노이드, 토코페롤 등의 산화방지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Ahn H 등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hn H, Choe E. 2016. Content changes of pigments and antioxidants of dried samnamul (Aruncus dioicus) and daraesoon (Actinidia arguta) during rehydration and high temperature cooking. Korean J Food Cook Sci 32(4):383-389. 

  2. Ahn H, Chung L, Choe E. 2015.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and ${\alpha}$ -glucosidase and pancreatic lipase inhibitory activities of several Korean sanchae. Korean J Food Sci Technol 47(2):164-169. 

  3. An S, Lee E, Choe E. 2014. Improvement of chlorophyllphotosensitized oxidation of fish oil-enriched emulsion by sesame oil addition and antioxidant content changes. Korean J Food Sci Technol 46(2):127-134. 

  4. AOAC. 2006.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7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Arlington, VA, USA. Method 970.64. 

  5. AOCS. 2006. Official methods and recommended practices of the American Oil Chemist's Society. 4th ed. AOCS Press, Champaign, IL, USA. Cd 18-90. 

  6. Choe E, Min DB. 2005. Chemistry and reactions of reactive oxygen species in foods. J Food Sci 70(9):R142-R159. 

  7. Choe E, Min DB. 2009. Mechanisms of antioxidants in the oxidation of foods. Compr Rev Food Sci Food Saf 8(4):345-358. 

  8. Choe J, Choe E. 2013. Effects of chlorophyll addition and light on the oxidative stability and antioxidant changes of perilla oil emulsion. Korean J Food Cook Sci 29(1):53-62. 

  9. Chung HY, Kim HB. 2000. In vitro studies on the superoxide scavenging activities, the cytotoxic and the immunomodulating effects of thirteen kinds of herbal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3):699-705. 

  10. Derakhshani Z, Hassani A, Pirzad A, Abdollahi R, Dalkani M. 2012. Evaluation of phenolic content and antioxidant capacity in some medicinal herbs cultivated in Iran. Botanica Serbica 36(2):117-122. 

  11. Frankel EN, Huang SW, Aeschbach R, Prior E. 1996. Antioxidant activity of a rosemary extract and its constituents, carnosic acid, carnosol, and rosmarinic acid, in bulk oil and oil-inwater emulsion. J Agric Food Chem 44(1):131-135. 

  12. Gomez-Coronado DJM, Ibanez E, Ruperez FJ, Barbas C. 2004. Tocopherol measurement in edible products of vegetable origin. J Chromatogr A 1054(1):227-233. 

  13. Im KH. 2010. Effects of acid treatments on chlorophyll, carotenoid and anthocyanin contents in Arabidopsis. Res Plant Dis 16(1):81-85. 

  14. Kim J, Choe E. 2016. Effects of selected herb extracts on ironcatalyzed lipid oxidation in soybean oil-in-water emulsion. Food Sci Biotechnol 25(4):1017-1022. 

  15. Kopsell DA, Kopsell DE, Curran-Celentano J. 2005. Carotenoid and chlorophyll pigments in sweet basil grown in the field and greenhouse. HortSci 40(5):1230-1233. 

  16. Krasovsky AA. 1979. Photoluminescence of singlet oxygen in pigment solutions. Photochem Photobiol 29(1):29-36. 

  17. Kwak CS, Lee JH. 2014. In vitro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sprout of evening primrose (Oenothera laciniata) and gooseberry (Actinidia arguta).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2):207-215. 

  18. Lee J, Choe E. 2009. Effects of phosphatidylcholine and phosphatidylethanolamine on the photooxidation of canola oil. J Food Sci 74(6):481-486. 

  19. Lee SH, Choe E, Lee HG, Park GH. 2001. Factors affecting the components of chlorophyll pigment in spinach during storage.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4(2):73-80. 

  20. Lee Y, Choe E. 2011. Interaction of phosphatidylcholine and ${\alpha}$ -tocopherol on the oxidation of sunflower oil and content changes of phosphatidylcholine and tocopherol in the emulsion under singlet oxygen. J Food Sci 76(3):498-503. 

  21. Schwartz SJ, von Elbe JH. 1983. Kinetics of chlorophyll degradation to pyropheophytin in vegetables. J Food Sci 48(4):1303-1306. 

  22. Straumite E, Kruma Z, Galoburda R. 2015. Pigments in mint leaves and stems. Agron Res 13(4):1104-1111. 

  23. Triantaphyllou K, Blekas G, Boskou D. 2001. Antioxidative properties of water extracts obtained from herbs of the species Lamiaceae. Int J Food Sci Nutr 52(4):313-317. 

  24. Young AJ, Lowe GM. 2001. Antioxidant and prooxidant properties of carotenoids. Arch Biochem Biophys 385(1):20-2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