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길도 소하천 담수어류상 및 군집구조
Freshwater Fish Fauna and Community Structure of the Small Streams in Bogil Island, Korea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31 no.1, 2017년, pp.72 - 80  

한정호 (국립중앙과학관 연구진흥과) ,  박찬서 (국립중앙과학관 연구진흥과) ,  안광국 (충남대학교 생물과학과) ,  백운기 (국립중앙과학관 연구진흥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5년 6월부터 9월까지 보길도 일대의 소하천의 12개 조사지점에서 담수어류상 및 어류 군집구조를 분석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9과 17속 21종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망둑어과(10종, 1,157개체; 상대풍부도 (RA), 40.9%)가 우점과로 나타났고, 아우점과는 잉어과 (3종, 500개체), 숭어과(2종, 168개체)순으로 나타났다. 버들치(RA 20.7%, 397개체)가 우점종으로 나타났으며, 아우점종은 꾹저구(19.5%, 373개체), 사백어(17.2%, 330개체), 가숭어(8.5%, 163개체) 순으로 나타났다. 보길도에서 채집된 담수어류 중 생활형 구분으로 일차담수어가 9종(42.9%), 주연성 어종 11종(52.4%), 양측회유성 어종 1종(4.8%)으로 나타났다. 한반도 고유종 및 외래어종은 보길도에서 한종도 출현하지 않았다. 군집분석 결과에 따르면, 종 풍부도 지수종 다양도 지수는 다른 지점에 비해 많은 종이 출현한 부황천 최하류 구간(S8)에서 각각 1.831, 1.957로 높게 나타났으며, 중류구간 (S4)에서 0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반면, 우점도 지수는 중류구간(S4) 1로 높게 나타났으며, 최하류 구간(S8)에서 0.17로 낮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ish fauna and community structures in freshwater were analyzed in the streams (12 stations) of the Bogil Island from May to September 2015. Total numbers of the sampled species and genus (9 families) were 21 and 17, respectively. Gobiidae was the most dominant taxa, which accounted for 47.6% (10 s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 포함되는 보길도를 대상으로 하여 보길도 수계에 대한 담수어류상 조사를 통하여 이 지역에 서식하는 어류상을 밝히고, 이를 통해 보길도의 담수어류를 연구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지리적 특성은? 우리나라는 북쪽을 제외한 3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반도의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국토의 면적에 비해 해안선이 매우 길며, 특히 서남해안은 리아스식 해안이 발달되어 있어 다도해의 특성을 보이고 있다(Chae and Yoon, 2007;Han et al., 2016).
섬들에 존재하는 독립적인 소하천에 대해 미흡한 점은? 이처럼 다도해에 서식하는 담수어류들은 섬이라는 고립된 특성으로 인하여 섬과 내륙, 섬 내 하천간에도 서로 격리되어 분포하고 있기 때문에 종 다양성은 높지 않지만, 해당 섬의 생성과 관련된 지리·역사적 사건이나, 어류의 지리분포, 하천의 생태적 특성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해 주기도 한다(Son and Song, 1998;Chae and Yoon, 2007). 그러나 섬지역의 소하천들이 가지고 있는 생태적 가치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하천 관리나 서식하고 있는 생물상 및 서식환경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미한 실정이다(Choi and Lee, 2008a).
담수어류 조사가 특히 부족한 곳은? 환경부에서는 전국 무인도서를 대상으로 자연환경조사(MOE, 2006, 2012)를 실시하여 생태계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나, 이 연구에서는 담수어류 조사가 없는 실정이다. 특히, 남해안에서도 남서쪽에 위치하는 전남해안은 전국에서 가장 많은 섬(1,965개, 전국 도서의 약 60 %)이 존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Choo and Kim, 2013), 이 지역에 대한 담수어류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연구대상지인 보길도는 동경 126°30´~126°38′, 북위 34°6′~34°11′의 완도군 남서쪽에 있는 섬으로서, 담수 생태계는 보길저수지, 통리저수지, 부황천 및 소하천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Byeon, M.S., H.K. Park, W.O. Lee and D.S. Kong(2008) Fish Fauna and Community Structure in Lake Paldang and its Inflows.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24(2): 206-213. (in Korean) 

  2. Chae, B.S. and H.N. Yoon(2007)Freshwater Fish Fauna of the Yeosu Peninsula and Geumo Islands, Korea.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19(3): 225-235. (in Korean) 

  3. Chae, B.S., S.K. Kim, Y.H. Kang, N.S. Heo, J.M. Park, H.U. Ha and U.W. Hwang(2015) Ichthyofauna and Fish Community Structure in Upper Reach of the Nakdong River, Korea.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27(2): 116-132. (in Korean) 

  4. Choi, J.S. and K.Y. Lee(2008a) Fish Fauna in Ganghwado, Korea.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5: 1-13. (in Korean) 

  5. Choi, J.S. and K.Y. Lee(2008b) Ichthyofauna in Gyodongdo and Seokmodo, Korea.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5: 50-61. (in Korean) 

  6. Choi, K.C. and S.R. Jeon(1980) A Study on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Fresh-water Fishes living in the Islands of the Korean Peninsula. Nature Conservation 2: 119-139. (in Korean) 

  7. Choi, Y., J.H. Kim and J.Y. Park(2002) Marine Fishes of Korea. Kyohak Press Co., Seoul, pp. 1-646. (in Korean) 

  8. Choo, H.S. and D.S. Kim(2013) Tide and Tidal Currents Around the Archipelago on the Southwestern Waters of the South Sea,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19(6): 582-596. (in Korean) 

  9. Gorman, M.L.(1979) Island Ecology. Chapman and Hill, New York, pp. 22-70. 

  10. Han, J.H. and K.G. An(2013) Chemical Water Quality and Fish Community Characteristics in the Mid- to Downstream Reach of Geum River.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31(3): 180-188. (in Korean) 

  11. Han, J.H., H.H. Jeong, Y.P. Hong, C.S. Park, J.W. An and W.K. Paek(2016a) The Marine Fishes of South Sea. Nature and ecology. Press Co., Seoul, pp. 1-416. (in Korean) 

  12. Han, J.H., C.S. Park, H. Hwang and W.K. Paek(2016b) A Study on the Freshwater Fish Community in the Small Streams in Namhae Island,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30(4): 730-744. (in Korean) 

  13. Han, J.H., C.S. Park, J.W. An, G.K. An and W.K. Paek(2015) Identification Guide to Freshwater Fishes of Korea. Nature and Ecology. Press Co., Seoul, pp. 1-359. (in Korean) 

  14. Jeon, S.R.(1992) Freshwater Fish Fauna of the Paiknyong Isl. and Taeyonpyong Isl., Korea. Journal of Basic Science 6(17): 17-2. (in Korean) 

  15. Kim, I.S.(1997)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Flora of Korea Vol. 37 Freshwater Fishes, Ministry of Education, Sejong, 631pp. (in Korean) 

  16. Kim, B.J.(2006) Freshwater Fishes Including Introduced Species of Jeju Island, Korea. Bulletin of the Marine and Environmental Research Institute of Jeju National University 30(2): 9-19. (in Korean) 

  17. Kim, C.H., E.J. Kang, H. Yang, K.S. Kim and W.S. Choi(2012) Characteristics of Fish Fauna Collected from Near Estuary of Seomjin River and Population Ecology.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30(4): 319-327. (in Korean) 

  18. Kim, I.S. and J.Y. Park(2002) Freshwater Fishes of Korea. Kyohak Press Co., Seoul, pp. 1-465. (in Korean) 

  19. Kim, I.S., W.O. Lee and C.H. Yoon(1994) Freshwater Fish Fauna of the Geumoyeoldo Island, Korea. Nature Conservation 32: 193-209. (in Korean) 

  20. Kim, J.R. and C.L. Lee(2001) Ichthyofauna and Fish Community from the Dongjin River System, Korea.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13(1): 40-49. (in Korean) 

  21. KNP.(1997) Monitoring Natural Resources of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Korea National Park Service, Seoul, pp. 168-170. (in Korean) 

  22. KNP.(2009) Monitoring Natural Resources of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Korea National Park Service, Seoul, pp. 461-493. (in Korean) 

  23. Lee, W.O. and S.Y. Rho(2006) Colored Book of Freshwater Fish of Korea. Jisung Press Co., Seoul, pp. 1-432. (in Korean) 

  24. Margalef, R.(1958)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General Systems 3: 36-71. 

  25. McDowall, M.R.(1998) Diadromy in Fishes, Migrations Between Freshwater and Marine Environments. Timber Press, Portland, 308 pp. 

  26. McNaughton, S.J.(1967) Relationship Among Functional Properties of California Glassland. Nature 216: 168-169. 

  27. MOE.(2006) Basic Plan for Water Environment Management. Ministry of Environment(MOE) (in Korean) 

  28. MOE.(2012) Basic Plan for Water Environment Management. Ministry of Environment(MOE) (in Korean) 

  29. MOE/NIER.(2008) The Survey and Evaluation of Aquatic Ecosystem Health in Korea. The Ministry of Environment /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Korea, pp. 73-100. 

  30. Nelson, J.S.(2006) Fishes of The World. 4th ed. New Jersey: John Wiley and Sons Inc. pp. 397-398. 

  31. Oh, H.K. and M.S. Beon(2011) Characteristics Type of Vascular Plants in Jeokjabong, Bogil Island(Jeonnam). Journal of Korean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4(4): 25-40. (in Korean) 

  32. Pielou, E.C.(1966) The Measurement of Diversity in Different Types of Biological Collections. Journal of Theoretical Biology 13: 131-144. 

  33. Shannon, C.E. and W. Weaver(1963)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rbana: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pp. 1-177. 

  34. Son, Y.M. and H.B. Song(1998) Fish Fauna and Distribution on Kojedo, Korea.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10(1): 87-97. (in Korean) 

  35. Song, T.G., K.Y. Park, W.O. Lee and I.S. Kim(1987) Freshwater Fishes in Jindo Island, Jeonnam Province, Korea. Coastal Environment Research 3: 119-130.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