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퇴적물 용출수를 이용한 오염 퇴적물의 생물영향평가 가능성과 방향: 요각류 유생의 성장 및 분자생체지표의 활용
Potential and Future Directions of Effect Assessment of Polluted Sediment Using Sediment Elutriates: Effects on Growth and Molecular Biomarkers on Marine Copepod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26 no.3, 2017년, pp.207 - 216  

원은지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환경기반연구센터) ,  강예희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환경기반연구센터)

초록

오염퇴적물의 생물영향평가를 위해 다양한 생물검정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퇴적물에 직접 노출시키는 평가 방법은 실험과정 동안 섭식 및 섭식에 의한 생물의 영향을 배제할 수 없으며 관찰을 위한 실험 생물이 대형생물 또는 저서성 생물에 제한되는 등의 한계가 있다. 본 실험에서는 짧은 생활사를 가지며 많은 연구에서 독성 결과가 축적되어 있는 요각류와 퇴적물의 용출수를 이용해 생물영향평가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오염의 정도가 다른 두 정점의 퇴적물 용출수에 해산 요각류를 노출 시켜 개체 및 분자 수준에서 관찰되는 변화를 측정한 결과 해산 요각류의 유생의 성장과 분자생체지표의 발현에서 오염된 퇴적물의 용출수에서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분자생체지표의 발현은 용출수의 희석 정도와 노출 시간에 의존적인 경향을 나타내 용출수를 이용한 생물영향평가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본 논문 결과를 바탕으로 퇴적물의 오염 및 생물영향평가에 있어 용출수 노출시험이 오염물질의 정량적 분석결과를 보완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많은 자료의 축적과 활용성에 대한 평가 및 기준이 제시되어야 한다고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everal bioassays have been performed for assessment of the impact of polluted sediments. The direct exposure method using sediments is limited by difficulty controlling feeding and its effects on organisms. Furthermore, only macro-organisms and benthic organisms are used. To evaluate the potentia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오염물질에 대한 생물독성 및 생물영향평가에 많이 이용되는 해산 요각류의 성장과 분자수준에서의 생체지표를 이용하여 오염의 정도가상이한 퇴적물 시료의 용출수 노출에 따른 생물 영향측정의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퇴적물 평가에 용출수와 실험생물의 활용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오염의 정도가 다른 두 퇴적물 시료의 용출수에 해산 요각류를 노출시켜 개체 및 분자수준에서의 영향을 관찰하였다. 용출수 노출에 대해서는 치사율 관찰이 되지 않았으나 성장 관찰을 위해 유생을 노출 시킨 경우 유생(Nauplius) 1-3 단계에서 탈피 하지 못하고 죽는 개체를 확인할 수 있었다.
  • 본 실험에서는 퇴적물의 생물영향평가를 위한 용출수 노출 실험의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오염의 정도가 다른 두 정점의 표층 퇴적물을 이용해 만든 용출수에 해산 요각류를 노출시켜 생물의 개체 및 분자 수준에서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유생의 성장과 분자생체지표의 발현에서 오염된 퇴적물의 용출수에서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용출수의 희석 정도와 노출 시간에 따라서 농도와 시간 의존적인 발현 경향을 보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극수나 용출수와 같은 퇴적물로부터 확보한 액상의 시료를 이용한 생물 평가의 장점은? 공극수나 용출수와 같은 퇴적물로부터 확보한 액상의 시료를 이용한 생물 평가는 퇴적물의 오염 상태를 반영하며(Harkey 1994; Haring 2010), 퇴적물을 동시에 노출시키면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물리화학적 인자들은 제외시킬 수 있고, 작은 실험 생물을 이용한 실험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장점을 갖는다. 특히 퇴적물의 용출수는 국제표준시험법 중 미국재료시험학회(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 ASTM)에서 제시한 실험 방법 중 하나로 준설물질의 처리 처분 평가를 위해 이용되고 있으며(Ludwig et al.
퇴적물을 이용한 생물 평가의 수행목적은? 퇴적물을 이용한 생물 평가(또는 독성평가)는 퇴적물 내 오염물질이 야기할 수 있는 생물 영향을 판단하기 위해 수행되며 퇴적물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의 정량분석과 함께 서식하는 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가시적인 결과로 보여준다(Bat & Raffaelli 1998; Ferraz et al. 2017; Vethaak et al.
생물 평가분야에서 분자생체지표를 활용하는 것의 문제점은? 그러나 퇴적물 오염 평가를 위한 분자생체지표의 활용은 현장에 서식하는 생물체 내의 생체지표 차이나 현장 퇴적물에 노출시켜 관찰할 수 있는 생물(즉, 대형 저서동물)을 이용한 노출 실험 등에 한 해 수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생물의 경우 실험실에서의 생물의 유지와 확보의 어려움이 있다. 또한, 퇴적물에 직접 노출 시키는 평가 방법은 먹이가 될 수 있는 입자에 의한 영향 또는 섭식 경로를 통한 오염물질의 노출에 의한 생물 영향을 배제할 수 없으며(USEPA 1994), 실험 종에도 제약이 있어 관련된 평가를 위해서는 다양한 시도와 신뢰할 수 있는 자료가 요구되는 상황이다(Word et al.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Ankley GT, Bennett RS, Erickson RJ, Hoff DJ, Hornung MW, Johnson RD. 2010. Adverse outcome pathways: a conceptual framework to support ecotoxicology research andrisk assessment. Environ Toxicol Chem. 29: 730-741. 

  2.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 (ASTM) 2009, D5660-96 Standard test method for assessing the microbial detoxification of chemically contaminated water and soil using a toxicity test with a luminescent marine bacterium, ASTM International, United States, p. 1-9. 

  3. Bat L, Raffaelli D. 1998. Sediment toxicity testing: a bioassay approach using the amphipod Corophium volutator and the polychaete Arenicola marina. J Exp Mar Biol Ecol. 226(2): 217-239. 

  4. Dahl U. 2008. Integrating biochemical and growth responses in ecotoxicological assay with copepod. Ph.D. dissertation, Stockholm University, Sweden. 

  5. Dahms HU, Won EJ, Kim HS, Han J, Park HG, Souissi S, Raisuddin S, Lee JS. 2016. Potential of the small cyclopoid copepod Paracyclopina nana as an invertebrate model for ecotoxicity testing. Aquat Toxicol. 180:181-194. 

  6. Ferraz MA, Alves AV, Muniz CC, Pusceddu FH, Gusso-Choueri PK, Santos AR, Choueri RB. 2017. Sediment toxicity identification evalutaion (TIE phases I and II) based on microscale bioassays for diagnosing causes of toxicity in coastal areas affected by domestic sewage. Environ Toxicol Chem. DOI: 10.1002/etc.3824. In press 

  7. Han J, Won EJ, Kim HS, Nelson DR, Lee SJ, Park HG, Lee JS. 2015. Identification of the full 46 cytochrome P450 (CYP) complement and modulation of CYP expression in response to water-accommodated fractions of crude oil in the cyclopoid copepod Paracyclopina nana. Environ Sci & Technol. 49(11): 6982-6992. 

  8. Harkey GA, Landrum PF, Klaine SJ. 1994. Comparison of whole-sediment, elutriate and pore-water exporues for use in assessing sediment-associated organic contaminants in bioassays. Environ Toxicol Chem. 13(8): 1315-1329. 

  9. Haring HJ, Smith ME, Lazorchak JM, Crocker PA, Euresti A, Wratschko MC. 2010. Comparison of bulk sediment and sediment elutriate toxicity testing mehods. Arch Environ Contam Toxicol. 58(3): 676-683. 

  10. Kwok KWH, Souissi S, Dur G, Won EJ, Lee JS. 2015. Copepods as references species in estuarine and marine water. In: Editor Amiard-Triquet C, Amiard JC, Mouneyrac C. Aquatic ecotoxicology: Advancing tools for dealing with emerging risks. Elsevier; p. 281-308. 

  11. Lavorante BR, Oliveira DD, Costa BV, Souza-Santos LP. 2013. A new protocol for ecotoxicologial assessment using nauplii of Tisbe biminiensis (Copepoda: Harpacticoida). Ecotoxicol Environ Saf. 95: 52-59. 

  12. Lee KW. 2004. Mass culture and food value of the cyclopoid copepod Paracyclopina nana Smirnov.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Gangreung. Korea. [Korean Literature] 

  13. Lee KW, Rhee JS, Han J, Park HG, Lee JS. 2012. Effect of culture density and antioxidants on naupliar production and gene expression of the cyclopoid copepod, Paracyclopina nana. Comp Biochem Physiol A. 161: 145-152. 

  14. Lee BY, Kim HS, Choi BS, Hwang DS, Choi AY, Han J, Won EJ, Choi IY, Lee SH, Om AS, Park HG, Lee JS. 2015. RNA-seq based whole transcriptome analysis of the cyclopoid copepod Paracyclopina nana focusing on xenobiotics metabolism. Comp Biochem Physiol D. 15: 12-19. 

  15. Livak KJ, Schmittgen TD. 2001. Analysis of relative gene expression datausing real time quantitative PCR and the $2^{-{\Delta}{\Delta}Ct}$ method. Methods. 25(4): 402-408. 

  16. Ludwig DD, Sherrard JH, Amende RA. 1989. Evaluation of the standard elutriate test as an estimator of conmatinant release at dredging sites. Res. J Water Pollut. 61 (11/12): 1666-1672. 

  17. Moon HB, Choi M, Choi HG, Kannan K. 2012a. Severe pollution of PCDD/Fs and dioxinlike PCBs in sediments from Lake Shihwa, Korea: Tracking the source. Mar Pollut Bull. 64(11): 2357-2363. 

  18. Moon HB, Choi M, Yu J, Jung RH, Choi HG. 2012b. Contamination and potential sources of polycrominated diphenyl ethers (PBDEs) in water and sediment from the artificial Lake Shihwa, Korea. Chemosphere. 88(7): 837-843. 

  19. Moore DW. 2001. Review of field validation studies of sediment bioassays for theregulatory evaluation of dredged material, DOER Technical Notes Collection (ERDCTN-DOER-C23), U.S. Army Engineer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Vicksburg, MS. 

  20. Nam SH, An YJ. 2014. Review of the extraction methods of soil extracts, soil elutriates, and soil suspensions for ecotoxicity assessment. J Soil Groundw Environ. 19(3): 15-24. [Korean Literature] 

  21. Novelli AA, Losso C, Libralato G, Tagliapietra D, Pantani C, Ghirardini AV. 2006. Is the 1:4 elutriation ratio reliable? Ecotoxicological comparison of four different sediment: water proportions. Ecotox Environ Saf. 65: 306-313. 

  22. Phelps HL. 1989. Clam burrowing bioassay for estuarine sediment. Bull Environ Contam Toxicol. 43(6): 838-845. 

  23. Ra K, Kim KT, Kim ES, Won EJ, Lim KI, Park SY, Shin KH. 2009. Geochemistry of trace metals in Shihwa Lake sediment. Proceedings of the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2009 Nov.; Korea 175-180. [Korean Literature] 

  24. Raisuddin S, Kwok KWH, Leung KMY, Schlenk D, Lee JS. 2007. The copepod Tigriopus: A promising marine model organism for ecotoxicology and environmental genomics. Aquat Toxicol. 83: 161-173. 

  25. Sarkar A, Ray D, Shrivastava AN, Sarker S. 2006. Molecular biomarkers: their significance and application in marine pollution monitoring. Ecotoxicology. 15(4): 333-340. 

  26. Schettino T, Caricato R, Calisi A, Giordano ME, Lionetto MG. 2012. Biomarker approach in marine monitoring and assessment: New insights and perspectives. Open Environ Sci. 6: 20-27. 

  27. Shin KH. 2009. Research for developing monitoring and risk assessment method of suspended particles in bottom water of Lake Shihwa. AETEC. Report 08-2-70-76 [Korean Literature] 

  28. USEPA. 1991. Evaluation of dredged material proposed for ocean disposal testing manual. EPA 503/8-91/001. 

  29. USEPA. 1994. Methods for measuring the toxicity and bioaccumulation of sedimentassociated contaminants with freshwater invertebrates. EPZ 600/R-94/024. 

  30. USEPA. 2016. Guidance for performing tests on dredged material proposed for ocean disposal. EPA 

  31. Vethaak AD, Hamers T, Martinez-Gomez C, Kamstra JH, de Weert J, Leonards PEG, Smedes F. 2017. Toxicity profiling of marine surfase sediments: A case study using rapid screening bioassays of exhaustive total extracts, elutriates and passive sampler extracts. Mar Environ Res. 124: 81091. 

  32. Won EJ, Hong S, Ra K, Kim KT, Shin KH. 2012. Evaluation of the potential impact of polluted sediments using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bioaccumulation and biomarker responses. Environ Sci Pollut Res. 19(7): 2570-2580. 

  33. Won EJ, Lee JS. 2014a. Gamma radiation induces growth retardation, impared egg production, and oxidative stress in the marine copepod Paracyclopina nana. Aquat. Toxicol. 150: 17-26. 

  34. Won EJ, Lee Y, Han J, Hwang UK, Shin KH, Park HG, Lee JS. 2014b. Effect of UV radiation on hatching, lipid peroxidation,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the copepod Paracyclopina nana. Comp Biochem Physiol C 165: 60-66 

  35. Word JQ, Gardiner WW, Moore DW. 2005. Influence of confounding factors on SQGs and their application to estuarine and marine sediment evaluations. In: Editor Wenning RJ, Batley GF, Ingersoll CG, Moore DW. Use of sediment quality guidelines and related tools for the assessment of contaminated sediments. SETAC, p.633-68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