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척지에서 파종량 및 질소 시비량에 따른 사료용 피의 생육특성과 사료 수량
Effect of Seeding and Nitrogen rates on the Growth characters, Forage yield, and Feed value of Barnyard millet in the Reclaimed tidal land 원문보기

Weed & Turfgrass Science, v.6 no.2, 2017년, pp.124 - 129  

황재복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박태선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박홍규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김학신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최인배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배희수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사료용 피 직파재배시 적정 파종량 시험에서 입모수는 파종량이 증가할수록 많았으며, 입모율은 41-42% 정도였다. 경수도 파종량이 증가할수록 많았고, 초장은 파종량이 많을수록 증가하였으나 $50kg\;ha^{-1}$에서는 감소하였다. 파종량이 많았던 $50kg\;ha^{-1}$에서 도복지수가 3이었다. 건물중은 파종량 $40kg\;ha^{-1}$에서 가장 높았고, TDN 생산량은 파종량이 적을수록 높았다. 수량반응 곡선상 $36kg\;ha^{-1}$에서 최대수량 건물수량이 추정되었다. 변화 상태의 회귀식은 $Y=0.0098X^2+0.7030X+2.6267$으로 표시되었다. 출수기는 파종량이 많을수록 늦어지는 경향이었다. 사료용 피 직파 재배시 질소질 비료 $150-250kg\;ha^{-1}$ 시비에서 건초 수량의 차이는 없었으나, 무시용 대비 건초 수량은 200 및 $250kg\;ha^{-1}$ 시비에서 16.6톤 $ha^{-1}$ 및 16.9톤 $ha^{-1}$로 43% 및 45% 정도 높았다. 조단백질 수량(CP)은 건물수량과 비슷한 경향으로 무질소구에서 0.28톤 $ha^{-1}$이었던 것이 질소 $250kg\;ha^{-1}$ 시비구에서 0.54톤 $ha^{-1}$ 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by moderate season culture of each of early, medium and late maturing varieties which were considered to be of strong salt tolerance in low and high salty reclaimed areas (0.2% at the May).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roper nitrogen fertilizer leve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간척지에 사료용 피의 안정생산을 위해 적정시비량, 파종량을 구명하여 국산 조사료 자급률 향상과 농가 소득 향상을 위해 기술을 보급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척지의 장점은? 간척지의 농업여건 변화에 따라 정부에서는 조사료 자급률 향상을 위한 사료작물의 확대재배를 추진하고 있다. 간척지는 평탄지와 자연적 입지여건으로 대규모 기계화 농업이 가능하고 사료 작물 등 복합곡물단지 조성도 용이하다. 간척지 토양은 염을 포함하고 있고 낮은 유기물 함량으로 저위생산성을 나타낸다.
간척지 토양의 특징은? 간척지는 평탄지와 자연적 입지여건으로 대규모 기계화 농업이 가능하고 사료 작물 등 복합곡물단지 조성도 용이하다. 간척지 토양은 염을 포함하고 있고 낮은 유기물 함량으로 저위생산성을 나타낸다. 토양 염분 함량은 작물의 생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장해가 발생될 경우 인위적인 조절이 어려우므로 토양 염농도에 따라 도입작물을 선정하고, 작물별 염해 적응성에 따른 생장정보를 바탕으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염을 포함하는 간척지 토양을 농업에 사용 시 고려해야 할 것은? 간척지 토양은 염을 포함하고 있고 낮은 유기물 함량으로 저위생산성을 나타낸다. 토양 염분 함량은 작물의 생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장해가 발생될 경우 인위적인 조절이 어려우므로 토양 염농도에 따라 도입작물을 선정하고, 작물별 염해 적응성에 따른 생장정보를 바탕으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금까지 간척사업으로 조성된 간척지는 벼 위주의 농업으로 발달해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aek, N.H., Choi, W.Y., Ko, J.K., Nam, J.K. and Park, H.K. 2005. Proper Nitrogen Fertilizer Level for Improving the Rice Quality at Reclaimed Saline Land in the Southwestern. Korean J. Crop Sci. 50(5): 46-50. 

  2. Baek N.H., Choi, W.Y., Ko, J.K., Nam, J.K. and Park, H.K. 2006. Optimum Seeding Rate in Different to Soil Salinity for Broadcasting on the Rice Flooded Paddy Surface at Southwestern Reclaimed Saline Land of Korea. Korean J. Crop Sci. 51: 47-51. 

  3. Baker, R.D. 2003. Millet production. Guide A-414. College of Agriculture and Home Economics on the World Wide Web at www.cahe.nmsu.edu. New Mexico State University Library. 

  4. Ball, D.M., C.S. Hoveland and G.D. Laccfield. 2004. Forage crop pocket guide. Potash & phosphate institute (PPI). pp. 16. 

  5. Cho, N.K., Kang, Y.K., Song, C,K., Ko, Y.S. and Cho, Y.I. 2001a. Effect of seeding rate on forage yield and chemical composition of Echinochlo crusgalli Var. Frumentacea (Roxb) Wight in Jeju reign. J. Kor. Grassl. Sci. 21:225-232. 

  6. Cho, N.K., Song, C,K., Song, S.W., Cho, Y.I. and Oh, E.K. 2001b. Effect of seeding rate on agronomic characteristics, forage yield and chemical composition of oats in Jeju island. Jounal of Animal and Techonlogy 43(4):561-568. 

  7. Chun H.C., Jung, K.Y., Choi, Y.D., Lee, S.H. and Kang, H.W. 2016. The growth and yield changes of foxtail millet (Setaria italic L.), proso millet (Panicum miliaceum L.), sorghum (Sorghum bicolor L.), adzuki bean (Vigna angularis L.), and sesame (Sesamum indicum L.) as affected by excessive soil-water. Kor. J. Agric. Sci. 43:547-559. 

  8. Han, K.J., Kim, D.A. 1992. Effects of seeding rates and nitrogen fertilization levels on the agronomic characteristics, nutritive value and forage yield of spring oat. J. Japan Grassl. Sci. 12(1):59-66. 

  9. Jung N.J., Kim J.K. and Park T.S. 2014. Selection of the excellent barnyard millet variety and technical development for their weediness prevention in paddy rice. PJ008457, RDA. 

  10. Ko, Y.S. 2002. Effect of seeding rate and seeding date on the growth characters, forage yield and chemical composition of Japanese millet. Cheju National University. 

  11. Lee H. W. and Kim, D. A. 1980. Effect of Seeding Rates and Nitrogen Fertilization on the Growth , Chemical Composition and Forage Yield of Japanese Barnyard Millet. Jounal of Animal and Techonlogy 22(1):83-92. 

  12. Lee S.H., Bae H.S., Lee S.H., Oh Y.Y. and Ryu J.H. 2015. The Society of Agricultural Research on Reclaimed Lands. pp. 88-103. 

  13. MAFRA. 2015. http://library.mafra.go.kr/skyblueimage/4523.pdf.p. 358. 

  14. NIS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RDA. 2007. Annual report of the monitoring project on agri-environment quality. pp. 6-12. 

  15. Park T.S., Park, H.K., Hong, S.W., Kim, J.K., Jung, N.J., et al. 2012.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Herbicidal Response of Barnyard Millet Strains Under Paddy Rice. Korean J. Weed Sci. 32(3):256-262. 

  16. RDA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995. Analysis manual for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in research. RDA, Suwon, Korea. 

  17. RDA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0. Analysis manual for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in research. RDA, Suwon, Korea. 

  18. Shin, J.S., Kim, W.H., Lee, S.H., Yoon, S.H., Chung, E.S., et al. 2004. Comparison of dry matter and feed value of major summer forage crops in the reclaimed tideland. J. Kor. Grassl. Sci. 24:335-340. 

  19. Tasuke, Y. and K. Yasuo. 1975. Studies on the cultivation of Japanese barnyard millet as soiling crop. J. Japan Grassl. Sci. 21(1):34-4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