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폴리머 적층 시스템과 실험계획법을 이용한 다양한 공극 패턴에 따른 PCL 인공지지체의 제작 연구
Fabrication of PCL Scaffolds According to Various Pore Patterns Using Polymer Deposition System and Design of Experiments 원문보기

大韓機械學會論文集.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A, v.41 no.7, 2017년, pp.645 - 653  

사민우 (안동대학교 기계공학과) ,  최선웅 (안동대학교 기계공학과) ,  이재욱 (안동대학교 기계공학과) ,  김종영 (안동대학교 기계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골 조직 공학에서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PCL)은 생분해성생체적합성의 합성고분자로서 인공지지체의 제작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생체재료 중 하나이다. 인공지지체의 제작에서 지지대폭은 생체 내/외 실험에서 공극 크기뿐만 아니라 공극률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지지대 폭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조직 재생에 중요하게 고려되는 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온도, 공압, 이송 속도, 그리고 노즐 팁 높이를 이용하여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인공지지체 제조 공정이 될 수 있도록 실험 계획법을 통해 최적 공정 조건을 탐색하였다. $150{\mu}m$ 지지대 폭을 가지는 PCL 인공지지체를 제작하는 것이 목표였으며, 한 가지의 공극 패턴이 아니라 다양한 공극 패턴에 따른 PCL 인공지지체를 제작하는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모든 실험 그룹에서 지지대 폭이 일정함을 증명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bone tissue engineering, polycaprolactone (PCL) is one of the most widely used biomaterials in the manufacturing of scaffolds as a synthetic polymer having biodegradability and biocompatibility. The strut width in the fabrication of scaffolds is an important part of tissue regeneration in in-vit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열 용해 적층 방식을 이용하여 다양한 인공지지체 제작에 쓰이고 있는 PCL 생분해성 고분자를 사용하여 지지대 폭과 공극 패턴에 따른 인공지지체를 제작하기 위해 실험 계획법을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자유 형상 제작 방식의 폴리머적층 시스템과 실험계획법을 이용하여 다양한 공극 패턴에 따른 PCL 인공지지체의 제작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 본 연구의 목표는 인공지지체의 제조에서 150 µm의 지지대 폭을 위한 최적 조건을 탐색하는 것이다.
  • 실험계획법을 통해 얻어진 최적 공정 조건을 이용하여 다양한 공극 패턴에 따른 PCL 인공지지체의 제작에 적용해보고자 하였다. 최근 많은 연구진들에 의해 연구되고 있는 인공지지체 공극 패턴 중에서 5가지 공극 패턴을 선택하였다.
  • 주 효과 그림만 고려한 경우 온도와 압력의 값이 증가할수록 지지대 폭이 증가하였고, 이송 속도와 노즐 팁 높이가 증가할수록 지지대 폭이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통해 각 인자들에 의한 결과 값이 목표로 하는 지지대 폭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반응표면 모델로 최적 요인 조건을 찾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뼈는 우리 몸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가? 뼈(Bone)는 우리 몸에 크고 작은 뼈로 200여 개가 있는데, 근육(Muscle)과 힘줄(Tendon)로 서로 단단히 연결되어 뼈대를 이루고 있다. 뼈는 몸 속의 중요한 장기들을 보호하고, 혈액을 생성하며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구조물이다.(1) 최근 의학 및 의료 관련 분야에서는 골절(Fracture), 골다공증(Osteoporosis), 구루병(Rickets) 등의 뼈 관련 질병으로 인해 환자들이 치료 및 수술을 필요로 하고 있다.
폴리카프로락톤은 무엇이며 주로 어디에 사용되는가? 골 조직 공학에서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PCL)은 생분해성 및 생체적합성의 합성고분자로서 인공지지체의 제작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생체재료 중 하나이다. 인공지지체의 제작에서 지지대폭은 생체 내/외 실험에서 공극 크기뿐만 아니라 공극률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지지대 폭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조직 재생에 중요하게 고려되는 부분이다.
인공지지체로 사용될 수 있는 재료 중 가장 널리 사용되는 재료는 무엇인가? (3) 이때 인공지지체로 사용될 수 있는 재료로는 합성고분자(Synthetic polymer), 천연고분자(Natural polymer), 세라믹(Ceramic), 금속(Metal) 등이 있다.(4) 이 중 생분해성 및 생체적합성을 가진 재료로 폴리카프로 락톤(Polycaprolactone, PCL) 생체재료가 있으며, 인공지지체의 제작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합성고분자이다.(5) PCL은 미국 식품 의약국(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에 의해 안정성이 입증된 성분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The National Health Information Portal (http://health.mw.go.kr/) (Accessed 13 February 2017) 

  2. Vats, A., Tolley, N. S., Polak, J. M., et al., 2006, "Tissue Engineering and Developmental Biology: Going Biomimetic," Tissue Engineering, Vol. 12, No. 12, pp. 3265-3283. 

  3. Sa, M. W. and Kim, J. Y., 2015, "Comparison Analysis and Fabrication of Hollow Shaft Scaffolds using Polymer Deposition System," Tissue Engineering and Regenerative Medicine, Vol. 12, No. 1, pp. 46-52. 

  4. Jung, B. O., 2007, "The Development of Bioceramics for Biomedical Applications," Biomaterials Research, Vol. 11, No. 1, pp.12-19. 

  5. Iwan, Z., Hutmacher, D. W., Kim, C. T. and Swee, H. T., 2002, "Fused Deposition Modeling of Novel Scaffold Architectures for Tissue Engineering Applications," Biomaterials, Vol. 23, pp. 1169-1185. 

  6. Rezwan, K., Chen, Q. Z., Blaker, J. J. and Boccaccini, A. R., 2006, "Biodegradable and Bioactive Porous Polymer/Inorganic Composite Scaffolds for Bone Tissue Engineering," Biomaterials, Vol. 27, pp. 3413-3431. 

  7. Lindo, W., Dianying, J. and Jiandong, D., 2006, "A "Room-Temperature" Injection Molding/Particulate Leaching Approach for Fabrication of Biodegradable Three-dimensional Porous Scaffolds," Biomaterials, Vol. 27, pp. 185-191. 

  8. Langer, R. and Vacanti, J. P., 1993, "Tissue Engineering," Science, Vol. 260, No. 5110, pp. 920-926. 

  9. Hollister, SJ, 2005, "Porous Scaffold Design for Tissue Engineering," Nat. Mater, Vol. 7, pp. 518-524. 

  10. Yoon, S. N., Jun, J. Y. and Park, G. T., 2000, "A Novel Fabrication Method of Macroporous Biodegradable Polymer Scaffolds using Gas Foaming Slat as a Progen Additive," Journal of Biomedical Materials Research, Vol. 53, No. 1, pp. 1-7. 

  11. Deville, S., Saiz, E. and Tomsia, A. P., 2006, "Freeze Casting of Hydroxyapatite Scaffolds for Bone Tissue Engineering," Biomaterials, Vol. 27, No. 32, pp. 5480-5489. 

  12. Oh, S. H., Kang, S. G., Kim, E. S., Cho, S. H. and Lee, J. H., 2003,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HYDROPHILIC Poly(Lactic-coglycolic Acid)/Poly (Vinyl Alcohol) Blend Cell Scaffolds by Melt-molding Particulate-leaching Method," Biomaterials, Vol. 22, pp. 4011-4021. 

  13. Son, S. K., 2014, "Study on Adhesion of Preosteoblast in Three Dimensional Polycaprolactone Scaffolds of Notch Type," in MD Theory, Department of Dental Science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14. Luong, N. D., Moon, I. S. and Nam, J. D., 2009, "A Solvent-assisted Compression Molded of Poly(Llactide)/ Hydroxyapatite Electrospun Fibers for Robust Engineered Scaffold Systems," Macromolecular Materials and Engineering, Vol. 294, No. 10, pp. 699-704. 

  15. Sa, M. W. and Kim, J. Y, 2013, "Effect of Various Blending Ratios on the Cell Characteristics of PCL and PLGA Scaffolds Fabricated by Polymer Deposition System," International Journal of Precision Engineering and Manufacturing, Vol. 14, No. 4, pp. 649-655. 

  16. Kim, J. Y., Yoon, J. J., Park, E. K., Kim, S. Y. and Cho, D. W., 2009, "Fabrication of 3D PCL/PLGA/ TCP Bio-scaffold using Multi-head Deposition System and Design of Experi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Vol. 26, No. 1, pp. 146-154. 

  17. Sa, M. W. and Kim, J. Y., 2014, "Fabrication and Characteristic Evaluation of Three-Dimensional Blended PCL (60 wt %) /TCP (40 wt %) Scaffold," Trans. Korean Soc. Mech. Eng. A, Vol. 38, No. 4, pp. 371-377. 

  18. Park, S. A., Lee, S. H. and Kim, W. D., 2011, "Fabrication of Porous Polycaprolactone/Hydroxyapatite (PCL/HA) Blend Scaffolds using a 3D Plotting System for Bone Tissue Engineering," Bioprocess and Biosystems Engineering, Vol. 34, pp. 505-513. 

  19. Lee, J. S., Cha, H. D., Shim, J. H., Jung, J. W., Kim, J. Y. and Cho, D. W., 2012, "Effect of Pore Architecture and Stacking Direction on Mechanical Properties of Solid Freeform Fabrication-based Scaffold for Bone Tissue Engineering, Journal of Biomedical Materials Research Part A, Vol. 100A, pp. 1846-1853. 

  20. Bauer, J., Hengsbach, S., Tesari, I., Schwaiger, R. and Kraft, O., 2013, "High-strength Cellular Ceramic Composite with 3D Microarchitecture,"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 Vol. 111, No. 7, pp. 2453-2458. 

  21. Roohani-Esfahani, S. I., Newman, P. and Zreiqat, H., 2016, "Design and Fabrication of 3D Printed Scaffolds with a Mechanical Strength Comparable to Cortical Bone to Repair Large Bone Defects," Scientific Reports, Vol. 6, No. 1946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