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직접 전기분해식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개발과 시험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the Electrolysis Ballast Water Treatment System and Test 원문보기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v.41 no.3, 2017년, pp.79 - 86  

박옥열 ,  문장 ,  박준모 (한국해양대학교 운항훈련원) ,  공길영 (한국해양대학교 항해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선박의 항해 안전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평형수 탱크에 주입 배출되는 선박평형수는 그 안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수중생물로 인하여 지역 해양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국제해사기구(IMO)는 선박평형수를 통한 수중생물의 이동을 막기 위해, 2004년 선박평형수와 침전물 통제 및 관리를 위한 국제협약을 채택하고 2016년 9월에 발효하여, 2017년 9월 이후 정기검사가 도래하는 모든 선박은 선박평형수 처리장치를 설치하도록 하였다. 선박평형수 처리 방식에는 활성물질을 이용하여 처리하는 전기분해식, 오존식, 약품식과 물리적인 처리방식인 필터, 자외선식 등으로 나누어 지며, 두 가지 방식을 혼용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비용과 효율 면에서 전기분해방식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직접식 전기분해 선박평형수 처리장치의 기본 원리, 구성 요소, 육상 시험 내용을 고찰하였다. 육상시험은 정부시험 시설이 설치되어 있는 KIOST 거제분원에서 $300m^3/h$ 처리 용량의 장치로 수행하였다. 이 육상시험을 통해 직접식 전기분해 선박평형수 처리장치가 IMO에서 제시하고 있는 기준을 만족하고 다른 방식에 비해 효율적인 것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llast water filled into and discharged from the ballast tank of a ship has a negative impact on local marine environment due to various aquatic organisms contained therein. The IMO developed and adopted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Control and Management of Ships Ballast Water and Sedim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 이유는 운전이 안정적이며 비용이 비교적 저렴하며 유지보수가 쉽고 처리 효과가 확실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본 논문에서는 직접 전기분해식 선박평형수 처리장치의 기본원리, 구성요소와 IMO에서 제시하고 있는 활성물질의 최종승인 기준 및 정부형식 승인 기준을 만족하기 위해서 수행한 육상시험 내용과 결과를 고찰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선박이 항만 내에 입항하기 전 일정한 해역에서 선박평형수를 교환하는 방안과 선박평형수를 물리, 화학적인 방법으로 살균, 소독하는 두 가지 방안이 채택되었다. 선박평형수 처리장치가 개발되기 전까지는 교환하는 방식으로 처리하고, 개발 후에는 선박평형수 처리장치를 설치하여 처리해야 한다. 2016년 9월에 협약이 승인되어 2017년 9월 이후에 국제항해에 종사하는 모든 선박은 정기검사 도래 전까지 선박평형수 처리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선박평형수를 통한 수중생물의 이동이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해상을 이용한 무역과 교통량이 급속히 증가함에 따라, 선박평형수에 의해 해양생물이 이동함에 따른 환경파괴 문제가 그동안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많은 해역에서 이러한 외래 침입종의 영향으로 생태계 교란이 놀랄만한 속도로 증가되고, 이러한 외래 침입종의 문제는 해상 교통량의 증가로 인하여 계속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Kim[2009])
선박평형수란 무엇인가? 선박의 항해 안전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평형수 탱크에 주입 배출되는 선박평형수는 그 안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수중생물로 인하여 지역 해양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국제해사기구(IMO)는 선박평형수를 통한 수중생물의 이동을 막기 위해, 2004년 선박평형수와 침전물 통제 및 관리를 위한 국제협약을 채택하고 2016년 9월에 발효하여, 2017년 9월 이후 정기검사가 도래하는 모든 선박은 선박평형수 처리장치를 설치하도록 하였다.
IMO에서 선박평형수와 관련된 국제협약을 채택한 이유는 무엇인가? 선박의 항해 안전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평형수 탱크에 주입 배출되는 선박평형수는 그 안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수중생물로 인하여 지역 해양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국제해사기구(IMO)는 선박평형수를 통한 수중생물의 이동을 막기 위해, 2004년 선박평형수와 침전물 통제 및 관리를 위한 국제협약을 채택하고 2016년 9월에 발효하여, 2017년 9월 이후 정기검사가 도래하는 모든 선박은 선박평형수 처리장치를 설치하도록 하였다. 선박평형수 처리 방식에는 활성물질을 이용하여 처리하는 전기분해식, 오존식, 약품식과 물리적인 처리방식인 필터, 자외선식 등으로 나누어 지며, 두 가지 방식을 혼용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Han, K. H.(2009), "Development status of ballast water treatment system", Marine Korea, Vol. 3, pp. 88-93 

  2. Jung, Y. Mi, Yoon, Y. J., Kang, J. W.(2013), "Do We Eat Zebra Mussel Instead of Traditional Mussel in Korea", Th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61, pp. 91-93 

  3. KTM Application for IMO Final Approval(2013) MEPC 67th session, submitted by the Republic of Korea, Appendix 1-12 

  4. Kim, E. C.(2009), "Installation and Shipboard Test of the Ballast Water Treatment System Electro-Cle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Vol. 12, No. 3, pp. 209-216 

  5. Kim, E. C, J. H. Oh and Lee, S. G.(2012) "Considertion on the concentration of the active substances produced by the ballast water treatement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Engineering, Vol. 15, pp. 219-226 

  6. Lloyd's Register(2007), "Ballast Water Treatment Technology, Lloyd's Register" 

  7. Yoon, B. S., Rho, J. H., Kim, K. I., Park, K. S., Kim, H. R.(2005), "Development of Ballast Water Treatment Technology(Feasibility Study of NaOCl Produced by Electroly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Vol. 8, No. 4, pp. 174-17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