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식물명 창포, 석창포를 비롯하여 수창포와 계손 등은 우리나라 옛날 고전에서부터 혼란스럽게 혼용되어 왔으며 오늘날에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들의 정확한 실체를 규명하기 위해서 중국 고전과 우리나라 고전, 그리고 최근의 중국과 우리나라 식물지를 비교 검토했다. 중국에서는 창포와 석창포는 잎에 잎맥이 뚜렷하게 발달하는 Acorus calamus를 지칭하는 이름으로 사용되어 왔고, 수창포와 계손은 잎에 잎맥이 뚜렷하지 않은 A. gramineus를 지칭하는 이름으로 사용되어 왔음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석창포와 계손은 A. gramineus로, 수창포와 창포는 A. calamus를 지칭했으나, 이름들이 혼용되어 온 것으로 확인되었다. 혼용에 따른 혼란을 피하기 위해 계손과 석창포라는 이름을 사용하지 않고 A. calamus는 창포로, A. gramineus는 수창포로 부를 것으로 제안한다. 그리고 생물다양성협약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한자로 표기된 식물명의 정확한 분류학적 실체를 규명해야 하며, 동시에 예부터 사용해왔던 한글로 표기된 식물명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덧붙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Korean plant names Changpo and Sukchangpo, including their related names Suchangpo and Kyeson, were somewhat confusingly used in both the Korean classics and even now. To clarify these names, the names written in the Chinese classics and the Korean classics were examined closely and compared to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향약집성방』에 나오는 ‘창포’의 분류학적 실체를 파악하고 동시에 이들의 정확한 식물명을 규명하고자 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물명을 기록하기 시작 한 것은 언제부터인가? 인류는 지구상에 태어나면서부터 자신에게 필요한 사물을 인지하고 이들을 구분함과 동시에 사물에 이름을 붙여왔다. 우리나라의 경우 신라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알려진 이두와 중국에서 만들어진 한자를 이용해서 식물 이름을 기록해 왔다. 그러다 조선시대에 접어들어 세종 때 훈민정음, 즉 한글이 만들어진 이후 한글로 식물의 이름, 즉 식물명을 기록했다.
모든 식물에 학명을 부여하기 시작한 것은 언제부터인가? 그러다 19세기 후반에 우리나라에 서양학문의 한 영역으로 소개된 식물분류학이 새로운 학문으로 자리를 잡으면서(Chung et al., 1986), 모든 식물에 학명을 부여하기 시작했고, 일본이 동북아시아의 근대학문을 주도하면서 일어로 된 식물명이 널리 퍼졌다.
식물명 창포, 석창포를 비롯하여 수창포와 계손은 중국과 우리나라에서 어떻게 사용되어 왔는가?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들의 정확한 실체를 규명하기 위해서 중국 고전과 우리나라 고전, 그리고 최근의 중국과 우리나라 식물지를 비교 검토했다. 중국에서는 창포와 석창포는 잎에 잎맥이 뚜렷하게 발달하는 Acorus calamus를 지칭하는 이름으로 사용되어 왔고, 수창포와 계손은 잎에 잎맥이 뚜렷하지 않은 A. gramineus를 지칭하는 이름으로 사용되어 왔음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석창포와 계손은 A. gramineus로, 수창포와 창포는 A. calamus를 지칭했으나, 이름들이 혼용되어 온 것으로 확인되었다. 혼용에 따른 혼란을 피하기 위해 계손과 석창포라는 이름을 사용하지 않고 A.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Anonymous, 2006. New Translation of Dongui Bogam (Principles and Practice of Eastern Medicine) Tangaekpyeon (Remedies). Buminmunhwasa, Seoul, 3987 pp. (in Korean) 

  2. Beom, H.-J., D.-J. Kang, B -D. Lee, J. Shon, J. S. Im and J.-B. Eun. 2007.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owder from hot air and freeze dried leaves and roots of Acorus calamus 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36: 1451-1457. (in Korean) 

  3. Beom, H.-J., R. Kim and H. S. Kim. 2010.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weet flag (Acorous calamus L.) and the effects on skin protection of its ethanol extracts by UVB. Korean Journal of Aesthetics and Cosmetology 8: 181-194. (in Korean) 

  4. Biodiversity in Korean Peninsula. 2017. Retrieved May. 15, 2017, available from https://species.nibr.go.kr. 

  5. Chinese Text Project. 2017. Retrieved May. 15, 2017, available from http://ctext.org. 

  6. Choi, K. Y. 2011. Study about species-discrimination and comparison of activity in Chang-po. PhD dissertation, Woosuk University, Wanju, 69 pp. (in Korean) 

  7. Chung, J. W., S. Y. Chung, S. H. Yeau, C. S. Lee, J. S. Lee, K. H. Oh, B. S. Choi, K. H. Nam, B. J. Kim, J. Y. Lee, S. H. Cho and Y. S. Kim. 2016. Interpretive Bio-resources in Chosen Dynasty (I-IV). National Institute Biological Resource, Incheon, I, 247 pp, II, 339 pp, III, 272 pp, IV, 438 pp. (in Korean) 

  8. Chung, T. H., D. B. Do and H. J. Shim. 1949. Plant Names of Joseon. Society of Biology of Joseon, Seoul, 119 pp. (in Korean) 

  9. Chung, T. H., B. S. Do, D. B. Lee and H. J. Lee. 1937. Botanical Names of Joseon. Society of History of Joseon, 222 pp. (in Korean) 

  10. Chung, Y. H., H.-K. Choi, B.-Y. Sun, Y. C. Chung and K.-J. Kim. 1986. The history of vascular plants in Korea. In Introduction to the Historical Study of Korea Plant Taxonomy. Chung, Y. H. (ed.), Academy Publishing Co., Seoul. Pp.1-190. (in Korean) 

  11. Database in Korean History. 2017. Retrieved May. 15, 2017, available from http://db.history.go.kr/. 

  12. DB of Korean Classics. 2017. Retrieved May. 15, 2017, available from http://db.itkc.or.kr/itkcdb/mainIndexIframe.jsp#. 

  13. Flora of China in Chinese. 2017. Retrieved May. 15, 2017, available from http://frps.eflora.cn/. 

  14. Flora of China in English. 2017. Retrieved May. 15, 2017, available from http://www.efloras.org/. 

  15. Information System of Korean History. 2017. Retrieved May. 15, 2017, available from http://www.koreanhistory.or.kr/. 

  16. Jin, G.-H. 2015. Translation errors in "the Manners and Customs" Section of Gyoungdojapji. Journal of Korean Classics 46: 203-227. (in Korean) 

  17. Jo, J. E., A. Y. Lee, H. S. Kim, B. C. Moon, Y. Ji, J. M. Chun and H. K. Kim, 2013. Classification and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ontents of Acorus species and Anemone altaica by UPLC-PDA analysis.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45: 279-284. (in Korean) 

  18. Jo, S. O. 1982. Study of Chajapyogi system in Hyangyakchaechwiwollyeong. MS thesis, Dankuk University, Seoul, 114 pp. (in Korean) 

  19. Jung, K.-Y., B.-H. Kho and I.-B. Song. 1999. The bibiographical investigation of effect of Acorus gramineus Soland. Journal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11: 241-252. (in Korean) 

  20. Kim, D.-G. and S.-I. Lee. 1987. The bibiographical investigation of the origin of Acorus species. The Korea Journal of Herbology 2: 91-94. (in Korean) 

  21. Kim, I.-G. 2015. A study of traditional organism classification and its literature materials. Korean Studies Quarterly 38: 117-161. (in Korean) 

  22. Ko, S. C. 2007. Acoraceae Martinov. In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Park, C.-W. (ed.), Academy Publishing Co., Seoul. P. 1095. 

  23. Kong, K.-S. 2016. An observation of the classic plant name "Hwe". Munhwaja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49: 96-113. (in Korean) 

  24. Kong, K.-S. 2017. A study on the classical plant name Doo-Chung. Gunjiinmunhag 18: 5-30. (in Korean) 

  25. Korean Plant Names Index. 2017. Retrieved May. 15, 2017, available from http://www.nature.go.kr/kpni/index.do. 

  26. Lee, C. S., S. H. Yeau and S. Y. Chung. 2016. Study of traditional plants of Jeju Island: five literatures in Joseon Dynasty period.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29: 225-234. (in Korean) 

  27. Lee, D. C. 1993. History of Relations between Chinese and Korean Language. Seokwanghaksuljaryosa, Seoul, 462 pp. (in Korean) 

  28. Lee, E.-K. 1994. Several problems in the interpretation of Chajapyogi of Hyangyak. The Journal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Education 26: 133-158. (in Korean) 

  29. Lee, W. T. 1996. Lineamenta Florae Koreae. Academy Publishing Co., Seoul, 2383 pp (in Korean) 

  30. Lee, W. T. 2005. The Origin of Korean Plant Names. Iljogak, Seoul, 726 pp. (in Korean) 

  31. Mori, T. 1922. An Enumeration of Plants Hitherto Known from Corea. The Government of Chosen, Seoul, 624 pp. 

  32. Murata, S. 1932. Botanical Dictionary of Korean and Manchuria. Mesirokaku Showing, Tokyo, 778 pp. (in Japanese) 

  33. Paeng, C. H. 2014a. Plants in Chinese literature which are recognized as different plants by Koreans. Chinese Literature 81: 107-123. (in Korean) 

  34. Paeng. C. H. 2014b. Plants in Chinese literature which are recognized as different plants by Koreans (2). Journal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67: 65-84. (in Korean) 

  35. Paeng, C. H. 2015. Transformation during the translation of the name of things(Mulmueong) in Chinese literatures. Theses of Korean Studies 43: 213-237. (in Korean) 

  36. Park, M. K. 1949. Plant Name in Korea. Ministry of Education, Seoul, 340 pp. (in Korean) 

  37. Park, S. B. 2006. Sukchangpo. Changsung Gunmin Sinmun (May 4, 2006). (in Korean) 

  38. Shin, H. C., H.-C. Ki and S.-J. Hong. 2015. Taxonomic identity of Chinese plant name Sam in Korean classics. Korean Studies Quarterly 38: 235-260. (in Korean) 

  39. Shin, H. C., H.-C. Ki and S.-J. Hong. 2016. Taxonomic identity of Chinese letter Chu in Shijing and its Korean translation. Journal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75: 169-202. (in Korean) 

  40. Shin, H. C. 2014. Clarification of the taxonomic identities of plants for the re-understanding the traditional culture: special emphasis on plant name, 'San-su-yoo'. The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13: 185-208. (in Korean) 

  41. Shin, M. K., K. Park and W. J. Maeng. 1989. Korean Translation Edition of Hyangyak jipseongbang (translantion). Youngrimsa, Seoul, 692 pp. (in Korean) 

  42. Son, B. T. 1996. The study of words of the name of Botanical Hyangyak. Hanminjok Emunhak 30: 105-191. (in Korean) 

  43. Yu, S. M. 2012. Development of chemical fingerprint for Acorus species by compared with extraction methods-GC/MS: determination of essential oils. M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54 pp.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