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침입종 미국실새삼(Cuscuta pentagona Engelm.)의 기주식물 선호도, 기생부위 및 위해가능성
Host plant preference, parasitic site and risk possibility of Cuscuta pentagona Engelm, invasive plant in Korea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31 no.3, 2017년, pp.287 - 296  

정영호 (공주대학교 생명과학과) ,  이재근 (공주대학교 생명과학과) ,  이수인 (공주대학교 생명과학과) ,  이승연 (공주대학교 생명과학과) ,  장래하 (공주대학교 생명과학과) ,  이승혁 (국립생태원) ,  조규태 (공주대학교 생명과학과) ,  유영한 (공주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완전 기생성 침입종인 미국실새삼(Cuscuta pentagona)의 기주선호도와 기생부위를 야외현장과 기생유도 실험 통하여 확인하여 이들 식물의 기주다양성을 알아보고 잠재적인 위해성을 제시하고자 시도하였다. 미국실새삼의 기생은 구상나무와 신갈나무와 같은 목본성 식물종(12.1%)의 목질화가 되지 않은 소지나 잎에서도 관찰되었다. 미국실새삼의 기주식물종은 국화과에 속하는 종이 가장 많았고, 과내 차지하는 기주식물종의 비율은 사초과, 마디풀과 그리고 콩과 등의 것에서 높았다. 기생 유도 실험을 통해 미국실새삼은 1종을 제외한 모든 식물에 기생할 수 있음이 확인됨으로써 이 침입식물의 분포의 제한 요인은 분산과정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기주식물의 감염된 부위는 줄기와 잎 두 곳에서 대부분 나타났고, 드물게 잎이나 줄기에만 나타나기도 하였다. 이 연구로 12개 과의 기숙식물 45종(12개 과의 초본식물 33종과 목본식물 12종)을 새롭게 추가하였다. 그 중에는 조와 같은 농작물뿐만 아니라 멸종위기야생식물 6종에도 기생하였고, 특히 후자의 경우에는 미국실새삼의 기생으로 식물체가 고사까지 당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는 미국실새삼이 잠재적으로 야생식물에게도 확산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check host plant diversity and to confirm the potential risk to be invaded, we documented host plant flora and plant part of C. pentagona, an invasive parasitic plant in field survey and induced parasitic infection by them in the laboratory experiment. Parasitic interaction(12% of tota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또한 야외현장에서 관찰만 되었기 때문에 기주식물 종에 대한 정보가 한정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미국실새삼이 선호하는 기주식물을 현장에서 식물상 목록과 함께 조사하여 선호를 파악하였고,인위적으로 목본식물과 멸종위기식물을 대상으로 감여처리를 하여 숙주식물을 확인하고, 감염부위를 파악하여, 이 침입종의 자연에서의 잠재적인 확산가능성과 위해성을 알아보고자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국실새삼은 무엇인가? 미국실새삼(Cuscuta pentagona Engelm.)은 북아메리카 원산으로 메꽃과에 속하는 1년생 덩굴성 기생식물이다. 실모양(사상)의 줄기와 가지는 지름 1mm 내외로 담황색 또는 담황적색으로 잎이 없으며, 꽃은 8~9월에 피고 줄기에 군데군데 여래 개의 꽃이 뭉쳐서 붙는다(Park, 2009).
미국실새삼에 목본식물보다 초본식물에서의 기생률이 높은 이유는? , 2013)와 유사하다. 이처럼 초본의 기생률이 높은 이유는 뿌리가 없고 광합성을 하지 못하는 기생식물인 미국실새삼이 생존하기 위해서는 기주식물에게서 양분을 흡수하여야 하지만(Guh et al., 2002) 리그닌이 발달한 목본식물에서는 흡반을 형성하기 어렵기 때문에 목본식물에서는 기주식물로의 상호작용이 적게 일어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기존 보고된 미국실새삼의 기주식물은 초본 172종, 목본 16종으로 총 50과 135속 188종이었고(Kim et al.
침입외래종은 생태계에 어떤 피해를 주는가? , 2008; Van Wilgen et al,2008). 유입된 침입외래종은 기후변화, 생태계교란 등 다양한 환경 변화로 인하여 더 넓은 지역으로 확산되고 있으며,토착종에게 피해를 주어 생물다양성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생태계 교란을 심화시킨다(CBD, 2009). 이러한 문제 중 기후변화와 연계되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침입외래종 문제는 세계 GDP 10%를 소모시키는 21세기 지구의 가장 주요한 환경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Hulme,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PG(1998) An ordinal classification for the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nnals of Missouri Botanical Garden 85(4): 531-553. 

  2. Burgiel, S.W. and A.A. Muir(2010) Addressing multiple drivers of global change. Global Invasive Species Programme, Diversity, Montreal, Canada. pp. 6-9. 

  3. CBD(2009) Invasive Alien Species.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Montreal, Canada. pp. 6-9. 

  4. Hulme P.E.(2009) Trade, transport and trouble: managing invasive species pathways in an era of globalization. Journal of applied ecology 46(1): 10-18. 

  5. Kil J.H., Kim Y.H., Lee D.H., Lee C.W.. Hwang S.M., Kim D.E., Kim H.M., Yang H.S. and M.G. Kim(2011) Detailed Studies on Invasive Alien Species and Their Management (VI), NIER-RP2011-1320, Ecosystem Assessment Division Enviromental Resources Research Department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 pp. 67-107. 

  6. Kim C.S., Moon B.C., Kuk Y.I. and S.M. Oh(2007) Distribution status of Cuscuta spp .in southern parts of korea and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C. pentagona. Korean Journal of Weed Science 27(2): 166-172. 

  7. Kim D.S. and S.H. Park(2009) Weeds of Korea. Vol. II. Rijeon Agricultural Resources Publications, Seoul, Korea. pp.75-76. 

  8.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2015) http://webbook.me.go.kr/DLi-File/NIER/06/022/5618021.pdf 

  9. Guh J.O., Kim C.S., Lee D.J., Im I.B., Kwon O.D., Kuk Y.I. and S.U. Han(2002) Weed flora of Korea. Hanguk Nongop Sisutem Hakhoe pp. 534-535. 

  10. Lambdon P.W., Pysek P., Basnou C., Hejda M., Arianoutsou M., Essl .F and P. Andriopoulos(2008) Alien flora of Europe: species diversity, temporal trends, geographical patterns and research needs. Preslia 80(2): 101-149. 

  11. Lee T.B.(2003) Coloured flora of Korea. Hyangmunsa Publisher, Korea, 914pp. 

  12. Lee Y.N.(2007) New flora of Korea. Kyohak publisher, Korea, 1265pp. 

  13. Mun H.T. and Y.H. You(2016). Invasion Ecology. Hongneung Sciecne Publications Co., Seoul, Korea, 354pp. 

  14. Park S.H.(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575pp. 

  15. Park S.H.(1994) A study on naturalized plants introduced into Korea. Nature Conservation 85(85): 39-50. 

  16. Pimentel D. R. Zuniga and D. Morrison(2005) Update on the environmental and economic costs associated with alien-invasive species in the United States. Ecological economics 52(3): 273-288. 

  17. Song S.B., Lee J.S., Kang J.R., Ko JY, Seo M.C., Woo K.S., Oh B.G. and M.H. Nam(2010) The growth and yield of soybean as affected by competitive density of Cuscuta pentagona. Korean Journal of Weed Science 30(4):390-395. 

  18. Van Wilgen B.W., Reyers B., Le Maitre D.C., Richardson D.M. and L. Schonegevel(2008) A biome-scale assessment of the impact of invasive alien plants on ecosystem services in South Africa.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89(4): 336-349. 

  19. Hwang S.M., Kil J.H., Lee C.W. and Y.H. Kim(2013) Distribution and host plants of parasitic weed Cuscuta pentagona Engelm.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26(2): 289-302. 

  20. Zavaleta E.(2000) The economic value of controlling an invasive shrub. Journal of the human environment 29(8): 462-46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