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졸업연기 유형과 취업성과 : 취업목적 휴학의 효과를 중심으로
College Students' Delayed Graduation and Employment Achievement : Focusing on the Effects of Employment-Oriented Delay on the Employment Outcome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6, 2017년, pp.228 - 236  

변진숙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직업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대졸자의 취업성과에 있어 취업준비 목적의 자발적 졸업연기가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 연구 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한국고용정보원의 '2015년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2014GOMS)' 자료를 활용하여 취업준비 목적의 자발적 졸업연기가 정규학기 졸업과 비교해 취업여부와 첫 일자리 임금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다중회귀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취업준비 목적의 자발적 졸업연기는 정규학기 졸업에 비해 취업확률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취업준비 목적의 자발적 졸업연기는 정규학기 졸업에 비해 첫 일자리의 임금수준이 높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논의하고자 한다. 첫째, 기업은 투명한 채용기준을 제시하여 대학생들이 필요한 역량계발에 몰두할 수 있도록 돕고, 대학은 학생들이 재학 중 단기 일 경험을 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시하여야 하며, 정부는 이중노동시장 구조를 완화하고 불평등을 해소하여 청년층의 첫 일자리 선택에 대한 불안감을 줄일 수 있도록 제도와 정책을 보완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voluntary delayed graduation for employment preparation on their employment outcomes. For this purpose, the data were obtained from the 2014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GOMS). First, the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취업을 위한 적극적인 투자(휴학을 포함한)가 첫 일자리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정규학기에 졸업을 한 대졸자와 비교하여 취업을 위해 졸업을 자발적으로 연기한대졸자 집단의 취업성과를 확인할 수 있는 변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어학연수, 자격증 준비, 취업준비를 휴학사유로 직·간접적인 취업준비를 이유로 자발적으로 재학연한 이상의 시간 비용을 선택한 대졸자들이 정규학기 졸업자와 비교하여 첫 일자리에서 유의미한 취업성과를 거두었는가에 초점을 두고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취업준비 목적의 자발적 졸업연기 이외에 개인특성, 전공특성, 졸업 전 취업준비 요소 및 가계특성으로 나누어 통제한 후 취업준비 목적의 졸업연기가 취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개인특성에서는 성별과 연령을 통제하였는데, 성별의 경우 여성을 기준으로 더미처리 하였다.
  • 본 연구는 취업준비를 위한 졸업연기자와 정규학기졸업자에 대한 다양한 비교 연구가 없는 실정에서, 졸업 전에 휴학을 하고 취업준비를 할 것이냐, 재학기간에 맞춘 졸업을 할 것이냐의 갈림길에서 다른 선택을 한 집단의 취업성과를 비교하고자 시도한 점에 의의가 있다. 그러나 취업성과를 취업여부, 임금수준으로만 분석하고 첫 일자리의 적응여부, 직무만족도 등의 다양한 일의 환경을 분석하지 않았다는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취업준비를 위한 자발적 졸업연기가 취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의 2015년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는 대졸자의 노동시장진입과 정착 과정에 실증적인 자료 수집을 목적으로, 매년 전년도 2∼3년제 대학 이상 고등교육과정 졸업생을 모집단으로 약 4%에 해당하는 1만 8천명을 표본 추출하여 조사를 실시하고 있어 표본의 안정성이 확보되어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취업준비를 위한 자발적 졸업연기가 취업여부, 첫 일자리 임금수준 등의 취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2015년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취업을 위한 적극적인 투자(휴학을 포함한)가 첫 일자리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정규학기에 졸업을 한 대졸자와 비교하여 취업을 위해 졸업을 자발적으로 연기한대졸자 집단의 취업성과를 확인할 수 있는 변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취업과 노동시장 진입에 관한 진로 교육과 상담,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성별에 따른 휴학 사유로는 어떤 것이 있는가? 대졸자 중 휴학경험자의 비중은 2016년 5월 기준 44.6%로 확인되었으며,휴학 사유를 살펴보면 여성은 취업 및 자격시험 준비(61.6%), 어학연수 및 인턴의 현장경험(31.4%) 등 취업 관련된 내용이 주로 많고, 남성은 군 입대로 인한 휴학이 96.8%를 차지하고 있다[1]. 졸업 후 취업시장 문을 열기가 쉽지 않은 현실에서 대학생들은 재학연한에 맞추어 졸업을 하지 않고, 졸업을 자발적으로 연기하고 노동시장으로 나아갈 준비활동에 몰두하는 선택을 하고 있다.
졸업을 연기하는 방법은? 대학생들이 졸업을 연기하는 방법은 졸업 요건 중 최저이수학점 미이수, 졸업필수서류 미제출, 졸업유예제도 활용, 학기 중 휴학을 꼽을 수 있다[7]. 같은 연구에서,대학생들의 졸업연기이유에 대해 졸업 후 삶의 개인적 기대를 충족하기 위한 경우도 있지만 주로, 안정적이고 발전 가능성 있는 일자리에서 첫 일자리를 시작하기 위한 준비 부족 인식, 진로에 대한 고민, 취업에 유리한 대학재학생 신분 유지를 위해 졸업을 연기한다고 분석하였다.
입사지원자의 고령화에 대한 기업 인사담당자의 인식은? 또한, 기업 입장에서는 입사지원자의 고령화에 부담을 느낀다고 밝혔다. 취업포털 사람인은 461개 기업의 인사담당자를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인원 중 60%에 가까운(59.4%) 응답자가 나이 많은 신입사원을 채용하는 것에 부담을 느낀다고 밝혔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Statics Korea, http://kostat.go.kr 

  2. S. I. Jo, E. A. Kim, "The Study on the Difference of Awareness about Job Requirements (SPEC) between Human Resources Manager and University Student Preparing for Job Placement", The Journal of Employment and Career, vol. 4, no. 1, pp. 41-61, 2014. 

  3.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http://www.keis.or.kr 

  4. The Korea Herald, "The job applicants are getting old", February. 23, 2015. [Online]. Available: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50223000346&md2015 0223101912_BL 

  5. Statics Korea,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3/2/index.board 

  6. H. J. Chu, S. H. Cha, "An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Four-Year College Students' Stop-Out",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vol. 29, no. 1, pp. 277-293, 2011. 

  7. K. H. Cho, J. H. Lim, S. J. Song, C. Y. Jyung, J. M. Kim, "Qualitative Study about the Undergraduates' Delayed Graduation as a Voluntary Choice in Seoul",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vol. 48, no. 2, pp. 105-128, 2016. DOI: https://doi.org/10.23840/agehrd.2016.48.2.105 

  8. K. Y. Kang, S. K. Park, J. K. Lee, "The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on Graduation Moratorium Experiences of University Students",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vol. 34, no. 2, pp. 31-51, 2015. 

  9. H. J. Kil, Y. M. Choi, "The Effects of Individual and College Characteristics on Graduates Employment Status",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vol. 33, no. 6, pp. 1-26, 2014. 

  10. S. Y. Kim, "A Study on Female University Students' Career Preparation",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vol. 30, pp. 125-143, 1999. 

  11. S. M. Choe, "The Effect on Employment of Employment Preparation Activities in College Graduat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6, no. 4, pp. 2556-2563, 2015. DOI: https://doi.org/10.5762/KAIS.2015.16.4.2556 

  12. Y. M. Lee, S. Y. Lee, J. Y. Lim, "An Analysis of Art, Music, Sports and Dance Graduates' School-to-Work Transition Preparation and Employment Outcomes", Journal of Social Science, vol. 52, no. 1, pp. 1-28, 2013. 

  13. J. S. Kim, "The Difference of Pre-employment Activities and Its Effect on Transition of Four-year College Graduates",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vol. 40, no. 1, pp. 141-165, 2009. 

  14. J. K. Ahn, S. M. Oh, "Declining Returns to Studying Foreign Language Abroad on Labor Market Outcomes", Korean Journal of Sociology of Education, vol. 26, no. 3, pp. 117-139, 2016. 

  15. B. J. Kim, H. J. Seo, "Analysis on Student and University Variables Affecting First Employment of College Graduates", The Journal of Economics and Finance of Education, vol. 22, no. 4, pp. 243-268, 2013. 

  16. Y. S. Ahn, J. Y. Jung, Y. S. Kim, "A Qualitative Study on the License Acquisition of University Graduates and Employment: Focus on the Perception of Enterprise Personnels", Journal of Korean HRD Research, vol. 8, no. 1, pp. 54-73, 2013. 

  17. H. J. Kwon, Y. H. Lee, "The Effect of Occupational Certification on the Labor Market of the Graduate Youth",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vol. 28, no. 4, pp. 95-111, 2009. 

  18. Y. S. Song, "The effects of Work Experience during Higher Education on Employmen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8, no. 2, pp. 287-293, 2017. DOI: https://doi.org/10.5762/KAIS.2017.18.2.287 

  19. K. R. Roh, Y. H, Park, S. J. Hur,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in university's career development programs on college graduates' employment, employment status, and job satisfaction",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vol. 49, no. 1, pp. 63-92, 2011. 

  20. C. Y. Lee, "The Effect of Working while in College on Educational Outcomes", Journal of Employment and Skills Development, vol. 15, no. 3, pp. 1-25, 2012. 

  21. S. J. Lee, M. R. Kim, "A Study on Transition of the Labor Market of Internship Workers", Journal of Employment and Skills Development, vol. 13, no. 1, pp. 1-25, 2010. 

  22. K. R. Roh, S. J. Hur, "The Effects of Vocational Training and Intership on Youth Workers' the Economic Outcome and Job Satisfaction",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vol. 30, no. 3, pp. 93-109, 2011. 

  23. G. S. Becker, "Human Capital: A theoretical and empirical analysis with special reference to education, (3rd ed)",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IL, pp. 15-28, 1994. DOI: https://doi.org/10.7208/chicago/9780226041223.001.0001 

  24. J. Mincer, "Studies in Human Capital, Volume 1", Edward Elgar, England, 1993. 

  25. H. J. Kim, "A study on dual labor market and critical factors affecting welfare benefit gaps between workers in Korea", Yonsei University, MA. Thesis, 2016. 

  26. S. H. Kang, J. K. Ahn, "Stigma Effect of Unemployment of the College Graduates", Association Of Korean Economic Studies, vol. 28, no. 2, pp. 201-231, 2010. 

  27. H. D. Kim, "Korean College Student Stopout Experiences and Employment Outcomes", Quarterly Journal of Labor Policy, vol. 13, no. 3, pp. 125-151, 2013. 

  28. S. Y. Jeong, K. S. Park, "Employment and Wage Effects of the Duration of Leave of Absence from College", Korean Journal of Labor Economics, vol. 36, no. 3, pp. 1-27, 2013. 

  29. J. K. Ahn, "The Impact of the Language Study Training abroad on Labor Market Entrance",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vol. 27, no. 2, pp. 203-231, 2009. 

  30. H. J. Chu, "Individual and College Effects on New Graduates",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vol. 30, no. 1, pp. 603-626, 2012. 

  31. H. J. Yoo, T. I. Chung, E. J. Chun, "Labor Market Performance of Economically Active Korean College Graduates Population",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vol. 37, no. 2, pp. 49-69, 2014. 

  32. C. K. Chae, T. G. Kim, "Determinants of Employment Status Of University(College) Graduates Youth",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vol. 28, no. 2, pp. 89-107, 2009. 

  33. C. S. Park, "A Study on the Effect of Overseas Language Training Programs upon the Transition from College to Labor Market", Journal of Employment and Skills Development, vol. 12, no. 1, pp. 117-139, 2009. 

  34. M. K. Lee, "Actual Conditions Of Professional Qualification Possessor And Effects Of Professional Qualification Possession On Employment And Wage",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vol. 15, no. 3, pp. 131-149, 2008. 

  35. B. H. Lee, "The effects of Vocational Qualifications on Labor Market Outcomes in Korea", Quarterly Journal of Labor Policy, vol. 3, no. 4, pp. 25-48, 200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