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접근성 변수를 반영한 통행발생 및 통행분포모형 개발
Development of Estimation Model of Trip Generation Model and Trip Distribution Model Reflecting Coefficient of Accessibility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6, 2017년, pp.576 - 584  

전용현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도시개발경영.교통학과) ,  노정현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도시개발경영.교통학과) ,  장준석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도시개발경영.교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교통수요 예측 결과는 교통계획 및 운영과 같은 의사결정 과정에서 매우 주요하게 작용되고 있다. 교통수요 예측 시 적용되는 기존 교통수요 예측 4단계 모형은 지정된 기점과 종점 간의 통행만을 대상으로 하며 모형의 특성상 접근성 향상에 따라 유발되는 수요는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 모형의 한계를 보완하고 모형의 추정력 및 신뢰성을 제고하기 위해 접근성을 반영한 전국 지역 간 통행발생 및 통행분포모형 개발에 목적을 두었다. 접근성을 반영한 통행발생 및 통행분포모형 정산 결과, 접근성 계수의 부호는 양(+)의 값으로 추정되었다. 통행목적 중 업무통행은 타 목적통행에 비해 외부요소의 제약에 가장 둔감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가통행은 통행비용에 가장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산된 통행발생 및 통행분포모형을 관측자료 와의 비교를 통해 검증한 결과, 접근성을 반영한 모형의 가중평균(weighted average) 오차율(%), RMSE(Root Mean Square Error), 총 오차량(total error)등이 기존 모형에 비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모형의 추정력 및 신뢰성이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raffic demand prediction result is a primary factor for decision making such as the traffic planning and operation. The existing traffic demand prediction 4-step model only covers the trip between the origin and the destination, and not the demand followed by the accessibility improvement, due to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재 교통수요예측 시 적용되는 교통수요 예측 4단계 모형은 지정된 기점과 종점 간의 통행만을 고려하며, 접근성에 대해서는 면밀히 고려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 모형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접근성을 반영한 통행발생 및 통행분포모형 개발에 목적을 두었다.
  • 본 연구는 앞서 제시한 한계를 극복하고 교통수요 예측 과정의 신뢰성 제고를 위해 교통수요 예측 4단계 모형 중 접근성 변수를 반영한 통행발생 및 통행분포모형을 개발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 본 연구는 통행발생 및 통행분포 모형에 접근성을 포함한 다양한 변수를 활용하여 교통수요 예측 4단계 모형의 현실성 및 신뢰성을 제고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가설 설정

  • Lowry(1964)는 도시기반활동을 중심으로 서비스 활동과 주거활동의 입지를 모형화하여 도시 내 토지이용체계 형성과정을 설명했다. 주거입지가 근무지에 대한 접근성에 의해 결정된다고 가정하고 도시 내 가구 수는 근무지로의 통행저항에 따라 달라짐을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통수요 예측 4단계 모형 중 통행발생모형 단계는 무엇인가? 이 중 통행발생모형은 인구수, 가구수, 종사자수 등의 사회경제지표를 이용하여 교통존의 발생량(trip production)과 도착량(trip attraction)을 추정하는 단계이며 통행분포모형은 통행발생량과 통행도착량을 네트워크에 분포시켜 교통존간의 교차통행량을 구축하는 단계이다.
교통수요 예측 시 활용되는 4단계 모형의 장단점은? 현재 교통수요 예측 시 활용되는 4단계 모형은 단계별 분석 가능 및 모형의 용이성 등의 장점이 있지만 교통수요 예측에 있어 경직성이 존재하는 등의 한계를 나타낸다. 특히, 접근성(accessibility)은 토지이용 및 교통체계 변화를 발생하는 SOC 사업에 대한 타당성 평가 시에 주요한 지표로 활용됨에도 불구하고 적절히 반영되지 못하고 있다.
이동성과 접근성은 각각 무엇에 따라 결정되는가? 이동성은 개인의 이동능력만을 의미하고 접근성은 개인이 갖는 이동성의 함수임과 동시에 대인 및 활동기회의 공간적 입지, 목적하는 활동에 대한 가능시간 등의 함수라고 정의하였다. 즉, 이동성은 접근성을 구성하는 일부분이며 개인의 교통적 여건에만 관련되고 접근성은 개인의 여건, 목적하는 활동의 특성, 활동주체의 교통여건 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따라 결정됨을 명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E. Y. Oh, "A Theoretical Review on the Behavioral Analysis of Travel Mode Choice in the terms of Accessibilit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no. 3, pp: 93-101, 1998. 

  2. K. H. Chang, "An Examination of the Method and Models of Regional Accessibility Indices", Master thesis, Hanyang University, 1991. 

  3. Ingram, D. R, "The concept of Accessibility(Research for an operational Form", Regional Studies 5, no. 2, pp. 101-107, 1971. DOI: https://doi.org/10.1080/09595237100185131 

  4. Jones, S. R, "Accessibility Measures:A Literature Review", TRRL Report 967, 1981. 

  5. Hansen, "How Accessibility Shapes Land Use". American Institute of Planners Journal 25, no. 2, pp. 69-82, 1959. 

  6. A. G. Wilson, "Entropy in Urban and Regional Modeling", London, Pion, 1970. 

  7. Bhat, C. et al., "Assessment of Accessibility Measures", Center for Transportation Research, 2001. 

  8. Lowry, I. S, "A Model of Metropolis", SantaMonica CA, Rand Corporation, 1964. 

  9. Savigear F, "A Quantitative Measure of Accessibility", Town Planning Review 38, no. 1, pp. 64-72, 1967. DOI: https://doi.org/10.3828/tpr.38.1.p8048192t736t558 

  10. Karlqvist A, "Some Theoretical Aspects of Accessibility-Based Location Model", Dynamic Allocation of Urban Space, 1975. 

  11. Gwilliams K M, "Economic Evaluation of Urban Transport Projects : The State of the Art", Transportation Planning and Technology 1, pp. 123-142, 1972. DOI: https://doi.org/10.1080/03081067208717039 

  12. Anderson J, "Space-Time Budgets and Activity Studies in Urban Geography and Planning", Environment and Planning 3, pp. 353-368, 1971. DOI: https://doi.org/10.1068/a030353 

  13. B. J. Bae, "A Study on Disaggregate Trip Generation Models Using the Seoul Metropolitan Household Travel Survey Data", Master thesis, National University of Seoul, 2011. 

  14. C. Park, "The Study on the Modification of Transit OD Using Smart Card Data in Seoul", Master thesis, National University of Chonnam, 2013. 

  15. S. T. Chol, J. H. Roh,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 2-Phase Calibration Method for Gravity Model Considering Accessibilit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33, no. 4, pp. 393-404, 2015. DOI: https://doi.org/10.7470/jkst.2015.33.4.39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