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공리프의 설치조건에 따른 표사이동 특성 연구
A Study on Topography Change due to Setup Condition of Artificial Reef 원문보기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v.29 no.3, 2017년, pp.154 - 161  

심규태 (가톨릭관동대학교 토목공학과) ,  김규한 (가톨릭관동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침식성 파랑의 내습조건에 대해 인공리프의 길이(Lr), 개구폭(W), 개구부 수의 변화가 인공리프 주변 지형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구조물 주변에서의 표사이동 양상은 이동상실험을 통하여 검토하였으며 인공리프의 설치조건과 발생 유속 및 파랑변형, 지형변동과의 관계에 대해 고찰하였다. 실험결과 인공리프의 설치로 인하여 배후 침식량은 감소하였으나 개구부내에서의 세굴은 복수의 개구부를 갖는 구조에 비하여 단일 개구부를 갖는 조건에서 증가되었으며, Lr/W의 변화와 깊은 연관성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length, opening width, and number of openings effecting on topography change around artificial reefs under erosive wave condition. Hydraulic model test was conducted to see sediment transport around the structures and the relation among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3에 도시하였다. Fig. 3에서 시공 사례가 가장 많은 범위는 Section A(Lr/Y: 0.71~1.30, Lr/W:3.35~9.00)에 해당되며, 이 영역에 포함되는 조건(case01, 02)과 개구폭이 변화되는 2개의 조건(case03, 04) 및 구조물 미설치시에 대해 인공리프 설치와 개구폭 변화가 지형변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표사이동실험에서 조파간격은 초기 1시간은 30분, 그 이후는 1시간 간격으로 변동량을 확인하였으며 실험결과는 최종 5시간 조파후의 상태에 대해 나타내었다.
  • 이는 개구부내에서 해안방향으로 이동되는 흐름보다 외해로 전파되는 흐름의 강도가 더 크기 때문이며, 유속의 증가는 표사이동의 정도와 비례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따라서, 개구부내 표사이동량을 계산식을 통하여 예측하고 실험값과의 비교를 통해 그 차이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계산에 적용한 식은 Brown(1950)의 식(6)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Kim and Shim(2016)이 수행한 실험조건을 토대로 구조물 배치 조건과 순환류의 발생관계 및 해빈의 안정화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인공리프 설치조건의 차이가 주변지형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 실험을 진행하기에 앞서, Table 2와 같이 각각의 해저경사 및 파랑조건 변화에 따른 외빈, 전빈 및 후빈지역에서의 대략적인 지형변화 양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파랑 및 해저경사 설정에 따른 침식성해안의 분류는 Table 2에서 보이듯이 C parameter값(Sunamura and Horikawa, 1974)과, Fo(Shore protection manual, 1984)의 값을 이용하였다.
  • 실험을 통하여 인공리프 주변에서 발생되는 표사이동양상에 대해 검토하였다. 구조물 배치는 국내에 설치되어 있는 시공사례와 해빈류패턴 실험(Kim and Shim, 2016)을 토대로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안침식문제에 대처하기 위한 대책공법에 해당하는 것은? 그 중 지형학적 변화에 따른 해안침식과 퇴적현상은 연안역의 자연환경 및 생태계의 변화를 초래할 수 있으며, 이에 연관된 분야에 종사하는 어민, 휴향지를 찾는 관광객 등 지역경제활동에 포함되는 여러 가지 요인들에 직 ·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해안침식문제에 대처하기 위한 대책공법으로서는 오래전부터 사용되어졌던 이안제 · 돌제 · 헤드랜드 등의 Hard한 대책과 양빈, 인공리프 등의 Soft한 대책으로 대별될 수 있다. 이안제와 헤드랜드 등의 공법은 배후 혹은 측면에 강한 퇴적을 유발시키지만 또 한편은 침식이 동시에 발생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인공리프에 대해 기 수행된 연구의 한계는? 국내에서는 Kim and Shim(2016)이 개구부의 수와 개구폭(W) 및 인공리프의 설치길이(Lr) 변화에 따른 구조물 주변에서의 파랑, 유속변화에 대해 검토하였다. 하지만 인공리프 주변에서의 지형변동을 3차원 적으로 분석한 결과는 극히 드물며, 흐름변화에 따른 지형변화의 예측과 이에 대한 적절한 설계를 위해서는 인공리프 전 · 후면 및 개구부에서 표사이동에 대한 특성검토가 반드시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안제와 헤드랜드 등의 공법이 가지는 문제점은? 이러한 해안침식문제에 대처하기 위한 대책공법으로서는 오래전부터 사용되어졌던 이안제 · 돌제 · 헤드랜드 등의 Hard한 대책과 양빈, 인공리프 등의 Soft한 대책으로 대별될 수 있다. 이안제와 헤드랜드 등의 공법은 배후 혹은 측면에 강한 퇴적을 유발시키지만 또 한편은 침식이 동시에 발생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2차 침식의 발생을 최소화하는 환경친화적 대책으로는 양빈을 들 수 있으나 우리나라의 동해안과 같이 해빈경사가 급한 지역에는 경제성 측면에서 어려움이 존재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Araki, S., Fumoto, H., Miyoshi, H. and Deguchi, I. (2005). Local scouring at toe of submerged breakwater and deformation of sumerged breakwater body. Proc. of Civil Eng. in the Ocean, 21, 921-926. (in Japanese). 

  2. Araki, S., Miyoshi, H., Igawa, T., Tanaka, T. and Deguchi, I. (2006). Topography change and settlement of breakwater body caused by constructing submerged breakwater. Proc. of Civil Eng. in the Ocean, 22, 751-756. (in Japanese). 

  3. Battjes, J.A. (1974). Surf similarity. Proc.14th ICCE, 466-480. 

  4. Brown, C.B. (1950). Engineering Hydraulics, edited by H. Rouse,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N.Y. 

  5. Galvin, C.J. Jr. (1968). Breaker type classification on three laboratory beaches. J. Fluid Mech., 49, 1-20. 

  6. Kim, K.H. and Shim, K.T. (2016). Hydraulic characteristics investigation due to the change of gap width between artificial reefs. J.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Ocean Engineers, 26(6), 408-415. (in Korean). 

  7. Minami, M. and Mano, A. (2002). Study in bottom velocity distribution around opening of impermeable artificial reefs. Proc. of Civil Eng. in the Ocean, 18, 401-406. (in Japanese). 

  8. Minami, M. and Mano, A. (2003). Numerical analysis on wave field bear the opening of artificial reefs. Proc. of Civil Eng. in the Ocean, 19, 207-212. (in Japanese). 

  9. Osanai, K. and Minami, M. (2003). Experimental study on vertical velocity distribution around the opening of artificial reefs. Proc. of Civil Eng. in the Ocean, 19, 213-218. (in Japanese). 

  10. Osanai, K. and Minami, M. (2004). Numerical analysis on bottom current near the opening of artificial reefs. Proc. of Civil Eng. in the Ocean, 20, 659-664. (in Japanese). 

  11. Ota, T., Kimura, K. and Matsumi, Y. (2009). On wave runup height and overtopping quantity of gentle slope revetment placed behind artificial reef. J. of Jap. Society of Civil Engineers, Ser. B2 (Coastal Eng.), 65(1), 776-780. (in Japanese). 

  12. Shore Protection Manual. (1984). 4th ed., 2 vols, U.S Army engineer waterways experiment station, coastal engineering research center,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washington, DC. 

  13. Sunamura, T. and Horikawa, K. (1974). Two-dimensional beach transformation due to waves. Proc. 14th Coastal Engineering Conference,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84-900. 

  14. Swarts, H. (1974). Offshore sediment transport and equilibrium beach profiles. Delft Hydr. Lab. Publ. No. 131. 

  15.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National Institute for Land and Infrastructure Management (2004). Guide with a design of artificial reef. (in Japanese).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