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9세기 영남지역 중기(重記)를 통해 본 지방관아의 조직과 기록물 연구
Organizations and Records of Local Government Office in the 19th Century Through an Analysis on the Transition Documents in Yeongnam Region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48 no.2, 2017년, pp.237 - 262  

손계영 (대구가톨릭대학교 도서관학과)

초록

조선시대 지방관아는 지역을 다스리기 위한 행정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 공간과 조직 사람이 필수적으로 존재하였고, 행정 업무의 결과를 통해 지방관아의 기록물이 생산되고 관리 보관되었다. 지방관아의 건물과 공간은 첫째, 수령의 통치와 생활공간, 둘째, 관속들의 행정업무 공간, 셋째, 창고 공간으로 구분할 수 있고, 관속의 규모 측면에서도 대규모 기관이었기 때문에 조직구조도 복잡한 형태를 띠고 있었다. 관아의 조직은 크게 육방임과 기타 색임으로 구분하여 호장(戶長) 이방(吏房) 호방(戶房) 형방(刑房) 병방(兵房) 예방(禮房) 공방(工房)의 육방임 업무와 생산 기록물을 살펴보았고, 기타 색임의 업무를 살펴보았다. 또한 세기 영남지역 중기(重記)에 기재되어 있는 물목명 가운데 기록물류를 추출하여 지방관아에서 조직별로 관리하였던 기록물류를 크게 절목(節目), 안(案), 대장(大帳), 완문(完文), 등록(謄錄) 등의 유형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uring the Joseon period, space, organization, and personnel were essential in order to perform the administrative work for local governance. For that reason local government records were created, managed, and stored as the results of its administration. Buildings and spaces of local government off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봉화현, 영천군, 자인현, 합천군, 예천군, 현풍현 등의 영남지역 중기 6종을 대상으로 지역별·조직별 생산・관리된 기록물의 종류를 살펴보고자 한다. 각 중기의 기재 물목 가운데 기록물로 추정되는 사례를 추출하고, 기록물의 명칭을 통해 그 형태를 유추해보고자 한다. 백선혜의 연구(2007)에서는 『경국대전』에 사용된 공문서의 명칭으로 문(文), 문서(文書), 문자(文字), 문기(文記)・문계(文契)・문권(文券), 적(籍), 부(簿), 안(案) 등을 소개한 바 있는데, 영남지역 중기 자료 6종을 분석한 결과, 기록물 명칭에 사용된 기록물의 종류는 <표 5>와 같이 나타났다.
  • 기록물을 살펴보기에 앞서 지방관아의 공간구성과 실제 업무를 담당했던 관속들의 업무 분장이 어떠했는지를 우선 살펴보았다. 지방관아의 건물과 공간은 크게 수령의 통치 공간과 생활공간, 관속들의 행정업무 공간, 양곡(糧穀)·세곡(稅穀) 등을 보관하는 창고 공간 등 크게 3가지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러한 사례는 지방관아의 형태가 비교적 상세히 묘사되어 있는 지역별 고지도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 중기에 기타 색임의 생산・관리 기록물에 대한 내용이 많지 않은 것이 이를 반증한다. 따라서 기타 색임의 경우에는 각각의 업무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때문에 지역의 부세・군사・호구・농업・교육・시장 등의 행정적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공간과 조직・사람이 필수적으로 존재하였고, 행정적 업무 과정과 결과를 통해 지방관아의 기록물이 생산되고 관리・보관되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장에서는 지방관아의 공간과 관속 및 조직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본 논문은 조선시대 중앙・지방・지역민의 소통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던 ‘지방관아’에 주목하여 지방관아에서 생산한 기록물은 어떤 공간과 관속에 의해 어떻게 관리되었는지 살펴 보고자 하며, 지방관아의 조직과 업무에 초점을 맞추어 해당 조직과 업무에 따라 생산하였던 기록물의 종류와 형태를 추론하고자 한다.
  • 본 논문은 조선시대 중앙・지방・지역민의 소통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던 지방관아에 주목하여 지방관아의 조직과 업무에 따라 관리되었던 기록물의 종류를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19세기에 작성된 영남지역 중기 6종을 중심으로 중기에 기록된 물목명 가운데 기록물류를 추출하여 지방관아에서 생산・관리된 기록물의 종류와 형태를 다루었다.
  • 봉화현, 영천군, 자인현, 합천군, 예천군, 현풍현 등의 영남지역 중기 6종을 대상으로 지역별·조직별 생산・관리된 기록물의 종류를 살펴보고자 한다.
  • 즉 중기 자료에는 각 지방 관아에 어떤 기록물을 관리・보관하였는지를 알려주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본 연구의 주요 자료로 이용하였다. 중기에 기재되어 있는 물목명 가운데 기록 물류를 추출하여 지방관에서 생산・관리된 기록물의 종류와 형태를 다루고자 한다. 중기 자료는 각 지역별로 다양하게 현존하지만, 본 논문에서는 영남지역 현존 중기를 정서하여 2권의 자료집으로 간행된 『중기(重記)』(경북대 영남문화연구원 2009)에 수록된 중기 자료(5종)와 개인 소장 중기(1종) 등 총 6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 지방관아의 조직별 업무에 대해서는 1842년 봉화현을 사례로 호장을 포함한 육방임의 업무와 기타 색임의 업무로 구분하여 조직별 업무와 해당 조직의 대표적 기록물을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앙정부에게 지방관아는 어떤 의미였는가? 지방관아는 중앙정부가 지방을 통치하는데 있어 중요한 매개체이자 해당 지역민과 직접적으로 소통하는 공간이었다. 따라서 중앙에서 지방을 통치하기 위해 지방관아와 소통하거나 지방관아에서 해당 지역민을 다스리기 위해 소통하려면 기록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고, 이에 따라 무수한 기록물이 생산되었다.
지방관아의 건물과 공간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조선시대 지방관아는 지역을 다스리기 위한 행정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 공간과 조직 사람이 필수적으로 존재하였고, 행정 업무의 결과를 통해 지방관아의 기록물이 생산되고 관리 보관되었다. 지방관아의 건물과 공간은 첫째, 수령의 통치와 생활공간, 둘째, 관속들의 행정업무 공간, 셋째, 창고 공간으로 구분할 수 있고, 관속의 규모 측면에서도 대규모 기관이었기 때문에 조직구조도 복잡한 형태를 띠고 있었다. 관아의 조직은 크게 육방임과 기타 색임으로 구분하여 호장(戶長) 이방(吏房) 호방(戶房) 형방(刑房) 병방(兵房) 예방(禮房) 공방(工房)의 육방임 업무와 생산 기록물을 살펴보았고, 기타 색임의 업무를 살펴보았다.
지방관아에서 조직별로 관리하였던 기록물류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 것에 대해 설명하시오. 다음으로 19세기 영남지역 중기 6종을 중심으로 중기에 기재되어 있는 물목명 가운데 기록물류를 추출하여 지방관아 기록물의 종류와 형태를 살펴본 결과, 지방관아에서 조직별로 관리하였던 기록물류는 크게 절목(節目), 사목(事目), 안(案), 대장(大帳), 완문(完文), 소지・원정 등의 소지류(所志類), 등록(謄錄) 등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절목’과 ‘사목’은 규칙, 규정, 규율의 성격을 가지며 이에 대한 항목・조목을 일일이 나열하는 형식을 보였으며, 지방 관아의 호장・호방・예방・형방・공방 등 각 부서마다 관리하였던 주요 기록물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안’은 사람의 인명, 토지, 물품 등의 정보를 기록한 기록물로, 사람・재물 등의 현황파악, 변동사항 확인, 개인 발급을 위한 준거 자료 등의 업무 활용 및 참고용 자료로 사용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History book of Gulyehyeon(求禮縣 邑誌) ; History book of Gochanghyeon(高敞縣 邑誌) ; History book of Imsilgun(任實郡 事例定錄) ; History book of Jeongeubhyeon(井邑縣 邑事例) ; Jeongseon Chongswaelog(旌善叢?錄) ; Jain Chongswaelog(慈仁叢?錄) ; Haman Chongswaelog(咸安叢?錄) ; Goseong Chongswaelog(固城叢?錄) ; Mogminsimseo(牧民心書) ; Bonghwahyeon Jung-gi(奉化縣 重記) ; Yeongcheongun Jung-gi(永川郡 重記) ; Yecheongun Jung-gi(醴泉郡 重記) ; Jainhyeon Jung-gi(慈仁縣 重記) ; Habcheongun Jung-gi(陜川郡 重記) ; Hyeonpunghyeon Jung-gi(玄風縣 重記) 

  2. Baek, Seon-hyeo. 2007. "A Study on Records Management System through Kyeonggukdaejeon(經國大典)."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15: 95-140. 

  3. Cho, Mi-Eun. 2012. "The Case Study on Haeyu Document and Junggi in 19th Century: Focused on Youngwol Busa Haeyu Document and Yundeungnaejunggi." Journal of Korean Historical Manuscripts, 40: 179-212. 

  4. Goseong Cultural Center. 2007. Goseong Chongswaelog. Goseong: Goseong Cultural Center. 

  5. Haman Cultural Center. 2003. Haman Chongswaelog. Haman: Haman Cultural Center. 

  6. Jin, Yu-Ra. 2015. "An Analysis of the Records in Gun(郡) and Hyeon(縣) of Honam through Junggi(重記)." Journal of the Institute of Bibliography, 63: 303-336. 

  7. Kim, Hyeog. 2002.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Deungroks(謄錄) of Central Government Office in Late Joseon Period." SEOJIHAKBO, 26: 93-111. 

  8. Kim, Hyun Young. 2006. "A Study on Creation and Preservation of Records of Local Government Office in Joseon Period." Journal of Korean Historical Manuscripts, 28: 25-37. 

  9. Kim, Ki-Deok. 2004. "A Study on the Building Layout of Provincial Government Office in the Late Chosun Dynasty." Journal of Achitectural History, 37: 7-19. 

  10. Kim, Pil-Dong. 1999. Discrimination and solidarity. Seoul: Moonji Publishing Company. 

  11. Kim, Tai-Woong. 2000. "Transformation of Archival system before and after the Kabo Reformation." Kyujanggak, 23: 141-155. 

  12. Lee, Han Hee. 2007. "The Creation, Management Process and Preservation of Archives in the Joseon Period." Journal of the Institute of Bibliography, 37: 287-323. 

  13. Lee, Hee-Kwon. 1999. A Study of Local Ruling Administration in Later Choson. Seoul: Jipmoondang. 

  14. Lee, Hoon-Sang. Local Functionary(鄕吏) in Late Chosun. Seoul: Lilchokak. 

  15. Lee, Hyeong-jung. 2012. A study on the archival meaning and contemporary transformation of Joseon Dynasty's deung-rok(謄錄) system. M.A.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16. Lee, Sang-sik. 2006. "The Regional System Organization and Administration Principle by Yeojidoseo in Late Chosun." The Journal for the Studies of Korean History, 25: 465-494. 

  17. Lee, Soo-Geon. 1989. The History of the Local Administration in Chosun Dynasty. Seoul: Minumsa. 

  18. Nam, Kwon Heui. 2012. "An Analysis of Jeungmyosibilwolil Gahangdo account document (丁卯十一月日各項都重記) at Ahnueum County(安陰縣) in Kyungsang Provinces." Journal of Youngnam Culture, 21: 203-255. 

  19. Nam, Kwon-Hee, Jin, Yu-Ra and Kang, Yu-Hyeon. 2014. "Analysis of records in Dongnaebu's Raebujunggi." Journal of the Institute of Bibliography, 60: 245-286. 

  20. Nam, Kwon-hee. 2002. "A Bibliographical Study of Jung-gi(重記)." Discourse and Policy in Social Science, 14: 57-99. 

  21. Nam, Kwon-hee. 2014. "An Analysis of Archives Included 'Account Document' at Imsil County(任實縣) in Jeolla Provinces in the Late Joseon Period." Journal of the Institute of Bibliography, 57: 5-50. 

  22. Oh, Hang-Nyeong. 2008. "An Understanding of the Archival Management in Early Joseon Dynasty."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17: 3-37. 

  23. Shin, Byung Ju. 2008. "Compilation of records and Management of those materials, in the latter half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17: 39-84. 

  24. Yoon, Hoon-Pyo. 2000. "The Reorganization of Archival system in the Early Stage of the Joseon Dynasty."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2: 129-168. 

  25. Youngnam Culture Institute. 2009. Jung-gi(重記). Daegu: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