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ocardia species (spp.) are opportunistic pathogen in immunocompromised hosts. The genus Nocardia contains more than 70 species. Nocardia takedensis has been recently reported as a new species of the genus Nocardia. In this study, we describes the first clinical isolate of N. takedensis from the sk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6). 본 연구에서는 국내 최초로 환자의 피부 병소로부터 N. takedensis를 분리, 동정한 경험을 보고함으로써, 임상미생물 검사실에서 N. takedensis를 분리 동정하는 데 필요한 실질적인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서 임상환자로부터 N. takedensis의 분리 경험을 통해 배양배지에서 집락 특징과 배양 시간에 따른 배지에서의 형태적 특성, 배지에 따른 염색에서 균의 형태, 생화학적 시험의 특징, 약제 감수성 검사 등 임상미생물 검사실에서 이 세균을 분리 동정할 때 도움이 될 수 있는 여러 가지 기초 자료들을 정리하였다. 이러한 기초적인 정보들은 추후 임상에서 분리 동정 될 수 있는 N.
  • takedensis를 분리하였고, 16S rRNA sequencing 기법을 이용, 최종 동정하였다. 본 증례를 통해 N. takedensis 균의 형태, 집락의 성상, 생화학적 특성, 항균제 감수성 패턴 등을 보고 하고, 향후 임상미생물 검사실 에서 N. takedensis 균을 분리 동정할 때, 도움이 될 수 있는 자료들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Berd D. Laboratory identification of clinically important aerobic Actinomycetes. Journal of Applied Microbiology. 1973. 25: 665-682. 

  2. Betran A, Rezusta A, Lezcano MA, Villuendas MC, Revillo MJ, Boiron P, Rodriguez-Nava V. First Spanish case of nocardiosis caused by Nocardia takedensis. Journal of Clinical Microbiology. 2009. 47: 1918-1919. 

  3. Brown-Elliott BA, Brown JM, Conville PS, Wallace RJ Jr. Clinical and laboratory features of the Nocardia spp. based on current molecular taxonomy. Clinical Microbiology Reviews. 2006. 19: 259-282. 

  4. Kang GS, Kim DM, Lee MH, Suh MK, Ha GY, Jang TJ, Lee KW, Primary cutaneous Nocardia brasiliensis. Korean Journal of Dermatology. 2011. 49: 730-734. 

  5. Kiska DL, Hicks K, Pettit DJ. Identification of medically relevant Nocardia species with an abbreviated battery of test. Journal of Clinical Microbiology. 2002. 40: 1346-1351. 

  6. Lerner PL. Nocardiosis. Clinical Infectious Diseases. 1996. 22: 891-903. 

  7. Nam AR, Kim DH, Kim MJ, Lee JS, Yang SJ, Kim IS. S100A8 induces secretion of MCP-1, IL-6, and IL-8 via TLR4 in Jurkat T Cells. Biomedical Science Letters. 2016. 22: 60-64. 

  8. Nolte FS, Caliendo AM. Molecular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of microorganism: Manual of clinical microbiology. 9th ed. American Society for Microbiology. 2007. 

  9. Park KH, Ko SY, Oh R, Kim T, Cho OH, Kim YS, Woo JH, Han DJ, Sung H, Kim MN. A case of lung abscess caused by Nocardia elegans in kidney transplantation recipient. Journal of Infection and Chemotherapy. 2008. 40: 116-120. 

  10. Roth A, Andrees S, Kroppenstedt RM, Harmsen D, Mauch H. Phylogeny of the genus Nocardia based on reassessed 16S rRNA gene sequences reveals underspeciation and division of strains classified as Nocardia asteroids into three established species and two unnamed taxons. Journal of Clinical Microbiology. 2003. 41: 851-856. 

  11. Saubolle MA, Sussland D. Nocardiosis: review of clinical and laboratory experience. Journal of Clinical Microbiology. 2003. 41: 4497-4501. 

  12. Shin JU, kwon YS, Kim HJ, Park YG, Lee KW, Lee KH. A case of disseminated cutaneous nocardiosis due to Nocardia brasiliensis diagnosed by fine needle aspiration biopsy and 16S ribosomal RNA sequencing. Korean Journal of Dermatology. 2009. 47: 1024-1028. 

  13. Versalovic, J, Carroll KC, Funke G, Jorgensen JH, Landry ML, Warnock DW. Manual of Clinical Mibrobiology. 10th Ed. American Society for Microbiology. 2011. 

  14. Wellinghausen N, Pietzcker T, Kern WV, Essig A, Marre R. Expanded spectrum of Nocardia species causing clinical nocardiosis detected by molecular methods.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al Microbiology. 2002. 292: 277-282. 

  15. Yamamura H, Hayakawa M, Nakagawa Y, Tamra T, Kohno T, Komatsu F, Limura Y. Nocardia takedensis sp. nov., isolated from moat sediment and scumming activated sludge. International Journal of Systematic and Evolutionary Microbiology. 2005. 55: 433-43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