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졸-겔법으로 제조된 방염제졸의 연기밀도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Smoke Density Characteristics of Flame Retardant Sol Manufactured by a Sol-gel Method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31 no.3, 2017년, pp.11 - 18  

조경래 (호서대학교 소방방재학과) ,  이춘하 (호서대학교 소방방재학과) ,  김시국 (호서대학교 소방방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건축물 내에 사용되는 실내장식물의 가연성으로 인해 화재 시 발생하는 연기로 인한 인명피해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무기물의 실리케이트와 유기물의 실란커플링제졸-겔법으로 합성하여 방염성을 부여할 수 있는 비할로겐 방식의 유-무기 하이브리드 방염제졸을 새롭게 제조하였다. 제조된 방염제졸의 성능확인을 위해 방염성능기준에 의거한 연기밀도 측정기준인 ASTM E 662의 시험장치 및 절차에 따라 훈소모드 실험 및 불꽃모드 실험을 진행하여 성능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제조된 방염제졸은 기존의 방염제의 물성과 내열성능을 높여 화재 시 연기발생량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향후 다양한 실내장식물에서도 확대적용 함으로써 연기에 의한 피해에 있어 긍정적인 효과를 발휘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a non-halogen type organic-inorganic hybrid flame retardant sol, which can impart flame resistance to synthesize silicate of inorganic material and silane coupling agent of organic material by a sol-gel method, were newly manufactured. The addition of flame retardant will prevent loss...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의 시험장치 및 절차에 따라 진행하였다. Figure 5는 연기밀도 측정실험에 사용한 연기밀도시험기(NBS Smoke Density Chamber, Fire Testing Technology Ltd, UK)를 나타낸 것으로 밀폐된 챔버 내부에 실험시료를 복사가열기 전면에 수직으로 세워 장착한 후 훈소(nonflaming)모드와 불꽃(flaming)모드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훈소모드 실험의 경우 복사가열기를 이용하여 25 kW/m2의복사열만 인가하였고, 불꽃모드 실험의 경우 25 kW/m2의 복사열 인가와 함께 설치된 버너를 이용하여 가스(50cm3/min)와 공기(500 cm3/min)의 유량조절을 통해 길이 6.
  • MDF-1G 시료의 경우 MDF-1 시료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일반 비방염 PVC필름을 아크릴계 접착제로 프라이머(primer) 처리하여 붙였고, MDF-1F 시료의 경우 MDF-1 시료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할로겐계 방염 PVC필름을 아크릴계 접착제로 프라이머 처리하여 붙였다. MDF-2 시료의 경우 제조된 방염제졸을 도포 횟수에 따른 성능 차이를 추가적으로 관찰하기 위해 MDF 표면에 2회 도포하여 제작하였다.
  • Table 5는 연기밀도 성능이 가장 우수한 MDF-1 시료를 기준으로 소재별 연기밀도 증가량을 추정한 것으로 방염제졸의 도포 횟수에 따른 성능비교를 위해 사용한 MDF-2 시료는 분석에서 제외하였고, 추가적으로 본 실험에서 제외된 표준시료인 MDF-0 시료에 비방염 PVC필름을 붙인 MDF-0G 시료 및 MDF-0 시료에 방염 PVC필름을 붙인 MDF-0F 시료의 훈소모드 및 불꽃모드 실험의 연기밀도를 추정하였다. 훈소모드 실험의 경우 표준시료인 MDF-0 시료로 인해 발생되는 연기밀도는 +510.
  • 4mm의 불꽃을 실험시료 하단에 인가하였다. 각 모드별 실험은 20분 동안 진행하였고, 연소시 발생되는 연기를 챔버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된 광학장치를 이용하여 통과된 연기로 인한 빛의 강도(투과율)변화를 측정하고, 연속적으로 연기밀도를 ASTM E 662에서 규정하고 있는 식 (1)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 의 성능을 개선시켜, 무기물질의 장점인 우수한 내열성을 가진 실리케이트용액(silicate solution;SS)과 내구성 및 부착성의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 실란화합물 중 하나인 아미노기(amino group; AG)의 실란커플링제(silane coupling agent; SCA)인 KBE-903을 이용하여,방염제의 중요 성능인 내열성 및 내구성 등을 향상시킨 유무기 하이브드(hybrid) 방식의 방염코팅제졸을 새롭게 제조하였다. 그 후 화재시 인간의 생명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연기발생량의 저감을 확인하기 위해 건축물의 실내장식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중밀도섬유판인 medium density fiberboard (MDF) 대상으로 실험시료를 제작한 후, 방염코팅제졸의 방염성능 측정을 위해 방염성능기준에 의거하여 방염물품의 연기밀도(density of smoke; Ds) 측정 기준인 ASTM E 662의 시험장치 및 절차에 따라 실험을 진행하여 성능을 확인하였다.
  •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졸-겔법(sol-gel method)을 이용하여 기 연구된 방염제졸(3)의 성능을 개선시켜, 무기물질의 장점인 우수한 내열성을 가진 실리케이트용액(silicate solution;SS)과 내구성 및 부착성의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 실란화합물 중 하나인 아미노기(amino group; AG)의 실란커플링제(silane coupling agent; SCA)인 KBE-903을 이용하여,방염제의 중요 성능인 내열성 및 내구성 등을 향상시킨 유무기 하이브드(hybrid) 방식의 방염코팅제졸을 새롭게 제조하였다. 그 후 화재시 인간의 생명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연기발생량의 저감을 확인하기 위해 건축물의 실내장식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중밀도섬유판인 medium density fiberboard (MDF) 대상으로 실험시료를 제작한 후, 방염코팅제졸의 방염성능 측정을 위해 방염성능기준에 의거하여 방염물품의 연기밀도(density of smoke; Ds) 측정 기준인 ASTM E 662의 시험장치 및 절차에 따라 실험을 진행하여 성능을 확인하였다.
  • 본 논문은 비할론겐 방식의 내열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유-무기 하이브리드 방염제졸을 졸-겔법을 이용하여 새롭게 제조하고, 건축물의 실내장식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중밀도섬유판인 MDF를 이용하여 실험시료를 제작하여,방염성능기준에 의거한 연기밀도 측정기준인 ASTM E 662의 시험장치 및 절차에 따라 훈소모드 실험 및 불꽃모드실험을 진행하여 성능을 확인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 실험은 실험시작 후 90 s, 240 s, 600 s의 정적인 연기밀도(Ds) 값과 실험동안 발생된 연기의 최대연기밀도(Dsm) 값을 측정하였고, 각 모드별 실험시료를 대상으로 총 5회 실시한 후 평균값으로 결과를 나타내었다.
  • 예를 들어 실란화합물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3개의 관능기가 있으므로 물이 3이 된다. 용매는 점도조절이나 안정성을 위해 적당한 양을 사용하고, 촉매는 너무 많은 양을 사용하면 안정성이 떨어지므로 최적화 비율을 찾아 진행하였다. 방염제의 합성방법은 물 34.

대상 데이터

  • Figure 1은 실험에 사용한 실란커플링제(SCA)로써 아미노기(AG)를 가지는 친수성 물질인 KBE-903을 사용하였고, 유기물인 중밀도섬유판(MDF)과 무기물인 실리케이트 (silicate)를 연결해주는 중간 매개체 역할을 한다. Table 2는 실란커플링제(SCA) KBM-903의 일반적인 속성을 나타낸 것이다(14).
  • Figure 4는 실험시료를 나타낸 것으로 연기밀도 측정실험을 위하여 ASTM E 662 규격에 의해 가로 75 mm×세로 75mm×두께 10 mm 크기로 각 시료별 10개씩 제작한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 방염성능이 우수한 비할로겐 방식의 방염제를 제조하기 위하여, 실란화합물과 반응할 수 있고 공업용으로 판매되고 있으며, 무기물질의 장점인 우수한 내열성을 가진 실리케이트용액(SS)을 사용하였다.
  • 졸-겔법에 의해 제조된 방염제졸의 성능실험을 위하여 건축물의 실내장식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중밀도섬유판인 MDF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시료를 제작하였다. Figure 4는 실험시료를 나타낸 것으로 연기밀도 측정실험을 위하여 ASTM E 662 규격에 의해 가로 75 mm×세로 75mm×두께 10 mm 크기로 각 시료별 10개씩 제작한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이론/모형

  • 졸-겔법에 의해 제조된 방염제졸의 성능실험은 방염성능기준(15)에 의거하여 방염물품의 연기밀도(Ds) 측정 기준인 ASTM E 662(고체물질에서 발생하는 연기의 비광학밀도를 위한 표준시험방법)(16)의 시험장치 및 절차에 따라 진행하였다. Figure 5는 연기밀도 측정실험에 사용한 연기밀도시험기(NBS Smoke Density Chamber, Fire Testing Technology Ltd, UK)를 나타낸 것으로 밀폐된 챔버 내부에 실험시료를 복사가열기 전면에 수직으로 세워 장착한 후 훈소(nonflaming)모드와 불꽃(flaming)모드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화재로 인한 인명피해 현황은? 국민안전처 국가화재정보센터의 화재통계자료(1)에 따르면 2016년도 화재로 인한 인명피해는 총 2,024명(사망자306명, 부상자 1,718명)으로 사상원인별로 분석해보면, 화상으로 인한 사상자가 43.33%(877명)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연기 및 유독가스 흡입(흡입으로 인한 화상포함)으로 인한 사상자가 39.87%(807명)로 나타났다. 하지만 사망자만 단독으로 분석해보면 연기 및 유독가스 흡입(흡입으로 인한 화상포함)으로 인한 사망자가 61.
방염 후처리란 무엇인가? 현재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난연성 및 자기소화성을 부여한 방염처리 대상을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제12조(소방대상물의 방염 등)에 의거하여 규정하고 있으며, 방염처리 대상에 따라 방염 선처리 물품과 후처리 물품으로 대상물품을 분류하고 있다. 방염 선처리 물품은 제작 시 방염성능을 첨가하는 것으로 커튼, 침구류, 카펫, 벽지, 암막, 소파, 의자 등의 실내장식물이 해당되며, 방염 후처리 물품은 가공 후 현장에서 방염처리를 하는 것으로 합판 및 목재 등의 실내장식물이 해당된다. 하지만, 현재 방염처리용으로 사용하고 있는 방염제의 대부분은 가격이 저렴하고, 방염효과가 우수한 할로겐 화합물계의 방염제가 사용되고 있으나, 유독가스 및 독성가스를 발생시켜 환경오염 및 인명피해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4,5).
연소가 쉬운 유기물질로 구성된 실내장식물로 발생하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무엇을 하고 있는가? 이러한 건축물에 사용되는 대부분의 실내장식물은 탄소(C), 수소(H), 산소(O)로 구성된 유기물질로 연소가 쉬운 문제점이 있으며, 다량의 연기 및 유독가스가 발생하여 화재로 인한 인명피해를 가중시키며, 피난 시 다량의 연기로 인한 시야확보의 저하로 피난실패가 나타날 가능성이 매우 높다(2). 현재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난연성 및 자기소화성을 부여한 방염처리 대상을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제12조(소방대상물의 방염 등)에 의거하여 규정하고 있으며, 방염처리 대상에 따라 방염 선처리 물품과 후처리 물품으로 대상물품을 분류하고 있다. 방염 선처리 물품은 제작 시 방염성능을 첨가하는 것으로 커튼, 침구류, 카펫, 벽지, 암막, 소파, 의자 등의 실내장식물이 해당되며, 방염 후처리 물품은 가공 후 현장에서 방염처리를 하는 것으로 합판 및 목재 등의 실내장식물이 해당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National Fire Information Center E-Fire Statistics" (2016). 

  2. Y. G. Park, "Toxicity Evaluation of Combustion Gases from the Interior Materials by NES 713", Korea Fire Service Association, Fire Protection Technogy, No. 28, pp. 41-47 (2000). 

  3. K. R. Cho, S. E. Lee, C. H. Lee and S. K. Kim, "Study on the Excellent Heat Resistance Organic-Inorganic Hybrid Flame Retardant",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30, No. 3, pp. 67-72 (2016). 

  4. J. Chae and S. C. Woo, "The Study on the Effectiveness Improvement of Fire Safety in Multiplex Available Premises", Korean Review of Crisis & Emergency Management, Vol. 6, No. 3, pp. 30-44 (2010). 

  5. J. M. Cha, S. H. Hyun, I. B. Kim and M. O. Yoon, "A Study on the Flame Retardant Performance of MDF Wood According to Flame Retardant Treatment Method",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25, No. 6, pp. 146-155 (2011). 

  6. Y. J. Park, H. P. Lee, H. R. Kim, W. S. Lee, Y. S. Yang and M. L. Lee, "A Study on Combustion Gas Toxicity of Architecture Surface Material", Proceedings of 2011 Spring Annual Conference,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pp. 441-446 (2011). 

  7. H. J. Kim and S. E. Lee,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 of Flame Resistant Treated in Gosiwon Fir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4, No. 6, pp. 259-265 (2014). 

  8. B. E. Yoldas, "Hydrolysis of Aluminium Alkoxides and Bayerite Conversion", Journal of Applied Chemistry and Biotechnology, Vol. 23, Issue 11, pp. 803-809 (1973). 

  9. B. E. Yoldas, "Alumina Sol Preparation from Alkoxides", Ceram. Bull, Vol. 54, No. 3, pp. 289-290 (1975). 

  10. C. J. Brinker, G. W. Scherer, "SOL-GEL SCIENCE; The Physics and Chemistry of Sol-Gel Processing", ACADEMIC PRESS, INC., San Diego, USA (1950). 

  11. K. C. Song, J. K. Park, H. U. Kang and S. H. Kim, "Synthesis of Hydrophilic Coating Solution for Polymer Substrate Using 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 Journal of Sol-Gel Science and Technology, Vol. 27, Issue 1, pp. 53-59 (2003). 

  12. J. K. Park, K. C. Song, H. U. Kang and S. H. Kim, "Preparation of Hydrophilic Coating Film Using GPS (Glycidoxypropyl Trimethoxysilane)",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HWAHAK KONGHAK), Vol. 40, No. 6, pp. 735-740 (2002). 

  13. D. P. Kang, H. Y. Park, M. S. Ahn, I. H. Myung, T. J. Lee, J. H. Choi and H. J. Kim, "Properties of Sol-Gel Materials Synthesized from Colloidal Silica and Alkoxy Silanes", Polymer Korea, Vol. 29, Issue 3, pp. 242-247 (2005). 

  14. Shin-Etsu Chemical Co.,Ltd., "Shin-Etsu Silicone; Silane Coupling Agents", Tyokyo, Japan (2010). 

  15.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No. 2016-138), "Flame Retardant Performance Standard" (2016). 

  16. ASTM E 662, "Standard Test method for Specific Optical Density of Smoke Generated by Solid Materials"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