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외 기준개선을 통한 국내 초고층 건축물의 화재피해경감 대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easures for the mitigation of fire damage in Korea super high-rise building through the improvement of domestic·foreign standards 원문보기

한국재난정보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13 no.2 = no.36, 2017년, pp.233 - 248  

Ko, Jaesun (Dept. of Fire fighting Safety Management, Howon Univ.)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초고층 건축물의 발생 가능한 화재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통일된 법 규정과 합리적인 설계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초고층 및 대형 건축물관련 건축심의 성능위주설계(PBD)평가 재해영향평가(DIA)를 중심으로 이 제도의 대상이 되는 건축물과 그 내용상의 문제를 분석하여 성능위주 설계를 기반으로 하는 화재 공학적 화재예방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먼저 법 기준개선측면에서는 첫째 성능위주설계(PBD)평가와 재해영향평가 등에 있어서 상당부분이 동일한 내용임에도 불구하고 두 개의 법령으로 이원화된 부분은 일치 시키고 통폐합해서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성능위주설계(PBD)평가와 재해영향평가(DIA)의 통폐합이 불가능하다면, 성능위주설계(PBD)평가와 재해영향평가(DIA)의 내용의 영역이 명확히 구분되어 정립되어야 한다. 다음 초고층 건축물의 공학적 화재위험성에 대한 개선방안으로는 NFPA 규정대로 첫째 특별 피난 계단에서 직통계단의 규정을 개정할 필요가 있으며, 배연창 대신 기계식 배연설비를 설치하는 경우, 미국에서 사용하는 샌드위치 가압방식(Sandwich Pressurization) 허용하고, 둘째 특별 피난계단용 제연설비는 화재시 구간별로 급기 할 수 있도록 기준의 개정 및 설계초기 단계부터 준공까지 성능위주설계 진행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이상의 연구에서 도출한 개선책 반영과 함께 초고층 건축물의 대한 또 다른 고려사항들에 대해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또한 유지관리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그 결과를 반영할 수 있는 초고층 건축물이라면 화재로 인한 인명피해 및 재산손실을 줄이는데 획기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예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niform laws and regulations and reasonable design is necessary for the prevention of possible fire in super high-rise building. To this end, this study focused on super high-rise and massive building-related architectural review performance-based design (PBD) evaluation disaster impact assessmen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낸·외 초고층 및 대형복합 건축물의 화재안전 관련 기준의 비교와 화재공학적인 화재안전개선방안 도출에 관한 연구로 국내의 초고층 및 대형 건축물관련 건축심의·성능위주설계(PBD)평가·재해영향평가 및 국외의 NFPA를 중심으로 이 제도의 대상이 되는 건축물과 그 내용상의 문제를 분석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초고층 및 대형 건축물의 안전과 관련된 3가지 법규정의 비교 · 분석 및 NFPA의 초고층 및 지하연계 복합 건축물의 화재안전기준을(3) 통해 세부기준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향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마천루라는 표현의 유래는? 초고층 건물에서 마천루(skyscraper)라는 표현은 1885년 엘리베이터 및 압연철재의 발명에 기반을 둔 주철과 단철로 이루어진 미국 시카고의 높이 60m의 Home Insurance빌딩에서 유래되었다. Table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초고층 건물에 대한 정의는 국가에 따라서 다르고, 국내에서는 통상 30층 이상, 높이 120m 이상의 고층 건물을 말하고 있으나, 국제적으로 통일된 기준도 없는 실정으로, 국제초고층 도시주거협의회(CTBUH:Council on Tall Building and Urban Habitat)(2)에서는 50층 또는 높이 200m 이상을 초고층 건물로 정의하고 있다.
초고층 건축물의 발생 가능한 화재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가? 초고층 건축물의 발생 가능한 화재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재산과 인명을 보호하기 위한 합리적인 설계와 균형 있는 법 규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낸·외 초고층 및 대형복합 건축물의 화재안전 관련 기준의 비교와 화재공학적인 화재안전개선방안 도출에 관한 연구로 국내의 초고층 및 대형 건축물관련 건축심의·성능위주설계(PBD)평가·재해영향평가 및 국외의 NFPA를 중심으로 이 제도의 대상이 되는 건축물과 그 내용상의 문제를 분석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2014), "Special Act on the complex high-rise buildings and underground links Disaster Management", NEMA. 

  2.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2015), "Fire Administration statistics 2015", NEMA. 

  3. NFPA, (2009), "NFPA 101 Life Safety Code",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4.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2015), Disaster Statistical Yearbook, MPSS, pp. 241-243. 

  5. J. P. Choi, B. J. Jang, Y. S. Park, Y. J, Lee, (2005), "Introduction of the concept evacuation floor and shelter space for high-rise building"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21, No. 3, pp. 147-154. 

  6. Municipal Development Institute, (2010), "Ensuring method of fire safety in high-rise buildings", pp. 193-194 

  7. H. S. Hwang, (2013), "Disaster prevention measures in high-rise buildings", Fire magazine, Vol. 1, pp. 19-24. 

  8. S. H. Choi, (2009), "Improvement method for ventilation equipment of high-rise building", Facilities Journal, Vol. 38, No. 11, pp. 26-33. 

  9. H. S. Hwang, (2009), "Complex high-rise building fire protection facilities design practices" , Facilities Technology Association of Korea, Vol. 26, No. 12, pp. 39-47. 

  10. J.Y. Kim, (2010), "Technology Status of ventilation facilities in high-rise buildings",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Construction Technology Trends, pp. 34-35. 

  11. C. H. Choi, (2009), "Performance-Based Fire Protection Design Case in high-rise buildings", Facilities Technology Association of Korea, Vol. 26, No. 12, pp. 48-59. 

  12. J. S. Choi, (2011). "BIM application method of high-rise buildings" Ssangyong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13. Y. D. Kim, (2007), "Disaster prevention facilities of high-rise building", Facilities Technology Association of Korea, Vol. 24, No. 1, pp. 79-86. 

  14. Y. J. Lee, (2014), "A Study on the Fire Safety Regulations for High Rise Buildings and Megastructure",Fire magazine, Vol. 2, pp. 58-67. 

  15. S. C. Lee, (2013), "Consideration for the Improvement of ventilation equipment in high-rise buildings", Fire magazine, Vol. 1, pp. 15-1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