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사회연계 과학이슈 교육프로그램 운영의 교육적 함의에 대한 운영 교사 및 강사, 지역 전문가의 인식 탐색
Perceptions of Teachers, Program Instructors, and Local Experts on Implementing Community-Based Socioscientific Issues Program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7 no.3, 2017년, pp.453 - 464  

김가형 (이화여자대학교) ,  이현주 (이화여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과학이슈(유기동물, 미세먼지, 재활용)를 중심으로 학교와 지역사회를 연계하는 과학교육 프로그램(SSI-COMM) 운영을 담당한 교사, 외부 강사, 지역 전문가들의 SSI-COMM의 운영 경험을 통해 실천과 참여를 강조한 지역사회연계 프로그램의 교육적 함의를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각각의 프로그램은 한 학기 동안 16차시로 운영이 되었으며 학생들의 과학이슈에 대한 흥미와 지역사회로의 참여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학교와 학교 밖 활동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4명의 학교 교사, 4명의 외부 강사, 6명의 지역 전문가와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수업 관찰 일지 등도 추가적으로 수집되었다. 연구 결과, SSI-COMM 운영에 참여한 운영자들은 프로그램 운영 과정에서 본 프로그램의 적용이 가져올 수 있는 교육적 함의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했을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속 과학이슈에 대해 스스로의 관심이 높아지고,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운영해보고자 하는 의지를 나타냈다. 교사의 경우에는 본 프로그램을 통해 현재 학교교육이 학생들의 잠재된 역량이 표출되기에 제한이 있음을 인지하였으며, 학생들이 직접 학교 밖 관련 기관을 직접 방문하고 지역 전문가와 만나 소통해보는 경험을 통해 학교 지식과 실천 사이의 간격을 줄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인지하였다. 학교 밖 교육을 담당했던 외부 강사는 자유로운 학교 밖 활동이 학교 수업에서 소외되었던 학생들에게 뿌듯함과 자신감 그리고 성취감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을 확인하였다. 본 프로그램 운영에 참여한 지역 전문가들 역시 본인의 직업과 관련된 분야에서 논의되는 과학이슈에 대해 학생들과 소통하는 경험을 통해 지역사회에 대한 소속감과 교육 주체로서의 역할에 대해 고민해볼 수 있었다. SSI-COMM은 지역사회연계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해서는 앞으로 지속적으로 학교와 지역사회 구성원들 간의 친밀한 네트워크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s of the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of major stakeholders (i.e. science teachers, program instructors, local experts, etc.) who participated in implementing Community-Based Socioscientific Issues Programs (SSI-COMM) and to provid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further implem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상황학습이론은 어디에 중점을 두고 있는가? 지역사회연계 학습은 상황학습이론(situated learning theory)으로 설명될 수 있다. 상황학습이론은 지식을 구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사회적 상호작용에 중점을 두고 있다(Cobb & Bowers, 1999; Lave & Wenger, 1991). 학습은 학습자들을 둘러싸고 있는 구성원들과의 관계 속에서, 그리고 그들이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장소 안에서 상황적으로 이루어진다.
과학 교육의 목적은 무엇인가? 과학 교육의 목적은 과학적 소양을 갖춘 시민을 양성하는 것이다. 즉, 과학 교육은 학생들이 미래 시민으로서 과학관련 이슈들에 대한논쟁에 참여하고, 다양한 입장을 고려하여 합리적인 해결방안을 모색하며, 행동으로 실천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는데 기여해야 함을 의미한다(Lee & Roth, 2003).
과학적 참여와 평생학습 능력의 정의는 무엇인가? 2015년 개정된 우리나라 과학과 개정교육과정에서도 ‘과학적 참여와 평생학습 능력’을 핵심역량 중 하나로 제시하고 있다. 이 역량은 “사회에서 공동체의 일원으로 합리적이고 책임 있게 행동하기 위해 과학기술의 사회적 문제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하며 새로운 과학기술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스스로 지속적으로 학습해 나가는 능력”(Ministry of Education, 2015, p.4)으로 정의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nderson, D., & Lucas, K. B. (1997). The effectiveness of orienting students to the physical features of a science museum prior to visitation.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7(4), 485-495. 

  2. Barton, A. C., & Tan, E. (2010). We be burnin'! Agency, identity, and science learning.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 19(2), 187-229. 

  3. Billig, S., Root, S., & Jesse, D. (2005). The impact of participation in service-learning on high school students' civic engagement (CIRCLE Working Paper 33). Washington, DC: Center for Information and Research on Civic Learning and Engagement. 

  4. Birmingham, D., & Barton A. C. (2014). Putting on a green carnival: Youth taking educated action on socioscientific issu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51(3), 286-314. 

  5. Bouillion, L. M., & Gomez, L. M. (2001). Connecting school and community with science learning: Real world problems and school-community partnerships as contextual scaffold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8(8), 878-898. 

  6. Catalano, R. F., Oesterle, S., Fleming, C. B., & Hawkins, D. (2004). The importance of bonding to school for healthy development: Findings from the social development research group. Journal of School Health, 74(7), 252-261. 

  7. Cheak, M., Volk, T., & Hungerford, H. (2002). Molokai: An investment in children, the community, and the environment. Carbondale, IL: Center for Instruction, Staff Development, and Evaluation. 

  8. Cobb, P., & Bowers, J. (1999). Cognitive and situated learning perspectives in theory and practice. Educational Researcher, 28(2), 4-15. 

  9. Duffin, M., Powers, A., & Tremblay, G. (2004). Report on cross-program research and other program evaluation activities: 2003-2004. Richomond, VT: PEER Associates. 

  10. Emekauwa, E. (2004). They remember what they touch: The impact of place-based learning in East Feliciana Parich. Washington, DC: Rural School and Community Trust. 

  11. Han, S. (2002). Lifelong learning from the perspective of learning ecology. Seoul: Hakjisa. 

  12. Kim, G. (2016). The effects of community-based socioscientific issues programs on promoting students' understanding of community issues and character and values as citizen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Korea. 

  13. Knapp, C. E. (2008). Place-based curricular and pedagogical models my adventures in teaching through community contexts. In D. A. Gruenewald & G. A. Smith (Eds.), Place-based education in the global age: Local diversity (pp. 5-28). New York, N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4. Lave, J., & Wenger, E. (1991). Situated learning: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Cambridge, Eng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 Lee, S., & Chang, N. (1993). The effect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Strategy through personalization of environment.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ducation, 5, 71-88. 

  16. Lee, S., & Roth, M. W. (2003). Science and the "good citizen": Community-based scientific literacy. Science, Technology, & Human Values, 28(3), 403-424. 

  17. Lee, S., Shin, H., Moung, J., & Kim, C. (2010). The effect of science museum educational program on primary school students’ science learning motivation. The Korean Society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9(1), 47-55. 

  18. Lieberman, G., & Hoody, L. (1998). Closing the achievement gap: Using the environment as an integrating context for learning. San Diego, CA: State Education and Environment Roundtable. 

  19. Lim M., & Barton, A. C. (2010). Exploring insideness in urban children’s sense of place.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30(3), 328-337. 

  20. Lincoln, Y., & Guba, E. (1985). Naturalistic inquiry. Thousand Oaks, CA: Sage. 

  21. Morgan, A. (2011). Place-based education versus geography education? In G. Butt (Ed.), Geography, education and the future. (pp. 84-102). New York, NY: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22. Powers, A. L. (2004). An evaluation of four place-based education programs. Reports & Research, 35(4), 17-32. 

  23. Senechal, E. (2008). Environmental justice in Egleston square. In D. A. Gruenewald & G. A. Smith (Eds.) Place-based education in the global age: Local diversity (pp. 85-111). New York, N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4. Stake, R. (1995). The art of case study research. Thousand Oaks, CA: Sage. 

  25. Stevenson, K. T. (2014). Role of significant life experiences in building environmental knowledge and behavior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45(3), 163-177. 

  26. Tal, T., & Abramovitch, A. (2013). Activity and action: Bridging environmental sciences and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43(4), 1665-1687. 

  27. Volk, T., & Cheak, M. (2003). The effects of an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on students, parents, and community.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34(4), 12-25. 

  28. Wenger, E. (1998). Communities of practice: Learning, meaning, and identity. Cambridge, Eng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29. Yetes, M., & Youniss, J. (1999). Roots of civic identity: International perspectives on community service and activism in youth.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30. Yoon, O. (2016). Practices of place-based environmental education in a general education course for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24(1), 139-15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