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업단지 개발에 따른 지가형성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Land Prices Caused by the Development of Industrial Complex 원문보기

지적과 국토정보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v.47 no.1, 2017년, pp.143 - 160  

김영준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  성주한 (창신대학교 부동산금융학과) ,  김홍배 (한양대학교 도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공시지가 제도가 도입된 이후, 부동산정책에 대한 제반 행정의 기준으로 기능해 왔다. 그러나 최근 공시지가의 적정성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토지특성항목이 너무 많아 통계모형 수립이 어렵고, 지역적 경제적 환경이나 개발계획 등이 지가평가모형에 반영되기 어렵기 때문이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분석 모형으로 시계열적인, 횡단면적인 변수들을 고려하여 패널 모형 중에서 이원오차성분 모형을 적용하였다. 분석 모형에 토지특성변수, 거시경제변수, 개발사업을 반영하는 변수를 포함시켰다. 분석 지역으로는 파주 LCD 산업단지를 선정한 후,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토지특성변수들 중에서 14개(31%) 변수만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거시경제적 변동성은 지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발사업을 반영하는 연도변수는 산업단지 지정 이후 지속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지가평가모형을 개선할 때 토지특성항목들은 단순화하고, 거시 경제 변수들과 지역 경제 변수들은 모형에 포함시켜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하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ce officially assessed land price system was introduced, it has functioned as the criterion for establishing and implementing real estate policies. However, there is a controversial issue about the adequacy of the officially assessed land price system. The problem is that it is difficult to estab...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표준지공시지가란 무엇인가? 공시지가는 표준지공시지가와 개별공시지가로 구분 할 수 있다. 표준지공시지가는 토지이용상황, 주변환경, 기타 자연적 ‧ 사회적 조건이 유사하다고 인정되는 일단의 토지 중에서 표준지를 선정한 후, 국토해양부장관이 매년 1월 1일을 기준으로 공시하는 단위면적당 가격을 의미한다. 공시사항으로는 표준지의 지번, 단위면적당 가격, 이용상황, 지목, 지리적 위치, 용도제한, 도로 ‧ 교통상황, 지세, 기타 사항 등이 있다.
거시경제와 지가의 연관성 연구들 대부분 벡터자귀회귀모형을 사용한 이유는? 거시경제와 지가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벡터자귀회귀모형(VAR)을 사용하였다. 거시경제변수가 시계열자료이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결과들에 의하면 지가와 거시경제는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토지가격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토지가격은 토지특성에 의해서 뿐만 아니라, 지역적 ‧ 경제적 환경이나 개발계획 등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게 된다. 이러한 요인들을 반영할 수 있는 평가모형의 필요성에 대한 논의도 있다(이왕무 외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고석남. 1997. 공시지가 산정의 정확성 및 형평성. 정책분석평가학회보. 7(2):131-148. (Ko SN. 1997. Accuracy and Equity of Estimation of officially assessed land pri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Policy Analysis and Evaluation. 7(2):131-148.) 

  2. 김광국, 황지욱. 2010. 특성감안가격결정모형을 활용한 도심부 토지용의 지가결정요인 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26(11):237-244. (Kim KK, Hwang JW. 2010. Analysis on Land Price Determinants of the Downtown Area using Hedonic Price Model.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6(11):237-244) 

  3. 김선주, 권기욱. 2015. 완주 혁신도시 지역의 지가 결정요인. 한국지적학회지. 31(2): 17 -27. (Kim SJ, Kwon KW. 2015. A Study on Determinant Factors for Land Price on Wanju Innovation C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adastre. 31(2): 17-27.) 

  4. 김세형, 한혜근. 2014. 부동산 가격형성요인의 공간적 이질성 탐색. 감정평가학 논집. 13(1) :13-25. (Kim SH, Han HG. 2014. Exploring Spatial Heterogeneity of Real Estate Price Formation Factors. Journal of the Korea Appraisal Society. 13(1):13-25.) 

  5. 김용희. 2009. 지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토지와건물. 22:106-128. (Kim YH. 2009. A Study on the Land Price Influencing Factor. The Journal of Real Estate. 22:106-128.) 

  6. 김주영. 2003. 위계적 선형모델을 이용한 주택가격 함수 추정. 국토계획. 38(7):223-234. (Kim JY. 2003. Estimation of Housing Price Function using Hierarchy Linear Model.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38(7):223-234.) 

  7. 김주영, 김주후. 2006. 위계선형모델을 적용한 근린특성의 지가영향 분석. 국토계획. 41(5): 33-43. (Kim JY, Kim JH. 2006. Analysis of Neighborhood Effect on Land Price using Hierarchical Linear Model.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41(5):33- 43.) 

  8. 남희찬, 김종진. 2013. 시계열자료를 이용한 토지가격 형성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환경학회지. 11(1): 77-84. (Nam HC, Kim JJ. 2013. A Study on the Factors of the Land Price using Time-Serial Data. Journal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nstitute of Korea. 11(1): 77-84.) 

  9. 노태욱. 2003. 표준지 공시지가의 가격특성에 관한 연구. 부동산학연구. 9(1):105-120. (Rho TU. 2003.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Officially Assessed Land Price. Journal of the Korea Real Estate Analysts Association. 9(1): 105-120.) 

  10. 민인식, 최필선. 2015. 고급 패널데이터 분석. 지필미디어, p. 21-33. (Min IS, Choi PS. 2015. Advanced Panel Data Analysis. Jipilmedia, p. 21-33.) 

  11. 민인식, 최필선. 2016. 패널데이터 분석. 지필미디어, p. 2-3. (Min IS, Choi PS. 2016. Panel Data Analysis. Jipilmedia, p. 2-3.) 

  12. 민태욱. 2010. 공시지가를 기준으로 하는 토지감정평가 체계의 재검토. 토지공법연구. 51: 67-88. (Min TU. 2010. Reconsideration of the Land Appraisal System Based on the Officially Announced Land Price. Journal of the Korean Public Land Law Association. 51: 67-88.) 

  13. 박헌수, 우경, 김창수. 2003. VAR 모형을 이용한 수도권 지가변동에 관한 연구. 부동산학연구. 9(2):1-13. (Park HS, Woo K, Kim CS. 2003. A Study on the Land Price Fluctuation in Seoul Metropolitan Area. Journal of the Korea Real Estate Analysts Association. 9(2): 1-13.) 

  14. 서경규. 2012. 표준지비교법에 의한 지가평가의 재검토. 감정평가학 논집. 11(1): 1-13. (Seo KK. 2012. Review on the Comparison Approach of the Standard Land in Land Price Appraisal. Journal of the Korea Appraisal Society. 11(1): 1-13.) 

  15. 서경규, 김은지, 이규태. 2016. 대구. 경북지역 최고지가필지의 입지 및 지가형성요인 분석. 부동산학보. 64:69-81. (Seo KK, Kim EJ, Lee KT. 2016. An Analysis on Location and Forces Influencing the Land Value of the Highest Land Value Lots in Daegu and Gyungbuk. Journal of Korea Real Estate Academy. 64:69-81.) 

  16. 서경천, 이성호. 2001. 공간적 자귀회귀모델과 토지시장 분할에 의한 효율적 지가추정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6(4):77-94. (Seo KC, Lee SH. 2001. The Efficient Estimation of Land Value using Spatial Autoregressive model and Land Market Segmentation.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36(4):77-94.) 

  17. 서수복, 곽성남. 2014. 헤도닉모형에 의한 현행 토지가격비준표 작성방법의 적정성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49(5):187-204. (Seo SB, Kwak SN. 2014. A Study on the Adequacy of Standard Comparison Table of Land Price by Hedonic Price Model.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49(5):187-204.) 

  18. 서수복, 이왕무, 곽성남. 2015. 공간효과를 이용한 공시지가 산정방법의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지적학회지. 31(3):153-164 (Seo SB, Lee WM, Kwak SN. 2015.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Officially Assessed Land Price Calculation using Spatial Effec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adastre. 31(3):153-164.) 

  19. 서수복, 이왕무, 곽성남. 2016. 실거래를 이용한 토지가격비준표 작성의 유용성 검증에 관한 연구. 한국지적정보학회지. 18(1):43-57. (Seo SB, Lee WM, Kwak SN. 2016. A Study on the Validation of SCTLP using the Real Trading Price. Journal of the Korean Cadastre Information Association. 18(1): 43-57.) 

  20. 성백영, 김홍택. 2008. 시장 금리변동과 지가변동률과의 상관관계 연구. 대한부동산학회지. 26(2):71-83. (Sung BY, Kim HT. 2008. A Study on Correlations between Market Interest Rate Fluctuation and Change Rate of Land Price. Journal of the Korea Real Estate Society. 26(2):71-83.) 

  21. 송용철. 2012. 공간계량모형을 이용한 공시지가 추정방법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p.61-117. (Song YC. 2012. A Study on the Estimation Method of Officially Announced Land Price using Spatial Econometrics Models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p. 61 -117.) 

  22. 안혜진, 이성호. 2002. 부산시 도심일대의 지가형성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도시공간보. 12. (Ahn HJ, Lee SH. 2002.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Land Prices in the Central Area of Pusan. Journal of Urban Studies. 12.) 

  23. 이범웅. 2011. 공시지가의 의미와 적정성 검토. 감정평가학 논집. 10(1): 89-100 (Lee BU. 2011.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Assessment Ratio using the Sales Price and Officially Announced Land Price. Journal of the Korea Appraisal Society. 10(1): 89-100) 

  24. 이성근, 서경규. 2004. 농경지의 토지가격비준표 개선을 위한 개별공시지가 검증실태와 표준지공시지가 영향력 분석. 한국지역개발학회지. 16(2): 15-31. (Lee SK, Sur KK. 2004. A Study on Actual State of Verification about Individual Public Land Price and Analysis of Influence on Standard Public Land Price to Improve Land Index Table of Agricultural Land.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16(2):15-31.) 

  25. 이왕무, 곽성남, 서수복. 2014. 쟁점별 원인과 개선방안을 분석한 공시지가 산정의 근본문제에 관한 연구. 부동산학보 56: 234-247 (Lee. Wang Mu. Kwak. Seong Nam. Seo. Su Bog. 2014. A Study on the Fundamental Problem of the Officially Assessed Land Price with Point at Issue Factors and Improvement Plan Analyzing. Journal of the Korea Real Estate Academy. 56: 234-247.) 

  26. 이용만. 2008. 헤도닉 가격 모형에 대한 소고. 부동산학연구. 14(1):81-87. (Lee YM. 2008. A Review of the Hedonic Price Model. Journal of the Korea Real Estate Analysts Association. 14(1):81-87.) 

  27. 이창로, 박기호. 2013. 지가형성요인의 다수준 종단 분석. 대한지리학회지. 48(2):272-287. (Lee CR, Park KH. 2013. A Multi-level Longitudinal Analysis of the Land Price Determinants.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8(2):272-287.) 

  28. 이희연, 노승철. 2015. 고급통계분석론. 문우사, p. 588-633. (Lee HY, Noh SC. 2015. Advanced Statistical Analysis. Moonwoo, p. 588-633.) 

  29. 임춘호, 박창수. 2012. 지가변동요인이 지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환경학회지. 10(3):1-15. (Lim CH, Park CS. 2012. A Study on the Impact of Land Price Fluctuation Factors in Land Prices. Journal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nstitute of Korea. 10(3):1-15.) 

  30. 전문태, 민규식. 2008. 군산시의 토지가격 형성요인. 감정평가학 논집. 7(1):29-46. (Jeon MT, Min KS. 2008. Influencing Factors Land Value of the Gun-san City. Journal of the Korea Appraisal Society. 7(1):29 -46.) 

  31. 전해정. 2012. 주택가격과 거시경제변수간의 동태적 관계 분석.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p. 97-102. (Chun HJ. 2012. A Study on the Dynamic Relations between the House Price and Macroeconomic Variables[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p. 97-102.) 

  32. 최열, 권연화. 2004. 위계선형모델을 이용한 교육환경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 분석. 국토계획. 39(6):71-82. (Choi Y, Kwon YH. 2004. The Impact of Educational Environment on Multi-family Attached House Price using Hierarchy Linear Model.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39(6):71-82.) 

  33. 허재완, 박성민. 2016. 대도지와 중소도시의 토지가격결정요인에 관한 비교연구. 한국지역경제연구. 14(1):25-35. (Hur JW, Park SM. 2016. A Comparative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Land Prices between Large Cities and Small & Medium-Sized Cities. Journal of the Korea Regional Economics. 14(1):25-3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