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MaxEnt 모형을 활용한 부산광역시 내 오동나무 및 참오동나무의 분포 경향과 생태적 특성
Distribution Patterns and Ecological Characters of Paulownia coreana and P. tomentosa in Busan Metropolitan City Using MaxEnt Model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35 no.2, 2017년, pp.87 - 97  

이창우 (국립생태원 생물관리연구본부) ,  이철호 (동의대학교 분자생물학과) ,  최병기 (동의대학교 분자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오동나무는 한국 전통 문화에서 오래전부터 인식되어 왔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종의 가치에 대해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종의 분포와 생태적 특성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MaxEnt 모형을 활용하여 부산광역시 내 오동나무 두 종의 분포 경향 및 생태적 특성을 밝히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MaxEnt 모형은 현장 조사로 수집된 오동나무 종의 위치 정보와 지형, 기후, 잠재인간간섭도와 같은 환경 인자로 구축되었다. 연구결과 AUC 값은 오동나무와 참오동나무가 각각 0.809으로 모형의 정확도가 적절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분포모형에 따른 연구지역 내 오동나무와 참오동나무의 분포 경향은 두 종 모두 시가지, 나지가 밀집해 있는 도심위주의 분포를 나타냈다. 두 종의 잠재분포가능면적은 오동나무 $137.4km^2$, 참오동나무 $135.0km^2$로 확인되었으며, 중구, 동래구, 부산진구, 연제구 등에서 높은 확률로 분포하였다. 환경요인의 기여도 분석 결과, 오동나무와 참오동나무의 분포에 잠재인간간섭도가 약 50% 내외의 기여를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잠재인간간섭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해발고도는 두 종 모두에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해발고도가 증가할수록 자연서식처에서 자생종과의 경쟁이 증가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오동나무와 참오동나무의 분포가 인위적 활동에 의존되어 있음을 수리적으로 나타내는 결과이며, 한국 전통경관과의 관련성을 암시하는 결과이다. 이러한 결과는 추후 오동나무의 활용 및 보존, 복원에 있어서 의미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aulownia species has long been recognized in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the values of the species have been researched in various focuses. However, studies on distribution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pecies are still needed.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distribution trends and ecolo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MaxEnt 모형을 활용하여 부산광역시 내 오동나무 및 참오동나무의 분포 경향과 생태적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 결과, 오동나무와 참오동나무는 전체적으로 유사한 분포 경향을 나타내었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위적으로 식재된 종은 직간접적으로 종의 분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43]. 본 연구는 자생종의 정보를 이용하여 잠재분포면적을 추출하였으나, 현장조사에서 확인된 식재기원의 인위분포와의 관계를 함께 제시하여 그 관계를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자연과학적 측면뿐 아니라 인문사회학적 측면에서도 높은 가치를 지니는 것으로 여겨지는 오동나무속 두 종에 대해 분포 및 생태적 특성을 MaxEnt 모형을 활용하여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오동나무는 무엇인가? 오동나무(Paulownia coreana Uyeki)는 한국 특산식물(endemic plant species)로 현삼과에 속하고 높이가 15m에 달하는 낙엽활엽교목이다[1]. 예로부터 오동나무의 명칭과 형태적 유사성에 의해 참오동나무(P.
MaxEnt는 공간에서의 확률분포를 무엇을 추정하여 나타내는가? 출현/비출현자료를 사용하는 모형은 GLMs(generalized linear models), GAMs(generalized additive models), BRT(boosted regression trees)등이 있으며, 출현자료만 사용하는 모형은 GARP(genetic algorithm for rule-set production), ENFA(ecological niche factor analysis), MaxEnt(maximum entropy modeling of species geographic distributions) 등이 있다[19][21]. 이 중MaxEnt는 생물종 분포의 무질서도(entropy)를 극대화 할 수 있는 값을 추정하여 공간에서의 확률분포를 나타내는 회귀모형으로, 출현자료만을 적용할 때 다른 종 분포 모형에 비해 높은 정확도를 나타낸다[21-25].
종 분포 모형의 종류 중 출현자료만 사용하는 모형은 무엇인가? 종 분포 모형의 종류는 종의 출현자료 유형에 따라 나뉘는데, 출현/비출현 자료(present-absent data) 모두를 사용하는 모형, 출현자료(only present data)만 사용하는 모형으로 구분된다. 출현/비출현자료를 사용하는 모형은 GLMs(generalized linear models), GAMs(generalized additive models), BRT(boosted regression trees)등이 있으며, 출현자료만 사용하는 모형은 GARP(genetic algorithm for rule-set production), ENFA(ecological niche factor analysis), MaxEnt(maximum entropy modeling of species geographic distributions) 등이 있다[19][21]. 이 중MaxEnt는 생물종 분포의 무질서도(entropy)를 극대화 할 수 있는 값을 추정하여 공간에서의 확률분포를 나타내는 회귀모형으로, 출현자료만을 적용할 때 다른 종 분포 모형에 비해 높은 정확도를 나타낸다[21-2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Lee, W. C.(1996). Colored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Seoul: Academy. 

  2. Hong, H. S.(2013). Species, Planting Position and Scenic Utilization of 'Paulownia Tree (梧桐)' in the Traditional Garden.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1(2): 20-30. 

  3. Kim, M. J.(2011). A Study of Tree Planting Activities in the Later Joseon Dynasty. Keimvung Korean Studies Journal. 43: 249-282. 

  4. Lee, S. H., Jin, H. Y., Lee, H. C., Moon, A. R., Choi, W. K., Song, Y. J. and Song, J. H.(2016). A Study on the Current Planting Status and Maintenance Plans of Traditional Korean Templ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4(1): 53-70. 

  5. Shim, C. S.(1982).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Paulownia tomentosa and Paulownia coreana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10(3): 3-3. 

  6. Park, S. J.(1992). Archeological Woods in Korea and Its Uses. Review of Architecture and Building Science. 36(4): 102-105. 

  7. Akyildiz, M. H. and Kol, H. S.(2010). Some Technological Properties and Uses of Paulownia (Paulownia tomentosa Steud.) wood.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31(3): 351-355. 

  8. Chung, Y. J., Kang, S. Y. and Choi, Y. A.(2008). Analysis on Antifungal Activity of Paulownia-wood Storage Box and Application of Natural Biocide for the Activity Enhancement.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24: 75-83. 

  9. Kang, B. H.(2008). A herb Medicine Resource Ecology Illustrations in Korea. Seoul: Youngsinsa. 

  10. Kang, B. H.(2012). Resource Plant Used as a Medicine and Food in Korea. Paju: Korean Studies Information. 

  11. Jeong, M. J., Park, G. U, Jeong, H. R., Son, S. G., Kim, H. J., Choi, J., Lee, C. H., Sin, C. H. and Kim, S. S.(2013). Folk Plant in Korea. Seoul: Korea Disabled Welfare Association. 

  12. Oh, J. S. and Zee, O. P.(2000). Cytotoxic Compounds from the Flowers of Paulownia coreana. Korean Journal of Pharmacognosy. 31(4): 449-454. 

  13. Jun, B. S., Cha, J. Y. and Cho, Y. S.(2001). Antioxidative Activities of Fruit Extracts of Paulownia tomentosa Stuffed.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8(2): 231-238. 

  14. Lee, S. E., Seong, N. S., Bang, J. K., Park, C. G., Sung, J. S. and Song, J.(2003). Antioxidative Activities of Korean Medicinal Plant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1(2): 127-134. 

  15. Si, C. L., Kim, J. G., Gwon, D. J. and Bae, Y. S.(2006). Phenolic Compounds from the Fruits of Paulownia coreana Uyeki.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34(1): 79-85. 

  16. Kim, T. W., Min, K. M, Yu, S. J., Lee, M. J, Jung, H. M., Cho, W. J., Kim, M. J., Chun. W. J. and Kwon, Y. S.(2015). Chemical Constituents of the Twigs of Paulownia coreana. Korean Journal of Pharmacognosy. 46(2): 99-104. 

  17. Franklin, J.(2009). Mapping Species Distributions: Spatial Inference and Prediction.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 Elith, J. and Leathwick, J. R.(2009). Species Distribution Models: Ecological Explanation and Prediction across Space and Time. Annual Review of Ecology, Evolution, and Systematics. 40: 677-697. 

  19. Elith, J., Phillips, S. J., Hastie, T., Dudik, M., Chee, Y. E. and Yates, C. J.(2011). A Statistical Explanation of MaxEnt for Ecologists. Diversity and Distributions. 17(1): 43-57. 

  20. Park, H. C.(2016).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limate Change Sensitivity Assessment Method for Plants Using The Species Distribution Models -Focused on 44 plants among the Climatesensitive Biological Indicator Species-. Ph. D. dissert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Kangwon. 

  21. Phillips, S. J., Anderson, R. P. and Schapire, R. E.(2006). Maximum Entropy Modeling of Species Geographic Distributions. Ecological Modelling. 190(3): 231-259. 

  22. Elith, J., Graham, C. H., Anderson, R. P., Dudik, M., Ferrier, S., Guisan, A., Hijmans, R. J., Huettmann, F., Leathwick, J. R., Lehmann, A., Li, J., Lohmann, L. G., Loiselle, B. A., Manion, G., Moritz, C., Nakamura, M., Nakazawa, Y., Overton, J. McC., Peterson, A. T., Phillips, S. J., Richardson, K. S., Scachetti-, R., Schapire, R. E., Soberon, J., Williams, S., Wisz, M. S. and Zimmermann, N. E. (2006). Novel Methods Improve Prediction of Species ' Distributions from occurrence Data. Ecography. 29: 129-151. 

  23. Pearson, R. G., Raxworthy, C. J., Nakamura, M. Townsend and Peterson, A.(2007). Predicting Species Distributions from Small Numbers of Occurrence Records: a Test Case Using Cryptic Geckos in Madagascar. Journal of Biogeography. 34(1): 102-117. 

  24. Seo, C. W., Park, Y. R. and Choi, Y. S.(2008). Comparison of Species Distribution Models According to Location Data.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16(4): 59-64. 

  25. Kim, J., Seo, C., Kwon, H., Ryu, J. and Kim, M.(2012). A study on the Species Distribution Modeling Using National Ecosystem Survey Data.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1(4): 593-607. 

  26.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2011).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Seoul: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7. Kim, J. W.(2003). Rapid Ecoassessment Technique about Anthropogenic Disturbance Potentiality of Land Use.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26(1): 419-22. 

  28. Thuiller, W.(2003). BIOMOD-Optimizing Predictions of Species Distributions and Projecting Potential Future Shifts under Global Change. Global Change Biology. 9(10): 1353-1362. 

  29. Merow, C., Smith, M. J. and Silander, J. A.(2013). A Practical Guide to MaxEnt for Modeling Species' Distributions: What It Does, and Why Inputs and Settings Matter. Ecography. 36(10): 1058-1069. 

  30. Swets, J. A.(1988). Measuring the Accuracy of Diagnostic Systems. Science. 240(4857): 1285. 

  31. Liu, C., Berry, P. M., Dawson, T. P. and Pearson, R. G.(2005). Selecting Thresholds of Occurrence in the Prediction of Species Distributions. Ecography. 28(3): 385-393. 

  32. Jung, Y. K.(1995). A syntaxonomical study on the mantle communities in South Korea. Kyungpook University Ph.D Thesis. 

  33. Grubisic, D. and Konjevic, R.(1990). Light and Nitrate Interaction in Phytochrome-controlled Germination of Paulownia tomentosa Seeds. Planta. 181(2): 239-243. 

  34. Longbrake, A. C. W.(2001). Ecology and Invasive Potential of Paulownia tomentosa (Scrulariaceae) in a Hardwood Forest Landscape. Ohio University Ph.D Thesis. 

  35. Grubisic, D., Konjevic, R. and Neskovic, M.(1988). The effect of some growth regulators on light-induced germination of Paulownia tomentosa seeds. Physiologia Plantarum. 72(3): 525-28. 

  36. Roger, W.(2012). Effects of fire and invasive Paulownia tomentosa on native tree regeneration in southern Ohio after two years. Ohaio State University. Ph. M Thesis. 

  37. Turner, B. Gregory, Y., Robyne, D., Lau, R. and Young, D. R.(1988). Effect of acidity on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Paulownia tomentosa. Journal of Applied Ecology. 25: 561-67. 

  38. Williams-Linera, G.(1990). Origin and early development of forest edge vegetation in Panama. Biotropica. 22(3): 235-41. 

  39. Lim, J. C., Ryu, T. B., Ahn, K. H. and Choi, B. K.(2016) The development of vulnerable elements and assessment of vulnerability of Maeuhsoop ecosystem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4(4): 57-65. 

  40. Kim, M. Y. 2004. Korean endemic plants. Seoul : Solgwahak Press. 

  41. Lim, E. J. and So, H. S. 2014. Landscpae gardening culture in late Josen dynasity depicted in 'Ahoido' painting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2(3): 46-57. 

  42. Choi, B. K. and Lee, C. B. 2015. A Study on the Synecological Values of the Torreya nucifera Forest (Natural Monument No. 374) at Pyeongdae-ri in Jeju Island.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3(4): 87-98. 

  43. Choi, B. K. Lim, J. C. and Lee, C. W. 2015. Conservation Methods and Vascular plants of Oriental Thuja Community in Dodong, Daegu.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3(3): 72-8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