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공 질환의 접근: 해부학적 경로를 통해서
Approach to pupillary abnormalities via anatomical pathways 원문보기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 영남의대학술지, v.34 no.1, 2017년, pp.11 - 18  

김성희 (경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신경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pillary size and movement are controlled dynamically by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the parasympathetic system constricts the iris, while the sympathetic system dilates the iris. Under normal conditions, these constrictions and dilations occur identically in both eyes. Asymmetry in the pupil...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동공이란 무엇인가? 동공(pupil)은 각막과 수정체 사이에 존재하는, 홍채 안쪽의 비어 있는 가상의 둥근 공간을 일컫는다. 동공은 눈으로 들어오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데, 서로 상반되는 작용을 하는 교감신경계와 부교감신경계가 역동적으로 조화를 이루면서 동공을 둘러싼 홍채근(iris muscle)의 긴장도를 조절하여 동공의 크기가 변화한다.
동공의 역할은 무엇인가? 동공(pupil)은 각막과 수정체 사이에 존재하는, 홍채 안쪽의 비어 있는 가상의 둥근 공간을 일컫는다. 동공은 눈으로 들어오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데, 서로 상반되는 작용을 하는 교감신경계와 부교감신경계가 역동적으로 조화를 이루면서 동공을 둘러싼 홍채근(iris muscle)의 긴장도를 조절하여 동공의 크기가 변화한다. 동공의 크기와 모양, 빛에 대한 반응 등을 잘 관찰하면 가쪽무릎체(lateral geniculate body) 이전까지의 시각 경로의 구조적, 기능적 통합성을 가늠하는 데 중요한 정보들을 얻을 수 있다.
동공의 운동과 빛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동공의 운동은 축소되거나 확대되는 두 가지로 요약된다. 빛이 들어오면 동공은 축소되며, 어두워지면 동공은 확대된다. 이러한 정상적인 동공 반응을 촉발하기 위해서는 빛 자극을 받아 들여 감지하는 구심경로(afferent pathway)와 동공조임근(pupillary sphincter) 또는 동공확대근(pupillary dilator)의 긴장도를 변화시키는 원심경로(efferent pathway)가 통합적으로 연결되어 작동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Wilhelm H, Wilhelm B. Diagnosis of pupillary disorders. In: Schiefer U, Wilhelm H, Hart WM, editors. Clinical neuroophthalmology: a practical guide. New York: Springer; 2007. p. 55-69. 

  2. Winn B, Whitaker D, Elliott DB, Phillips NJ. Factors affecting light-adapted pupil size in normal human subjects. Invest Ophthalmol Vis Sci 1994;35:1132-7. 

  3. Said FS, Sawires WS. Age dependence of changes in pupil diameter in the dark. Opt Acta 1972;19:359-61. 

  4. Kawasaki AK. Diagnostic approach to pupillary abnormalities. Continuum (Minneap Minn) 2014;20:1008-22. 

  5. Kawasaki A. Physiology, assessment, and disorders of the pupil. Curr Opin Ophthalmol 1999;10:394-400. 

  6. Lagreze WD, Kardon RH. Correlation of relative afferent pupillary defect and estimated retinal ganglion cell loss.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1998;236:401-4. 

  7. Cox TA, Thompson HS, Corbett JJ. Relative afferent pupillary defects in optic neuritis. Am J Ophthalmol 1981;92:685-90. 

  8. Bell RA, Thompson HS. Relative afferent pupillary defect in optic tract hemianopias. Am J Ophthalmol 1978;85:538-40. 

  9. Wakakura M, Yokoe J. Evidence for preserved direct pupillary light response in Leber's hereditary optic neuropathy. Br J Ophthalmol 1995;79:442-6. 

  10. La Morgia C, Ross-Cisneros FN, Sadun AA, Hannibal J, Munarini A, Mantovani V, et al. Melanopsin retinal ganglion cells are resistant to neurodegeneration in mitochondrial optic neuropathies. Brain 2010;133:2426-38. 

  11. Wakerley BR, Tan MH, Turner MR. Teaching video neuroimages: acute Adie syndrome. Neurology 2012;79:e97. 

  12. Thompson HS. Segmental palsy of the iris sphincter in Adie’s syndrome. Arch Ophthalmol 1978;96:1615-20. 

  13. Cohen DN, Zakov ZN. The diagnosis of Adie's pupil using 0.0625% pilocarpine solution. Am J Ophthalmol 1975;79:883-5. 

  14. Jacobson DM, Vierkant RA. Comparison of cholinergic supersensitivity in third nerve palsy and Adie’s syndrome. J Neuroophthalmol 1998;18:171-5. 

  15. Kimber J, Mitchell D, Mathias CJ. Chronic cough in the Holmes-Adie syndrome: association in five cases with autonomic dysfunction.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1998;65: 583-6. 

  16. Katz JS, Houroupian D, Ross MA. Multisystem neuronal involvement and sicca complex: broadening the spectrum of complications. Muscle Nerve 1999;22:404-7. 

  17. Bennett JL, Pelak VA, Mourelatos Z, Bird S, Galetta SL. Acute sensorimotor polyneuropathy with tonic pupils and an abduction deficit: an unusual presentation of polyarteritis nodosa. Surv Ophthalmol 1999;43:341-4. 

  18. Thompson HS. Adie’s syndrome: some new observations. Trans Am Ophthalmol Soc 1977;75:587-626. 

  19. Laties AM, Scheie HG. Adie’s syndrome: duration of methacholine sensitivity. Arch Ophthalmol 1965;74:458-9. 

  20. Fujiwara S, Fujii K, Nishio S, Matsushima T, Fukui M. Oculomotor nerve palsy in patients with cerebral aneurysms. Neurosurg Rev 1989;12:123-32. 

  21. Jacobson DM. Pupil involvement in patients with diabetesassociated oculomotor nerve palsy. Arch Ophthalmol 1998; 116:723-7. 

  22. Davagnanam I, Fraser CL, Miszkiel K, Daniel CS, Plant GT. Adult Horner’s syndrome: a combined clinical, pharmacological, and imaging algorithm. Eye (Lond) 2013;27:291-8. 

  23. Pilley SF, Thompson HS. Pupillary "dilatation lag" in Horner's syndrome. Br J Ophthalmol 1975;59:731-5. 

  24. Freedman KA, Brown SM. Topical apraclonidine in the diagnosis of suspected Horner syndrome. J Neuroophthalmol 2005; 25:83-5. 

  25. Glemarec J, Berthelot JM, Chevalet P, Guillot P, Maugars Y, Prost A. Brachial plexopathy and Horner’s syndrome as the first manifestations of internal jugular vein thrombosis inaugurating polycythemia vera. Rev Rhum Engl Ed 1998;65:358-9. 

  26. Leira EC, Bendixen BH, Kardon RH, Adams HP Jr. Brief, transient Horner’s syndrome can be the hallmark of a carotid artery dissection. Neurology 1998;50:289-90. 

  27. Myles WM, Maxner CE. Localizing value of concurrent sixth nerve paresis and postganglionic Horner’s syndrome. Can J Ophthalmol 1994;29:39-42. 

  28. Almog Y, Gepstein R, Kesler A. Diagnostic value of imaging in horner syndrome in adults. J Neuroophthalmol 2010;30:7-11. 

  29. The Korean Society of Neuro-ophthalmology. Neuro-ophthalmology. Seoul: Shinheung Medscience; 2013. p. 287-312. Korean.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