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무기 복합 열전소재 합성 및 특성 원문보기

세라미스트 = Ceramist, v.20 no.2, 2017년, pp.18 - 24  

김지원 (재료연구소) ,  임재홍 (재료연구소)

초록이 없습니다.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6,7) 또한 유-무기 복합 열전소재는 유연성이나 투명성 등 기능적인 면과 더불어, 소재원료의 가격으로 인한 저비용, 공정의 간소화 등 많은 장점이 있기 때문에 열전소재의 광범위한 응용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나노구조체를 가지는 유-무기 복합 열전소재 합성을 통한 열전특성 향상에 대한 결과를 중심으로 이와 관련된 최신 연구 및 기술 동향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유-무기 열전복합소재의 종류와 합성 방법 및 이를 통한 열전 특성 향상 방법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유-무기 복합체의 열전특성을 극대화 시키기 위해서는 나노엔지니어링을 통한 무기물질의 나노구조화와유기물질의 구조와 도핑 레벨을 조절하여 열전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열전소재의 성능은 어떻게 정의되는가? 열전소재의 성능은 열전성능지수(figure of merit) ZT= S2σT/κ 로 정의되는데 여기서 S, σ, T, κ는 각각 제벡계수, 전기전도도, 절대온도, 열전도도로써 열전도도가 낮을수록, 전기전도도와 제벡계수가 높을수록 그 성능이 높다. 이처럼 높은 열전 효율을 가지는 소재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소재의 전기전도도와 제백계수를 높이고 동시에 열전도도를 낮춰야 한다.
일반적인 무기열전소재의 제조 방법은? 유-무기 복합체의 열전특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유-무기 각각의 단일상이 가지는 열전특성의 최적화가 선행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무기열전소재는 화학적 방법(chemical synthesis), 용매열합성법(solvothermalmethod), 볼 밀링(ball milling), 멜트 스피닝 (spark erosion), 전기도금법(electrodeposition)등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무기 열전소재의 열전성능 향상은 나노구조화 (nanostructure)를 통해 접근되었다(Fig.
열전소재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 해결해야할 것은 무엇인가? 이처럼 높은 열전 효율을 가지는 소재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소재의 전기전도도와 제백계수를 높이고 동시에 열전도도를 낮춰야 한다. 하지만 이들 물성은 서로 교환상쇄(trade-off) 관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독립적으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의 제한요소를 해결할 수있어야 한다.1) 예를 들어, 제백계수는 전하밀도(carrier concentration)와 교환상쇄관계를 가지는 대표적인 물성으로 물질의 전하밀도가 증가할 수록 제백계수는 감소하는 경향을 따른다(Fig. 1). 반면 전기전도도는 전하밀도가 높을수록 향상되는데 즉 높은 열전효율을 가지는 물질은 전기전도도와 제백계수의 전하밀도와의 상충관계 안에서 가질 수 있는 최대치를 이끌어 낼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전기전도도의 감소 없이 효과적으로 열전도도만을 낮추기 위해서는 전자와 포논의 움직임을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격자열전도도만을 감소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는 최근 다양한 형태의 무기 나노구조체 도입을 통해 구현되고 있다.2-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Snyder, G.J. and E.S. Toberer, Complex thermoelectric materials. Nat Mater, 2008. 7(2): p. 105-114. 

  2. Xie, W., et al., Unique nanostructures and enhanced thermoelectric performance of melt-spun BiSbTe alloys. Applied Physics Letters, 2009. 94(10): p. 102111. 

  3. Sang Il, K., et al., Enhancement of Seebeck Coefficient in Bi 0.5 Sb 1.5 Te 3 with High-Density Tellurium Nanoinclusions. Applied Physics Express, 2011. 4(9): p. 091801. 

  4. Heremans, J.P., et al., Enhancement of Thermoelectric Efficiency in PbTe by Distortion of the Electronic Density of States. Science, 2008. 321(5888): p. 554. 

  5. Hong, M., et al., n-Type Bi2Te3-xSex Nanoplates with Enhanced Thermoelectric Efficiency Driven by Wide-Frequency Phonon Scatterings and Synergistic Carrier Scatterings. ACS Nano, 2016. 10(4): p. 4719-4727. 

  6. Carrete, J., et al., Thermoelectric Properties of Hybrid Organic-Inorganic Superlattices. The Journal of Physical Chemistry C, 2012. 116(20): p. 10881-10886. 

  7. Kim, Y.H., et al., Highly Conductive PEDOT:PSS Electrode with Optimized Solvent and Thermal Post-Treatment for ITO-Free Organic Solar Cells.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2011. 21(6): p. 1076-1081. 

  8. Martin-Gonzalez, M., O. Caballero-Calero, and P. Diaz-Chao, Nanoengineering thermoelectrics for 21st century: Energy harvesting and other trends in the field.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2013. 24: p. 288-305. 

  9. Dresselhaus, M.S., et al., New Directions for Low-Dimensional Thermoelectric Materials. Advanced Materials, 2007. 19(8): p. 1043-1053. 

  10. Sales, B.C., Electron Crystals and Phonon Glasses: A New Path to Improved Thermoelectric Materials. MRS Bulletin, 2013. 23(1): p. 15-21. 

  11. Ko, D.-K., Y. Kang, and C.B. Murray, Enhanced Thermopower via Carrier Energy Filtering in Solution-Processable Pt-Sb2Te3 Nanocomposites. Nano Letters, 2011. 11(7): p. 2841-2844. 

  12. Medlin, D.L. and G.J. Snyder, Interfaces in bulk thermoelectric materials: A review for Current Opinion in Colloid and Interface Science. Current Opinion in Colloid & Interface Science, 2009. 14(4): p. 226-235. 

  13. Kumar, S.R.S., N. Kurra, and H.N. Alshareef, Enhanced high temperature thermoelectric response of sulphuric acid treated conducting polymer thin films. Journal of Materials Chemistry C, 2016. 4(1): p. 215-221. 

  14. Zhang, Q., et al., Organic Thermoelectric Materials: Emerging Green Energy Materials Converting Heat to Electricity Directly and Efficiently. Advanced Materials, 2014. 26(40): p. 6829-6851. 

  15. Sun, Y., et al., Flexible n-Type High- Performance Thermoelectric Thin Films of Poly(nickel-ethylenetetrathiolate) Prepared by an Electrochemical Method. Advanced Materials, 2016. 28(17): p. 3351-3358. 

  16. Du, Y., et al., Research progress on polymer-inorganic thermoelectric nanocomposite materials. Progress in Polymer Science, 2012. 37(6): p. 820-841. 

  17. Gayner, C. and K.K. Kar, Recent advances in thermoelectric materials. Progress in Materials Science, 2016. 83: p. 330-382. 

  18. Bubnova, O., et al., Optimization of the thermoelectric figure of merit in the conducting polymer poly(3,4-ethylenedioxythiophene). Nat Mater, 2011. 10(6): p. 429-433. 

  19. Kim, G.H., et al., Engineered doping of organic semiconductors for enhanced thermoelectric efficiency. Nat Mater, 2013. 12(8): p. 719-723. 

  20. Wang, Q., et al., Enhanced thermoelectric properties of CNT/PANI composite nanofibers by highly orienting the arrangement of polymer chains. Journal of Materials Chemistry, 2012. 22(34): p. 17612-17618. 

  21. Cho, B., et al., Single-Crystal Poly(3,4- ethylenedioxythiophene) Nanowires with Ultrahigh Conductivity. Nano Letters, 2014. 14(6): p. 3321-3327. 

  22. Lu, G., et al., Preparation of Highly Conductive Gold-Poly(3,4-ethylenedioxythiophene) Nanocables and Their Conversion to Poly(3,4- ethylenedioxythiophene) Nanotubes. The Journal of Physical Chemistry C, 2007. 111(16): p. 5926-5931. 

  23. Wang, Y., K. Cai, and X. Yao, Facile Fabrication and Thermoelectric Properties of PbTe-Modified Poly(3,4-ethylenedioxythiophene) Nanotubes. ACS Applied Materials & Interfaces, 2011. 3(4): p. 1163-1166. 

  24. See, K.C., et al., Water-Processable Polymer-Nanocrystal Hybrids for Thermoelectrics. Nano Letters, 2010. 10(11): p. 4664-4667. 

  25. Yee, S.K., et al., Thermoelectric power factor optimization in PEDOT:PSS tellurium nanowire hybrid composites. Physical Chemistry Chemical Physics, 2013. 15(11): p. 4024-4032. 

  26. Du, Y., et al., Facile Preparation and Thermoelectric Properties of Bi2Te3 Based Alloy Nanosheet/PEDOT:PSS Composite Films. ACS Applied Materials & Interfaces, 2014. 6(8): p. 5735-5743. 

  27. Ju, H. and J. Kim, Fabrication of conductive polymer/inorganic nanoparticles composite films: PEDOT:PSS with exfoliated tin selenide nanosheets for polymerbased thermoelectric devices.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2016. 297: p. 66-73. 

  28. Choi, J., et al., High-Performance Thermoelectric Paper Based on Double Carrier-Filtering Processes at Nanowire Heterojunctions. Advanced Energy Materials, 2016. 6(9): p. 1502181.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