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그래핀 기반 기체 분리막의 연구동향 및 전망
Current Status and Perspectives of Graphene-based Membranes for Gas Separation 원문보기

멤브레인 = Membrane Journal, v.27 no.3, 2017년, pp.216 - 225  

유병민 (한양대학교 에너지공학과) ,  박호범 (한양대학교 에너지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원자 수준의 두께를 가지는 그래핀 단일층이 흑연으로부터 박리되어 구현된 이래로, 그래핀은 2차원 소재의 활용 가능성을 연 물질로서 각광받고 있으며, 그래핀 고유의 뛰어난 물리적 특성으로 인하여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특히 분리막 분야는 그래핀과 산화 그래핀이 활용 가능한 가장 중요한 분야 중의 하나로서, 최근의 다양한 시뮬레이션 연구를 통하여 그 가능성이 입증되고 있다. 그래핀과 산화 그래핀은 원자 수준의 얇은 두께, 뛰어난 기계적 강도, 높은 수준의 내화학성, 기공생성이 가능한 2차원 구조 또는 기체 확산 유로 생성이 가능한 적층 구조 등 분리막 소재로서 매우 유리한 특성들을 보유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본 총설에서는 그래핀과 산화 그래핀의 고유 특성을 기반으로 기체 분리막 분야로의 응용 가능성과 현재까지의 개발 현황 및 향후 전망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ce the experimental proof of one-atom-thick graphene single layer from graphite in 2004, graphene, as a leading material opening two-dimensional world, has been tremendously investigated owing to its intrinsic extraordinary physical properties. Among many promising graphene applications, it is b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분리막 소재로서 주목받는 그래핀과 산화 그래핀의 특성에 대하여 기술한 후 이를 기반으로한 기체 분리막의 개발 동향에 대하여 다루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그래핀 및 산화 그래핀 분리막의 한계를 돌파할 수 있는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서도 논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분리막 소재로서 주목받는 그래핀과 산화 그래핀의 특성에 대하여 기술한 후 이를 기반으로한 기체 분리막의 개발 동향에 대하여 다루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그래핀 및 산화 그래핀 분리막의 한계를 돌파할 수 있는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서도 논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화 그래핀의 특징은? 산화 그래핀은 화학적으로 박리되고 산화된 흑연의 단일층으로서 초기에는 그래핀을 대량 생산하기 위한 전구체로서 간주되어 왔으나, 원자 수준의 얇은 두께 극성 용매에 대한 우수한 분산성, 대량 생산성, 높은 가공성으로 인하여 그래핀과 함께 우수한 분리막 소재로서 주목받고 있다. 따라서 그래핀과 산화 그래핀을 분리막 분야에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오고 있다.
그래핀 및 산화 그래핀이 분리막 소재로 활용되기 위한 방안은? 향후 그래핀 및 산화 그래핀이 분리막 소재로 적극 활용되기 위한 몇 가지 방안이 제시되었다. 그래핀의 기체 차단성을 극복하기 위하여 그래핀 표면 위에 더 작은 크기의 기공을 균일하게, 또한 높은 밀집도로 생성하고, 이를 대면적화할 수 있어야 한다. 산화 그래핀의 경우 다공성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나노 기공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수반되는 환원 반응을 최소화하여야 하며, 고분자 매트릭스 내에 분산될 경우 고분자 매트릭스와의 혼화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개질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그래핀 기반 소재의 특징은? 그래핀 소재가 실험적으로 처음 구현된 후, 많은 과학자들은 그래핀 소재 고유의 뛰어난 물성에 기인하여 다양한 분야에 그래핀 소재를 적용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해오고 있다. 특히, 그래핀 기반 소재는 원자 수준의 얇은 두께와 물리적 및 화학적으로 개질 가능한 구조적 특성으로 인하여 분리막 소재로서 높은 각광을 받고 있다. 그래핀 시트 사이의 층간 거리(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K. S. Novoselov, A. K. Geim, S. V. Morozov, D. Jiang, Y. Zhang, S. V. Dubonos, I. V. Grigorieva, and A. A. Firsov, "Electric field effect in atomically thin carbon films", Science, 306, 666 (2004). 

  2. C. Lee, X. D. Wei, J. W. Kysar, and J. Hone, "Measurement of the elastic properties and intrinsic strength of monolayer graphene", Science, 321, 385 (2008). 

  3. E. V. Kharanzhevskiy and T. A. Pisareva, "Dispersity of materials obtained by mechanical activation and laser sintering of Al-C systems and used for production of electrochemical capacitors", Colloid J., 74, 373 (2012). 

  4. E. G. Steward, B. P. Cook, and E. A. Kellett, "Dependence on temperature of the interlayer spacing in carbons of different graphitic perfection", Nature, 187, 1015 (1960). 

  5. D. Yoon, Y. W. Son, and H. Cheong, "Negativ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of graphene measured by raman spectroscopy", Nano Lett., 11, 3227 (2011). 

  6. A. A. Balandin, "Thermal properties of graphene and nanostructured carbon materials", Nat. Mater., 10, 569 (2011). 

  7. S. Ghosh, D. L. Nika, E. P. Pokatilov, and A. A. Balandin, "Heat conduction in graphene: experimental study and theoretical interpretation", New J. Phys., 11, 1 (2009). 

  8. F. Banhart, J. Kotakoski, and A. V. Krasheninnikov, "Structural Defects in Graphene", ACS Nano, 5, 26 (2011). 

  9. M. D. Fischbein and M. Drndic, "Electron beam nanosculpting of suspended graphene sheets", Appl. Phys. Lett., 93, 113107-1 (2008). 

  10. K. Celebi, J. Buchheim, R. M. Wyss, A. Droudian, P. Gasser, I. Shorubalko, J. I. Kye, C. Lee, and H. G. Park, "Ultimate permeation across atomically thin porous graphene", Science, 344, 289 (2014). 

  11. S. P. Koenig, L. D. Wang, J. Pellegrino, and J. S. Bunch, "Selective molecular sieving through porous graphene", Nat. Nanotechnol., 7, 728 (2012). 

  12. S. C. O'Hern, M. S. H. Boutilier, J. C. Idrobo, Y. Song, J. Kong, T. Laoui, M. Atieh, and R. Karnik, "Selective ionic transport through tunable subnanometer pores in single-layer graphene membranes", Nano Lett., 14, 1234 (2014). 

  13. J. W. Bai, X. Zhong, S. Jiang, Y. Huang, and X. F. Duan, "Graphene nanomesh", Nat. Nanotechnol., 5, 190 (2010). 

  14. M. Bieri, M. Treier, J. M. Cai, K. Ait-Mansour, P. Ruffieux, O. Groning, P. Groning, M. Kastler, R. Rieger, X. L. Feng, K. Mullen, and R. Fasel, "Porous graphenes: two-dimensional polymer synthesis with atomic precision", Chem. Commun., 45, 6919 (2009). 

  15. M. Segal, "Selling graphene by the ton", Nat. Nanotechnol., 4, 611 (2009). 

  16. S. Park and R. S. Ruoff, "Chemical methods for the production of graphenes", Nat. Nanotechnol., 4, 217 (2009). 

  17. H. Bai, C. Li, X. L. Wang, and G. Q. Shi, "On the Gelation of Graphene Oxide", J. Phys. Chem. C, 115, 5545 (2011). 

  18. L. Huang, C. Li, W. J. Yuan, and G. Q. Shi, "Strong composite films with layered structures prepared by casting silk fibroin-graphene oxide hydrogels", Nanoscale, 5, 3780 (2013). 

  19. S. F. Pei and H. M. Cheng, "The reduction of graphene oxide", Carbon, 50, 3210 (2012). 

  20. X. F. Ma, M. R. Zachariah, and C. D. Zangmeister, "Crumpled Nanopaper from Graphene Oxide", Nano Lett., 12, 486 (2012). 

  21. C. H. Tsou, Q. F. An, S. C. Lo, M. De Guzman, W. S. Hung, C. C. Hu, K. R. Lee, and J. Y. Lai, "Effect of microstructure of graphene oxide fabricated through different self-assembly techniques on 1-butanol dehydration", J. Membr. Sci, 477, 93 (2015). 

  22. C. N. Yeh, K. Raidongia, J. J. Shao, Q. H. Yang, and J. X. Huang, "On the origin of the stability of graphene oxide membranes in water", Nat. Chem., 7, 166 (2015). 

  23. H. W. Kim, H. W. Yoon, S. M. Yoon, B. M. Yoo, B. K. Ahn, Y. H. Cho, H. J. Shin, H. Yang, U. Paik, S. Kwon, J. Y. Choi, and H. B. Park, "Selective gas transport through few-layered graphene and graphene oxide membranes", Science, 342, 91 (2013). 

  24. A. Akbari, P. Sheath, S. T. Martin, D. B. Shinde, M. Shaibani, P. C. Banerjee, R. Tkacz, D. Bhattacharyya, and M. Majumder, "Large-area graphene- based nanofiltration membranes by shear alignment of discotic nematic liquid crystals of graphene oxide", Nat. Commun., 7, 1 (2016). 

  25. R. R. Nair, H. A. Wu, P. N. Jayaram, I. V. Grigorieva, and A. K. Geim, "Unimpeded permeation of water through helium-leak-tight graphene-based membranes", Science, 335, 442 (2012). 

  26. H. Li, Z. N. Song, X. J. Zhang, Y. Huang, S. G. Li, Y. T. Mao, H. J. Ploehn, Y. Bao, and M. Yu, "Ultrathin, molecular-sieving graphene oxide membranes for selective hydrogen separation", Science, 342, 95 (2013). 

  27. T. C. Merkel, H. Q. Lin, X. T. Wei, and R. Baker, "Power plant post-combustion carbon dioxide capture: An opportunity for membranes", J. Membr. Sci., 359, 126 (2010). 

  28. Z. J. Fan, Q. K. Zhao, T. Y. Li, J. Yan, Y. M. Ren, J. Feng, and T. Wei, "Easy synthesis of porous graphene nanosheets and their use in supercapacitors", Carbon, 50, 1699 (2012). 

  29. M. Koinuma, C. Ogata, Y. Kamei, K. Hatakeyama, H. Tateishi, Y. Watanabe, T. Taniguchi, K. Gezuhara, S. Hayami, A. Funatsu, M. Sakata, Y. Kuwahara, S. Kurihara, and Y. Matsumoto, "Photochemical engineering of graphene oxide nanosheets", J. Phys. Chem. C, 116, 19822 (2012). 

  30. B. D. Freeman, "Basis of permeability/selectivity tradeoff relations in polymeric gas separation membranes", Macromolecules, 32, 375 (1999). 

  31. L. M. Robeson, "The upper bound revisited", J. Membr. Sci., 320, 390 (2008). 

  32. K. M. Kyung and J. Y. Park, "Effect of GAC packing mass in hybrid water treatment process of PVdF nanofibers spiral wound microfiltration and granular activated carbon", Membr. J., 27, 68 (2017). 

  33. S. J. Kim, J. P. Jung, D. J. Kim, and J. H. Kim, "Effect of mesoporous $TiO_2$ in facilitated olefin transport membranes contaning Ag nanoparticles", Membr. J., 25, 398 (2015). 

  34. J. H. Lee and J. Kim, "Research trends of metalorganic framework membranes: Fabrication methods ans gas separation applications", Membr. J. 25, 465 (2015). 

  35. M. Karunakaran, R. Shevate, M. Kumar, and K. V. Peinemann, " $CO_2$ -selective PEO-PBT ( $PolyActive^{TM}$ )/ graphene oxide composite membranes", Chem. Commun., 51, 14187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