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Graphene Oxide를 활용한 PAN 나노섬유 제조 및 물리적 특성 향상
Integration of Graphene Oxide Into PAN Nanofibers with Improved Physical Property 원문보기

멤브레인 = Membrane Journal, v.27 no.3, 2017년, pp.255 - 262  

이정훈 (계명대학교 화학공학과) ,  윤재한 (계명대학교 화학공학과) ,  변홍식 (계명대학교 화학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graphene oxide (GO)를 polyacrylonitrile (PAN)에 첨가하여 전기방사법을 이용해 나노섬유 복합막을 제조한 뒤 물리적 특성을 관찰하였다. GO의 제조는 개선된 Hummer's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표면처리가 되지 않은 GO의 경우 0.5 wt% 이상에서 전기방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GO의 안정성 및 분산도 증가를 개선하기 위해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GO의 표면처리를 하였다. 표면처리가 된 GO를 사용하여 나노섬유 복합막의 GO의 함량을 0.5 wt% 이상 첨가할 수 있었다. 특히, 표면처리가 된 GO가 첨가된 나노섬유 복합막은 향상된 물리적 특성을 가지며, 이는 나노섬유 분리막 내의 GO의 분산도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systematic integration of graphene oxide (GO) into polyacrylonitrile (PAN) nanofibers was accomplished by electrospinning to examine their mechanical properties. Exfoliated GO was initially prepared by the modified Hummer's method, and the surface of the GO was modified with an organ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Fig. 3과 같이 초음파 분쇄를 1시간 실시한 바이알을 뒤집은 직후 하단부의 침전된 정도와 초음파 분쇄를 실시한 뒤 1시간이 경과된 후 바이알을 뒤집어 하단부의 침전된 정도를 비교하였다.
  • Fig. 5와 같이 mGOPAN도 GOPAN과 동일한 배율로 SEM분석을 실시하였다.
  • GO 0.05 g과 DI water 99.95 g을 삼각플라스크에 담은 후 초음파 분쇄기를 이용하여 1시간 동안 초음파 분쇄한 뒤 cetrlyrimethylammonium chloride (CTAC)을첨가하였다[16,17]. 첨가 후 24시간 동안 교반한 뒤 필터하여 mGO 필름을 제조하였다.
  • PAN 및 GOPAN, mGOPAN 나노섬유를 8 Layer로 제조한 뒤,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광학적 분석, SEM 분석, 접촉각 측정, 섬유의 기공크기 측정, 인장강도 실험을 진행하였다.
  • 광학적 분석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진행하였으며,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JSM5410, JEOL사)를 이용하여 30 kV조건에서 5,000배의 배율로 나노섬유를 확인하였다. SEM 이미지에 존재하는 나노섬유 30가닥의 직경을 측정하여 평균 섬유 직경 및 오차를 구하였다. 접촉각 측정은 접촉각 측정 장비 (PHONIX150)를 이용하여 제조한 섬유를 가로 2 cm, 세로 1 cm로 자른 뒤 DI water를 이용하여 접촉각 측정을 실시하였다.
  • 광학적 분석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진행하였으며,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JSM5410, JEOL사)를 이용하여 30 kV조건에서 5,000배의 배율로 나노섬유를 확인하였다. SEM 이미지에 존재하는 나노섬유 30가닥의 직경을 측정하여 평균 섬유 직경 및 오차를 구하였다.
  • 교반 후 KMnO4 9 g을 소분하여 첨가한 뒤 60°C 40분 반응을 실시하였다[2,4].
  • 또한 인장강도 실험을 위하여 나노섬유를 100 mm × 30 mm의 크기로 자른 뒤, 500 mm/min의 속도로 만능인장강도시험기(TENSOMETER 2020, MYUNGJI TECH)를 이용하여 인장강도 실험을 진행하였다.
  • 섬유를 제조할 때와 동일한 양의 GO, mGO, DMF를 이용하여 분산도를 비교하였다.
  • , Ltd)를 이용하여 4000 rpm, 30분 동안 원심분리 과정을 진행하였다. 에탄올과 DI water를 이용하여 원심분리로 세척 후 진공오븐을 이용하여 상온에서 24시간 진공건조를 하였다. 건조한 GO 50 mg과 DI water 100 mL를 삼각플라스크에 넣은 후 초음파 분쇄기를 이용하여 1시간 동안 초음파 분쇄한 뒤 원심분리 30분을 실시하였다.
  • 5 wt% 이상일 경우 주사기의 팁이 막히는 현상이 나타나 전기방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방사용액에 CTAC을 첨가하여 mGO를 제조한 후 나노섬유로 방사하였다. 분산도 측정을 통해 GO 보다 mGO가 고르게 분산되어 초음파 분쇄 후 1시간이 경과하여도 침전물이 형성되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 mGO를 이용하여 나노섬유에 존재하는 GO의 함량을 1 wt%까지 증가시킬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나노섬유 제조 방법으로 전기방사법을 이용하였으며, 고분자 소재로 PAN을 사용하고, 나노필러 소재로 GO를 이용하였다. 이러한 소재 및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GO가 함유된 나노섬유를 제조하고, 나노섬유에 존재하는 GO의 함량을 1 wt% 증가시키며 함량에 따른 물리적 특성 변화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 GO05PAN의 경우 초음파 분쇄기를 이용하여 1시간 동안 초음파 분쇄를 실시한 후 방사용액을 제조하였으나, 나노섬유 제조에 사용하는 22 gauge 팁(tip)이 막혀 방사가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았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mGOPAN 나노섬유를 제조하였으며, Fig. 2와 같이 GOPAN과 동일하게 광학이미지를 이용하여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나타나는 현상을 관찰하였다.
  • 2, 5 µm 110 mm, Advantec)를 이용하여 여과과정을 진행하였다. 잔류하고 있는 미반응 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여과된 혼합물에 DI water 180 mL, H2O2 6 mL, H2SO4 1 mL 각각 첨가하고, 원심분리기(FELTA 5, Hanil Science Industrial Co., Ltd)를 이용하여 4000 rpm, 30분 동안 원심분리 과정을 진행하였다. 에탄올과 DI water를 이용하여 원심분리로 세척 후 진공오븐을 이용하여 상온에서 24시간 진공건조를 하였다.
  • 준비된 용액을 5 mL 주사기에 담은 뒤, 10분간 수직으로 두어 주사기 내에 존재하는 기포를 제거한 뒤, 22 gauge 팁을 사용하여 전기방사를 실시하였다. 전기방사는 전기방사기(Model CPS-60K02WIT, CHUNGPA) 실린지 펌프(KDS100, KD Scientific Inc.)를 이용하여 실시하였으며, Voltage 15 kV, Flow rate 0.8 mL/h, TCD (Tipto Collector distance) 15 cm의 조건으로 6시간 동안 방사하였다[4-6].
  • 전기방사법으로 제조된 나노섬유를 광학이미지를 이용하여 GO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나타나는 현상을 관찰하였다. Fig.
  • SEM 이미지에 존재하는 나노섬유 30가닥의 직경을 측정하여 평균 섬유 직경 및 오차를 구하였다. 접촉각 측정은 접촉각 측정 장비 (PHONIX150)를 이용하여 제조한 섬유를 가로 2 cm, 세로 1 cm로 자른 뒤 DI water를 이용하여 접촉각 측정을 실시하였다. 섬유의 기공 크기 측정 방법으로는 poreporosity (Porolux 1000, IB-FT Inc.
  • 제조된 PAN, GOPAN, mGOPAN을 이용하여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Fig.
  • 제조된 나노섬유를 SEM을 이용하여 5,000배로 촬영하여 GO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나타나는 현상을 관찰하였다(Fig. 4).
  • 초음파 분쇄기(Ultrasonic cleaner, JAC-5020, KODO Technical Reserch CO. Ltd.)를 이용하여 3시간 동안 반응 시킨 후 필터페이퍼(No. 2, 5 µm 110 mm, Advantec)를 이용하여 여과과정을 진행하였다.

대상 데이터

  • GO를 합성하기 위하여, graphite (BAY CARBON. Inc)와 NaNO3 (99%, SIGMA-ALDRICH), KMnO₄ (99%, SIGMA-ALDRICH), H2SO4 (99%, DUKSAN), H2O2 (35%, JUNSEI)를 구매하여 이용하였다. 제조한 GO를 이용하여 나노섬유를 제조하기 위해 고분자는 polyacrylonitrile (PAN, Mw 150,000, SIGMA-ALDRICH)과, N,N-dimethyl formamide (DMF, 99.
  • PAN, GOPAN, mGOPAN 나노섬유 용액은 Table 1 및 Table 2와 같은 비율로 총 10 g이 되도록 제조하였다.
  • Inc)와 NaNO3 (99%, SIGMA-ALDRICH), KMnO₄ (99%, SIGMA-ALDRICH), H2SO4 (99%, DUKSAN), H2O2 (35%, JUNSEI)를 구매하여 이용하였다. 제조한 GO를 이용하여 나노섬유를 제조하기 위해 고분자는 polyacrylonitrile (PAN, Mw 150,000, SIGMA-ALDRICH)과, N,N-dimethyl formamide (DMF, 99.5%, DUKSAN), cetrlyrimethylammonium chloride (CTAC)을 구매하여 이용하였다.
  • 제조한 섬유 중 PAN, GO02PAN, mGO02PAN, mGO10PAN의 기공 크기를 측정하였다. Table 5와 같이 측정한 결과, PAN은 기공 크기가 평균 208.

이론/모형

  • 본 연구에서는 나노섬유 제조 방법으로 전기방사법을 이용하였으며, 고분자 소재로 PAN을 사용하고, 나노필러 소재로 GO를 이용하였다. 이러한 소재 및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GO가 함유된 나노섬유를 제조하고, 나노섬유에 존재하는 GO의 함량을 1 wt% 증가시키며 함량에 따른 물리적 특성 변화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 접촉각 측정은 접촉각 측정 장비 (PHONIX150)를 이용하여 제조한 섬유를 가로 2 cm, 세로 1 cm로 자른 뒤 DI water를 이용하여 접촉각 측정을 실시하였다. 섬유의 기공 크기 측정 방법으로는 poreporosity (Porolux 1000, IB-FT Inc.)장비를 이용하였다. 또한 인장강도 실험을 위하여 나노섬유를 100 mm × 30 mm의 크기로 자른 뒤, 500 mm/min의 속도로 만능인장강도시험기(TENSOMETER 2020, MYUNGJI TECH)를 이용하여 인장강도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나노섬유란? 나노섬유는 섬유직경이 1 µm 미만인 섬유로, 일반적인 마이크로 섬유보다 10-100배 가는 직경을 가진 초극세 섬유이다[1]. 이러한 나노크기의 직경을 가진 나노섬유는 플래시방사, 전기방사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되며, 의류용 소재, 필터용 소재, 에너지 소재, 의학 소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본 연구에서 전기방사법을 이용해 GO가 함유된 나노섬유로 제조할 때, GO의 함량이 0.5 wt% 이상일 경우 주사기의 팁이 막히는 현상이 나타나 전기방사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사용한 방법은? 5 wt% 이상일 경우 주사기의 팁이 막히는 현상이 나타나 전기방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방사용액에 CTAC을 첨가하여 mGO를 제조한 후 나노섬유로 방사하였다. 분산도 측정을 통해 GO 보다 mGO가 고르게 분산되어 초음파 분쇄 후 1시간이 경과하여도 침전물이 형성되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 mGO를 이용하여 나노섬유에 존재하는 GO의 함량을 1 wt%까지 증가시킬 수 있었다.
나노섬유 제조 방법인 플래시방사란? 나노섬유 제조 방법인 플래시방사는 고분자를 녹여 압출한 뒤 구금 직후 증발시켜 미세한 크기의 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이다. 전기방사법은 전하차이를 이용하여 방사를 하는 방법으로, 용매를 이용하여 고분자를 용액 상태로 제조한 뒤 제조한 고분자 용액을 모세관 끝에 반구형 모양을 형성하도록 위치시킨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 N. Kim, S. W. Lee, Y. G. Ko, K. H. Jung, and O. H. Kwon, "Fabrication of nanofibrous polyimide non-wovens by isothermal heat treatment from electrospun poly(amic acid) nanofiber mats", Polym. Korea, 41, 75 (2017). 

  2. W. G. Jang, J. H. Yun, K. S. Jeon, and H. S. Byun, "PVdF/grapheme oxide hybrid membranes via electrospinning for water treatment applications", RSC Adv., 5, 46711 (2015). 

  3. H. D. Lee, Y. H. Cho, and H. B. Park, "Current research trends in water treatment membranes based on nano materials and nano technologies" Membr. J., 23, 101 (2013). 

  4. W. G. Jang, J. H. Yun, and H. S. Byun, "Preparation of PAN nanofiber composite membrane with Fe3O4 functionalized graphene oxide and its application as a water treatment membrane", Membr. J., 24, 151 (2014). 

  5. S. J. Park, S. H. In, J. M. Rhee, S. Y. Park, and H. J. Kim, "Prepartion of polyacrylonitrile-based carbon nanofibers by electrospinning and their capacitance characteristics", J. Korean Ind. Eng. Chem., 18, 205 (2007). 

  6. Y. J. Cho, D. R. Chang, G. S. Heo, and C. N. Choi, "The characterizations of nanofibers from electrospinning of PAN/DMF at various kinds and contents of additives", Applied Chemistry, 9, 5 (2005). 

  7. F. M. Fernandes, R. Arauho, M. F. Proenca, C. J. R. Silva, and M. C. Paiva, "Functionalization of carbon nanofibers by a diels-alder addition reaction", J. Nanosci. Nanotechnol., 7, 3514 (2007). 

  8. K. M. Park, Y. S. An, Y. B. Kwon, W. B. Shim, and W. R. Yu, "Fabrication of reduced graphene oxide-incorporated carbon nanofibers with improved electrical conductivities by electrospinning", Text. Sci. Eng., 52, 379 (2015). 

  9. S. B. Yang, W. S. Choi, J. M. Hyun, J. C. Shin, J. H. Choi, and J. H. Yeum, "Electrospinning fabrication of poly(vinyl alcohol)/Pullulan/ $TiO_2$ nanofibers", J. Korean Soc. Dye. And Finish., 26, 195 (2014). 

  10. J. Buchheim, R. M. Wyss, C. M. Kim, M. M. Deng, and H. G. Park, "Architecture and transport properties of membranes out of graphene", Membr. J., 26, 239 (2016). 

  11. J. H. Song, J. Y. Choi, and Y. J. Kim, "Mechanical properties of carbon fiber nano composites for nano-fiber additives and fabric orientation", Korean J. Met. Mater., 50, 93 (2012). 

  12. S. J. Eduardo, P. Maxime, P. Robert, M. Tonya, and C. Mark, "Activated carbon, carbon nanofiber and carbon nanotube supported molybdenum carbide catalysts for the hydrodeoxygenation of guaiacol", Catalysts, 5, 424 (2015). 

  13. Y. H. Park and S. Y. Nam, "Characterization of water treatment membrane using various hydrophilic coating materials" Membr. J., 27, 60 (2017). 

  14. D. C. Marcano, D. V. Kosynkin, J. M. Berlin, A. Sinitskii, Z. Sun, A. Slearev, L. B. Alemany, W. Lu, and J. M. Tour, "Improved synthesis of grapheme oxide", ACS NANO, 4, 4806 (2010). 

  15. J. Chen, B. Yao, C. Li, and G. Q. Shi, "An improved hummers method for eco-fiendly synrhesis of grapheme oxide", Carbon, 64, 225 (2013). 

  16. C. L. Tan, X. Huang, and H. Zhang, "Synthesis and applications of graphene-based noble metal nanostructures", Materials Today, 16, 29 (2013). 

  17. Z. M. Wang, W. D. Wang, N. Coombs, N. Sohelinia, and G. A. Ozin, "Graphene oxide-periodic mesoporous silica sandwich nanocomposites with vertically oriented channels", ACS NANO, 4, 7437 (2010). 

  18. L. L. Zhang, S. Y. Zhao. X. N. Tian, and X. S. Zhao, "Layered graphene oxide nanostructures with sandwihched conducting polymers as supercapacitor electrodes", Langmuir, 26, 17624 (2010). 

  19. D. L. Han, L. F. Yan, W. F. Chen, and W. Li, "Preparation of chitosan/graphene oxide composite film with enhanced mechanical strength in the wet state", Carbohydrate Polymers, 83, 653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