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기 모니터링을 통한 고랭지 밭 지역의 비점오염물질 유출특성
Characteristics of Non-Point Pollutant Runoff in Highland Field Fields through Long-term Monitoring 원문보기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59 no.4, 2017년, pp.85 - 96  

이수인 (Department of Regional Infrastructures Engineeri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신재영 (Korea Water Environment Research Institute) ,  신민환 (Korea Water Environment Research Institute) ,  주소희 (Department of Regional Infrastructures Engineeri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서지연 (Watershed and Tatal Load Management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ed of Enviromnetal Research) ,  박운지 (Department of Regional Infrastructures Engineeri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이재영 (Research Institute for Gangwon) ,  최중대 (Department of Regional Infrastructures Engineeri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research, I performed rainfall monitoring by selecting the spot which can represent high altitude cool farm region in recent 3 years, and tri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 of outflow of non-point pollutants coming from high altitude cool farm region. As a result, it was shown that redu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지금까지 고랭지 밭에서 진행된 연구는 토양유실 방지를 위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실제로 발생하는 비점오염물질의 유출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장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결과 분석과 해석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랭지 밭을 대상으로 장기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고랭지 밭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물질의 유출특성에 대해 파악하고 통계분석을 통해 비점오염물질간의 상관성을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분석의 결과는 향후 고랭지 밭 지역의 비점오염원을 저감시키기 위한 최적관리기법의 선정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 본 연구는 3년간 고랭지 밭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지점을 선정하여 강우모니터링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고랭지 밭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물질의 유출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점오염원은 어떤 인자에 의해 유출특성이 달라지는가? 9 %까지 차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MOE, 2012). 이러한 비점오염원은 강우 조건 (강우량, 강우강도, 강우지속시간 등)과 토지이용 형태,토성 등 다양한 영향인자에 의해 유출 특성이 달라지고 일・계절간 배출량의 변화가 크기 때문에 정확한 예측과 정량화가 매우 어렵다 (Chung Jong Bae, 1999). 특히 농경지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물질은 별도의 처리시설 없이 하천으로 직접 유입되기 때문에 하천의 수질 및 수생태계에 미치는 악영향이 매우 크다 (Choi Joong Dae, 1999).
농경지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물질은 하천의 수질 및 수생태계에 미치는 악영향이 매우 큰 이유는 무엇인가? 이러한 비점오염원은 강우 조건 (강우량, 강우강도, 강우지속시간 등)과 토지이용 형태,토성 등 다양한 영향인자에 의해 유출 특성이 달라지고 일・계절간 배출량의 변화가 크기 때문에 정확한 예측과 정량화가 매우 어렵다 (Chung Jong Bae, 1999). 특히 농경지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물질은 별도의 처리시설 없이 하천으로 직접 유입되기 때문에 하천의 수질 및 수생태계에 미치는 악영향이 매우 크다 (Choi Joong Dae, 1999). 이에 따라 환경부는 공공수역의 수질관리를 위해 유역 내 비점오염 발생량에 대한 조사와 토지이용 및 지역특성을 고려한 비점오염저감기법을 선정하여 관리해야 한다고 제시하고 있다.
SS의 경우 유출량과 비슷한 경향을 보이는 이유는 무엇인가? 유출량과 수질항목간의 경향을 살펴본 결과 뚜렷한 경향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SS의 경우 유출량과 비슷한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강우로 인해 발생되는 유출량은 SS를 유발하는 물질이 함께 배출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hn, T. W., T. H. Kim, and J. M. Oh, 2012. Analysis of First Flushing Effects and EMCs of Non-point Pollutants from Impervious Area during Rainfall.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45(4): 459-473 (in Korea). 

  2. Choi, J. D., 1999. The Effect of Management of Rural Watershed on the Inflow of Nonpoint Source Pollutants, Rural Development 1 : 91-107 (in Korean). 

  3. Choi, J. D., C. M. Lee, and Y. H. Choi, 1999. Effect of Land Use on the Water Quality of Small Agricultural Watersheds in Kangwon-do.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2(4): 501-510 (in Korea). 

  4. Choi, Y. B., B. S. Choi, S. W. Kim, S. S. Lee, and Y. S. Ok, 2010. Effects of Polyacrylamide and Biopolymer on Soil Erosion and Crop Productivity in Sloping Uplands: A Field Experim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32(11): 1024-1029 (in Korea). 

  5. Choi, Y. H., C. H. Won, J. Y. Soe, M. H. Shin, H. J. Yang, K. J. Lim, and J. D. Choi, Analysis and Comparison about NPS of Plane Field and Alpine Field.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25(5): 682-688 (in Korea). 

  6. Chung, J. B., M. K. Kim, B. J. Kim, and W. C. Park, 1999. Nitrogen, Phosphorus , and Organic Carbon Discharges in the Imgo Small Agricultural Watershed Catchment.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18(1): 70-76 (in Korean). 

  7. Comprehensive measures for reducing non-point pollution in highland areas. 

  8. Geiger, W., 1987. Flushing effects in combined sewer systems. Proceedings of the 4th Int. conf. on urban drainage, pp. 40-46. 

  9. Heo, S. G., 2008. Analysis of Soil Erosion Reduction Ratio with Changes in Soil Reconditioning Amount for Highland Agricultural Crops.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24(2): 185-194 (in Korean). 

  10. Huff, F. A., 1967. Time Distribution of Rainfall in Heavy Storm. Water Resources Research, 3(4): 1007-1019. 

  11. Jung, S. M., C. W. Jang, J. K. Kim, and B. C. Kim, 2009.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by Storm Runoffs from Intensive highland Agriculture Area in the Upstream of han River Basin.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25(1): 102-111 (in Korea). 

  12.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005. A Basic Study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Reorganization of Highland Agriculture. 

  13. Lee, G. S., 2007. GIS-based Soil Erosion Analysis of Highlan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7(5D): 657-662 (in Korean). 

  14. Lee, B. S., Y. J. Jung, M. J. Park, and K. I. Gil, 2008. A Study on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Non-Point Pollutant Source in the Agricultural Area of the Kyongan Watershed.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24(2): 169-173 (in Korean). 

  15. Lee, J. T., G. J. Lee, J. S, Ryu, J. S. Kim, and K. H. Han, and Y. S. Zhang, 2012. Evaluation of Surface Covering Methods for Reducing Soil Loss of Highland Slope in Soybean Cultivation. Korean J. Soil Sci. Fert. 45(5): 725-732 (in Korean). 

  16. MOE, 2007. Official test methods for water pollution. 

  17. MOE, 2009. Method of Runoff Investigation. 

  18. MOE, 2012. Secondary nonpoint pollution source comprehensive measures. 

  19. Shin, J. Y., M. H. Shin, Y. H. Choi, H. W. Kang, M. Y. Hwang, H. J. Yang, K. J. Lim, and J. D, Choi, 2012. Effect of Balloonflower and Potato Cultivation on Runoff and NPS Pollution Loa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4(6): 89-99 (in Korean). 

  20. Shin, M, H., D. S. Shin, J. W. Choi, C. H. Won, J. Y. Seo, Y. H. Choi, and J. D. Choi, 2010. Runoff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 Pollutants from Differrent Forest Types During Rainfall Ev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26(3): 507-517 (in Korean). 

  21. Shin, M. H., J. W. Choi, Y. H. Choi, W. J. Park, C. H. Won, D. S. Shin, K. J. Lim, and J. D. Choi, 2011. Runoff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 Pollutant Loads Generated on Golf Course.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27(6): 784-793 (in Korean). 

  22. Soe, Y. C., B. H. Park, J. Y. Yoo, and D. J. Kim, 2005. Intensive Study on Abandoned Metal Mining Sit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Analysis 8(3): 162-168 (in Korean). 

  23. Won, C. H., Y. H. Choi, J. Y. Seo, K. C. Kim, M. H. Shin, and J. D. Choi, 2009. Determination of EMC and Unit Loading of Rainfall Runoff from Forestry-Crops Field.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25(4): 615-623 (in Korean). 

  24. Yoon, Y. S., H. G. Kwon, J. W. Lee, J. J. Yu, and J. K. Lee, 2011. Analysis of First Flushing Effects for the Vineyard Storm Runoff. Jouran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20(8): 977-986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