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공체육시설 수요특성 및 공간적 접근성 분석
Demand Characteristics and Analysis of Changes in Spatial Accessibility of Public Sports Facilitie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7, 2017년, pp.283 - 293  

김성희 (안양대학교 도시정보공학과) ,  김용진 (한국교통대학교 도시.교통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공공체육시설의 이용실태와 희망시설에 대한 수요자 특성을 설문을 통하여 분석하고, 현재 공급된 공공체육시설의 공간적 불균형 정도를 중력 포텐셜 모형을 활용하여 측정하며, 향후 수요자 요구에 부합하는 시설의 신규 입지 시 접근성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효율적 입지 선정 시 고려될 수 있는 평가기준을 제시하였다. 공공체육시설 수요특성을 설문조사한 결과 현재 이용실태와는 달리 배드민턴, 헬스, 수영 등의 종목을 희망하며, 이러한 활동을 위한 실내체육관의 확충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체육시설의 불균형도를 중력 포텐셜 모형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 지역별로 큰 편차를 보이고 있었으며, 특히 2025년 인구추정치를 고려하여 분석하였을 때 지역별 공공체육시설로의 접근성은 2015년에 비해 약 60%수준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시민들이 요구하는 실내체육시설의 입지를 대안별로 가정하여 파주시 전체의 접근성을 비교한 결과, 현재 시설공급이 부족하고 향후 인구증가가 예상되는 문산생활권에 입지하는 것이 전체적인 효율성 측면에서 가장 양호한 대안으로 평가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actual conditions of use of public sports faciliti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users of the facilities through surveys and measured the spatial imbalance of the public sports facilities currently supplied by using gravity potential model. This study also suggests evaluation ...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장에서는 파주시 주요 공공체육시설에 대한 종목별, 읍면동별 접근성을 2015년 현재와 인구증가가 예상되는 2025년 추정치를 비교하고, 공공체육시설 중 시민들의 수요가 높은 구기체육관(다목적체육관)을 대상으로 추가적인 입지에 따른 공간적 형평성을 수요집단의 크기를 고려한 중력 포텐셜 모형을 활용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여기서는 지역주민의 희망 체육시설인 배드민턴과 수영을 즐길 수 있는 다목적체육시설을 가정하여 파주시 내 읍면동에 각각 입지하는 경우 2025년 파주시 전체의 접근성의 변화를 비교하고자 한다. 신규 공급되는 시설의 규모는 ‘2014 공공체육시설 균형배치 중장기계획’의 생활거점 체육센터(안)에 근거하여 2,300㎡하였으며, 다목적체육시설 1개소가 각각의 읍면동에 신규 입지하는 것으로 2025년의 인구추정치를 적용하여 접근성을 비교분석하였다.
  • 공공시설분배의 형평성에 대한 연구[5]에서는 생활권 단위를 분석의 범위로 설정하여 coulter지표를 이용해 시설의 서비스가 얼마나 하위지역으로 분배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하부지역에 분배되어야만 하는 서비스의 양을 측정하여 형평성의 정도를 파악하고 인구분포에 따라 어느 정도 분배되었는지를 분석 하고 있다. 공공시설 공급의 불균형과 관련하여 이금숙[6]은 의료시설 및 자원의 분포와 불균형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여 공급 불균형을 밝혔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공체육시설에 대한 수요자의 요구를 분석하고 수요에 대응하는 공공체육시설의 입지에 따른 접근성의 변화를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파주시를 대상으로 공공체육시설 수요자의 이용실태와 희망시설을 파악하고, 공공체육시설의 공간적 분포 특성을 수요집단의 접근성 관점에서 비교 분석하여 공급의 불균형 정도를 살펴보며, 향후 공급이 요구되는 시설의 효율적 입지 선정에 대한 지표를 평가함으로써 수요에 대응하는 합리적인 공공 체육시설의 공급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이에 정부는 체육수요와 변화하는 체육환경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자 체육시설의 보급을 확대·추진하고 다양한 정책의 제시를 통해 궁극적으로 체육활동의 장려와 풍요로운 생활을 만들고,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고자 하고 있다.

가설 설정

  • 이에 2015년 현재를 기준으로 공공체육시설이 2025년까지 추가공급이 없다고 가정하고, 자연적 증가와 사회적 증가를 고려한 도시기본계획상 2025년의 인구추정치를 활용하여, 2025년의 공공체육시설에 대한 접근성을 추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체육활동을 통한 의료비 절감효과를 보여주는 연구결과는? 특히, 여가시간을 활용해 개인의 건강을 지키고 스트레스 해소가 가능한 체육활동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여 체육시설의 중요성은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체육활동을 통한 신체활동의 증진은 의료비 절감효과로 나타나기도 하는데, 관련 연구[1]에 따르면 체육활동 참여자의 연간 의료비는 267,800원인 반면 비참여자의 연간 의료비는 556,600원으로 약 2배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의 여가와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이유는? 경제발전으로 인한 소득수준의 향상과 급격한 사회 여건 변화에 따른 가치관의 변화, 주5일 근무제의 정착 으로 국민의 여가와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여가시간을 활용해 개인의 건강을 지키고 스트레스 해소가 가능한 체육활동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여 체육시설의 중요성은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수요자의 요구를 반영한 체육시설의 공급은 어떤 이점이 있으며 공급에 있어 중요한 과제로 생각되는 것은? 체육활동의 수요 뿐 아니라, 체육시설의 공급에 있어 서도 지역별 체육서비스 접근기회의 불균형 문제를 해소하고, 지방정부의 예산제약 하에서 효율적인 체육시설의 입지가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김양례, 노인의 체육활동 실태 분석 및 활성화 방안, 체육과학연구원, 2003. 

  2. 문화체육관광부, 국민 생활체육 참여 실태조사, 2013. 

  3.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개발원, 공공체육시설 균형배치 중장기 계획, 2014. 

  4. 이학래, "공공체육시설의 확충방안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제35권, 제4호, pp.443-456, 1996. 

  5. 김선경, 공공서비스시설 분배의 지역간 형평성 측정 : 서울시 공공생활체육시설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6. 이금숙, "의료서비스시설 입지문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제1권, 제2호, pp.71-84, 1998. 

  7. 고재곤, "지역별에 따른 체육시설 현황과 성과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제43권, 제1호, pp.335-347, 2004. 

  8. 김대은, 김장환, 신홍범, "대구광역시 공공체육시설의 공간적 분포 특성과 시설 접근성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제15권, 제5호, pp.33-48, 2010. 

  9. 오상훈, 오정석, "도시공공체육시설 공급규모 영향요인분석 : 실내체육시설을 중심으로," 한국체육학회지, 제44권, 제1호, pp.67-75, 2005. 

  10. 김흥순, 유지곤, "서울시 생활체육시설의 입지요건 및 적정성 분석," 서울도시연구, 제7권, 제4호, pp.37-52, 2006. 

  11. E. Talen and L. Anselin, "Assessing spatial equity : an evaluation of measures of accessibility to public playgrounds," Environment and Planning A, Vol.30, pp.595-613, 1998. 

  12. M. F. Guagliardo, "Spatial accessibility of primary care : concepts, methods and challenges," International Journal of Health Geographics, Vol.3, No.3, pp.1-13, 2004. 

  13. A. E. Joseph and P. Bantock, "Measuring potential physical accessibility to general practitioners in rural areas: a method and case study," Social Science and Medicine, Vol.16, pp.85-90, 1982. 

  14. 문화체육관광부, 2014년 공공체육시설 균형배치 중장기계획, 2014. 

  15. 문화체육관광부, 2013 체육백서,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