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제주도 토양 중 중금속의 화학적 형태
Chemical Speciation of Heavy Metals in Soils of Jeju Island, Korea 원문보기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한국환경과학회지, v.26 no.7, 2017년, pp.847 - 858  

현성수 (제주특별자치도 보건환경연구원) ,  김세라 (제주특별자치도 보건환경연구원) ,  이민규 (부경대학교 화학공학과) ,  감상규 (제주대학교 환경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 26 soil series distributed more than 1% among 63 soil series in Jeju Island, natural uncultivated soil samples were collected. For these soils, the chemical speciation of eight heavy metals (Cd, Cr, Cu, Mn, Ni, Pb, V, and Zn) was examined. Further, the Plant Bioavailability (PB) and Mobility Fa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중금속의 생물학적 이용률인 측면에서 중요한 토양 중 중금속의 화학적 형태에 대해서는 수행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에 분포하고 있는 63개 토양통 중 1% 이상으로 분포하고 있는 토양통에 대해 자연적인 지구화학적 유입원으로 사료되는 비경작지 토양을 채취하여 연속추출법을 통한 제주도 토양 중의 중금속의 화학적 형태를 검토하여 용탈가능성 및 식물에의 위해성을 평가하였다.

가설 설정

  • 토양 중 유기물 함량은 토양의 물리화학적 성질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하나이다. 유기물 함량이 많을수록 중금속과의 결합력이 증가하여 중금속이 흡착량이 많아지며, 따라서 중금속의 농도도 높게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전체 토양의 유기물 함량은 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토양은 무엇의 집합체인가? 토양은 중금속 및 미량 금속 등을 포함하여 많은 해로운, 기본적인 그리고 생물학적인 구성요소의 집합체이다(Cottenie and Verloo, 1984). 이 중 중금속에 의한 토양오염은 과거 수십년동안 커다란 관심을 불러 일으켰다(Rodriguez, 2009; Shaheen et al.
중금속의 화학적 형태는 중금속의 생물학적 이용률의 측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중금속의 생물학적 이용률의 측면에서 보면 중금속의 다양한 화학적 형태는 다른 어떠한 요인보다도 중요하다(Nelson and Donkin, 1985). 토양단면에서 중금속과 토양의 결합력이 약하여 이동성이 크면 식물체로의 흡수가 증가되어 심각한 독성을 유발할 수 있으며, 반대로 토양 중의 중금속이 유기물 및 광물에 강하게 결합되어 있으면 토양수 중으로 용출되지 않아 식물에 축적될 가능성은 낮아져 식물에 미치는 위해성은 감소될 것이다(Ratuzny et al., 2009; Singh and Kalamdhad, 2013).
토양 중 중금속 유입원 2가지는 무엇인가? , 2014). 토양 중 중금속은 모암자체로부터 파생된 중금속의 배경농도를 나타내는 자연적인 지구화학적 유입원과 광산활동, 폐기물, 화학비료, 오수슬러지 또는 대기오염물질의 강하 등의 인위적인 오염원 등 크게 2가지 유입원에 의해 분포하고 있다. 자연적인 유입원으로 화산회 토양은 Cu, Cr, Ni, Zn 등의 중금속 농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Burt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Alloway, B. J., 1990, Heavy metals in soils, Blackie and Son, Glasgow. 

  2. Alloway, B. J., 1995, The origin of heavy metals in soils, in: Alloway, B. J. (ed.), Heavy Metals in Soils, Blackie Academic and Professional, London, UK, 38-57. 

  3. Alloway, B. J., Thornton, I., Smart, G. A., Sherlock, J. C., Quinn, M. J., 1988, Metal availability, special issue (the Shipham report): An Investigation into cadmium contamination and its implications for human health, Sci. Total Environ., 75, 41-69. 

  4. Bulent, T., 2016, Heavy metal mobility and bioavailability on soil pollution and environmental risks in greenhouse areas, Int. J. Adv. Agric. Environ. Eng., 3, 208-213. 

  5. Burt, R., Wilson, M. A., Mays, M. D., Lee, C. W., 2003, Major and trace elements of selected pedons in the USA, J. Environ. Qual., 32, 2109-2121. 

  6. Calhoun, F. G., Carlisle, V. W., Luna, C., 1972, Properties and genesis of selected Columbian Andosols, Soil Sci. Soc. Amer. Proc., 36, 480-485. 

  7. Cottenie, A., Verloo, M., 1984, Analytical diagnosis of soil pollution with heavy metals, Fresenius J. Anal. Chem., 317, 389-393. 

  8. Doelsch, E., Macary, H. S., de Kerchove, V. V., 2006, Sources of very high metal content in soils of volcanic island (La Reunion), J. Geochem. Explor., 88, 194-197. 

  9. Filgueiras, A. V., Lavilla, I., Bendicho, C., 2002, Chemical sequential extraction for metal partitioning in environmental solid samples, J. Environ. Monit., 4, 823-857. 

  10. Gleyzes, C., Tellier, S. M., Astruc, M., 2002, Fractionation studies of trace elements in contaminated soils and sediments: A Review of sewuential extraction procedure, Trend Anal. Chem., 21, 451-467. 

  11. Hall, G. E. M., Pelchat, P., 1999, Comparability of results obtained by the use of different selective extraction schemer for the determination of element forms in soils, Water, Air, and Soil Pollution, 112, 41-53. 

  12. Hong, C. O., Gutierrez, J., Yun, S. W., Lee, Y. B., Yu, C., 2009, Heavy metal contamination of arable soil and corn plant in the vicinity of a zink smelting factory and stabilization by liming, Arch. Environ. Contam. Toxicol., 56, 190-200. 

  13. Hyun, I. K., Yang, C. S., Yun, S. T., Kim, H., Lee, M. G., Kam, S. K., 2016a, Characteristics of vanadium leaching from basaltic soils of Jeju Island, Korea, J. Environ. Sci. Int., 25, 1541-1554. 

  14. Hyun, I. K., Yun, S. T., Kim, H., Kam, S. K., 2016b, Occurrence of vanadium in groundwater of Jeju Island, Korea, J. Environ. Sci. Int., 25, 1563-1573. 

  15. Jeong, S. K., An, J. S., Kim, Y. J., Kim, G. H., Choi, S. I., Nam, K. P., 2011, Study on heavy metal contamination characteristics and bioavailability for soils in the Janghang smelter area, J. Soil & Groundwater Environ., 16, 42-50. 

  16. Jung, M. C., 1994, Sequential extraction of heavy metals in soils and a case study, Ecol. Environ. Geol., 27, 469-477. 

  17. Kennedy, H., Sanchez, A. L., Oughton, D. H., Rowland, A. P., 1997, Use of single and sequential chemical extractants to assess radionucleonide and heavy metal availability from soils for root uptake, Analyst, 122, 89-100. 

  18. Kim, S. R., Hyun, S. S., Song, S. T., Lee, M. G., Kam, S. K., 2015,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in natural soils of Jeju Island, Korea, J. Environ. Sci. Int., 24(2), 175-188. 

  19. Lee, B. K., Koh, I. H., Kim, H. A., 2005, The partitioning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s in soil of Ulsan by sequential extraction procedures, Korean Soc. Environ. Eng. Res., 27, 25-35. 

  20. Li, J. X., Yang, X. E., He, Z. L., Jilani, G., Sun, C. Y., Chen, S. M., 2007, Fractionation of lead in paddy soils and its bioavailability to rice plants, Geoderma, 141, 174-180. 

  21. Liu, G., Wang, J., Zhang, E., Hou, J., Liu, X., 2016, Heavy metal speciation and risk assessment in dry land and paddy soils near mining areas at Southern China, Environ. Sci. Pollut. Res., 23, 8709-8720. 

  22. Ministry of Environment, 2005, Soil measuring network and results of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in 2004. 

  23. Ministry of Environment, 2006, Results of detailed research for the areas exceeding soil contamination warning standards in 2005. 

  24. Narwal, R. P., Singh, B. R., Salbu, B., 1999, Association of cadmium, zinc, copper, and nickel with components in naturally heavy metal-rich soils studied by parallel and sequential extractions, Communications in Soil Sci. Plant Anal., 30, 1209-1230. 

  25. Nelson, A., Donkin, P., 1985, Processes of bioaccumulation: The importance of chemical speciation, Mar. Pollut. Bull., 16, 164-169. 

  26. Ratuzny, T., Gong, Z., Wilke, B. M., 2009, Total concentrations and speciation of heavy metals in soils of Shenyang Zhangshi Irrigation Area, China, Environ. Monitor. Assess., 156, 171-180. 

  27. Rauret, G., Lopez-Sanchez, J. F., Sahuquillo, A., Rubio, R., Davidson, C., Ure, A., Quevauviller, P., 1999, Improvement of the BCR three step sequential extraction procedure prior to the centrification of new sediment and soil reference materials, J. Environ. Monitor., 1, 57-61. 

  28. Rodriguez, L., Ruiz, E., Alonso-Azcarate, J., Rincon, J., 2009, Heavy metal distribution and chemical speciation in tailings and soils around a Pb-Zn mine in Spain, J. Environ. Manage., 90, 1106-1116. 

  29. Shaheen, S. M., Rinklebe, J., Rupp, H., Meissner, R., 2014, Temporal dynamics of pore water concentrations of Cd, Co, Cu, Ni, and Zn and their controlling factors in a contaminated floodplain soil assessed by undisturbed groundwater lysimeters, Environ. Pollut., 191, 223-231. 

  30. Singh, J., Kalamdhad, A. S., 2013, Chemical speciation of heavy metals in compost and compost amended soil-A Review, Int. J. Environ. Eng. Res., 2, 27-37. 

  31. Soon, Y. K., Abboud, S., 1990, Trace elements in agricultural soils of North-western Alberta, Can. J. Soil Sci., 70, 277-288. 

  32. Takeda, A., Kimura, K., Yamasaki, S., 2004, Analysis of 57 elements in Japanese soils, with special reference in soil group and agriculture use, Geoderma, 119, 291-307. 

  33. Tessier, A., Camppbell, P. G. C., Bisson, M., 1979, Sequential extraction procedure for the speciation of particulate trace metals, Anal. Chem., 51, 844-851. 

  34. Ure, A. M., Davidson, C. M., 2002, Chemical speciation in soils and related materials by selective chemical extraction, in: Ure, A. M., Davidson, C. M. (eds.), Chemical Speciation in the Environment, Blackwell, Oxford, 265-300. 

  35. Walkley, A., Black, I. A., 1934, An Examination of the Degtjareff method for determining soil organic matter and a proposed modification of the chromic acid titration method, Soil Sci., 37, 29-38. 

  36. Zheljazkov, A., Jeliazkova, E. A., Kovacheva, N., Dzhurmanski, A., 2008, Metal uptake by medicinal plant species grown in soils contaminated by a smelter, Environ. Exp. Bot., 64, 207-216. 

  37. Zimmerman, A. J., Weindorf, D. C., 2010, Heavy metal and trace metal analysis in soil by sequential extraction: A Review of precedures, Int. J. Anal. Chem., 2010, 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