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중신속순차제시아래 자극의 명암대비 및 색상이 표적 탐지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Stimulus Contrast and Color on Target Detection under Multiple Rapid Serial Visual Presentation 원문보기

감성과학 =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v.20 no.2, 2017년, pp.137 - 148  

박종민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  김기연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  현주석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본 연구는 일련의 문자열들 중 하나의 표적을 탐지하는 데 자극 명암대비와 색상이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실험 1의 각 시행에서는 네 문자로 구성된 RSVP가 제시되고 각 RSVP 화면상의 문자들이 서로 다른 위치를 점유하였다. RSVP 배열 내에서는 한 위치에 회색 표적 문자가, 나머지 위치에 세 방해자극들이 제시된 표적화면을 제외하고 나머지 RSVP 화면에서 네 흰색 방해자극 문자들이 상응하는 위치에 제시되었다. 고가시성 조건에서는 회색 배경화면 보다 표적 회색이 현저히 어두웠던 반면 저가시성 조건에서는 그 밝기 차이가 상대적으로 분명치 않았다. 참가자들은 사전에 지정된 표적들 중 각 시행에서 어느 것이 출현했는지를 가능한 빠르고 정확하게 탐지하도록 요구받았으며 그 결과 관찰된 탐지 수행은 고가시성 조건에서 더 정확했으며 신속했다. 실험 2에서는 고가시성 조건의 회색 표적을 고선명도 유채색 표적으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 실험 1과 동일한 RSVP 화면 및 과제가 사용되었다. 그 결과 참가자들은 고가시성 조건의 표적을 더 정확히 탐지했으나 반응 속도에 있어서는 두 가시성 조건 간 차이가 없었다. 두 실험의 결과는 시각적 부담이 높은 상황일지라도 현저한 명암대비 및 색상이 부여될 경우 자극에 대한 지각이 촉진됨을 시사하며 자극 색상에 비해 명암대비가 지각적 촉진에 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가능성을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stimulus contrast and color on detection of a target embedded in streams of letters. In Experiment 1, each trial displayed four rapid serial visual presentation (RSVP) streams of letters (i.e., multi-RSVP), and each stream occupied one of four different loc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처치 아래에서는 RSVP 내에 표적과 함께 출현하는 방해자극의 간섭 효과 뿐만 아니라 표적 출현 위치에 대한 예측 불가능성이 야기시키는 공간적 선택의 어려움으로 인해 표적 위치에 대한 확률적 예측이 가능한 경우보다 정보처리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Shiu & Pashler, 1994; Yashar amy, 2010).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중 RSVP 처치에 의해 감각적 부담이 큰 상태에서 표적의 명암대비수준 또는 색상 부여 여부에 의한 표적 가시성 수준 차이가 RSVP 내의 표적 탐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특히 본 연구는 이러한 영향에 대한 관찰 및 해석을 통해 일상생활의 탐색 과정에서 출현하는 표적에서 예상되는 가시성 수준이 표적의 정보처리 촉진에 미치는 영향력을 가늠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 본 연구는 다중 RSVP 처치를 사용해 감각적 간섭의 영향력이 매우 분명히 예상되는 상황에서 명암대비가 높은 표적이 그렇지 않은 표적보다 정확하고 빠르게 탐지될 수 있음을 관찰하였다. 또한 유사한 RSVP 처치아래 표적에 색상을 부여할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표적이 정확하게 탐지될 가능성 또한 관찰하였다.
  • 본 연구는 다중 RSVP 처치를 사용해 감각적 간섭의 영향력이 매우 분명히 예상되는 상황에서 명암대비가 높은 표적이 그렇지 않은 표적보다 정확하고 빠르게 탐지될 수 있음을 관찰하였다. 또한 유사한 RSVP 처치아래 표적에 색상을 부여할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표적이 정확하게 탐지될 가능성 또한 관찰하였다.
  • 본 연구에서 시도된 표적에 대한 고가시성 처치에 의한 표적탐지의 용이성은 다른 한 가지 중요한 이론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다중 RSVP 상황에서 표적의 탐지를 어렵게 만드는 요인은 방해자극의 간섭, 시각차폐 이외에 이 두 가지가 모두와 상호작용하는 공간적 불확실성이다.
  • 본 연구에서는 RSVP 내에 출현하는 표적과 배경화면의 명암 대비의 수준을 달리하거나 혹은 색상 부여 여부에 따른 표적 고가시성, 저가시성 조건에 걸쳐 표적 가시성이 RSVP 내의 표적의 탐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특히 기존의 RSVP 연구에서 사용된 단일 RSVP (single-stream RSVP) 방식보다는 다중 RSVP (multi-stream RSVP) 방식을 사용해 RSVP 내의 감각적 간섭의 영향력이 분명하도록 처치하였다.
  • 참가자들은 다중 RSVP 화면에서 표적인 ‘A’, ‘S’, ‘T’ 알파벳 중 하나가 출현하면 키보드 상의 버튼을 눌러 최대한 정확하고 신속하게 표적의 출현을 보고하도록 지시받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속순차제시법이란 무엇인가? 일상 생활의 불안정한 시각 정보 환경을 실험실의 통제된 환경에서 구현하려는 시도 중 하나로 신속순차제시법(rapid serial visual presentations paradigm; 이하 RSVP)이 있다(Raymond, Shapiro, & Arnell, 1992; Chun & Potter, 1995; Martens & Wyble, 2010). RSVP 상황에서는 일련의 자극 항목들이 매우 빠른 속도로 시야의 고정 위치에 순차적으로 출현하며 관찰자는 RSVP 내에 출현하는 특정 표적의 유무에 대해 보고하도록 요구받는다(Eriksen & Spencer, 1969; Seiffert, & Di Lollo, 1997; Shapiro, Raymond, & Arnell, 1997;).
감각적 부담이 예상되는 RSVP 상황에서 특정표적의 출현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서 어떤 것이 중요한가? 이처럼 감각적 부담이 예상되는 RSVP 상황에서 특정 표적의 출현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표적 자극의 가시성(visibility)이 중요해진다. 구체적으로 표적이 출현하는 배경 화면과 표적 및 방해자극 간의 상호시각적 차이는 RSVP 내의 표적의 현출성(salient)의수준과 직결된다.
신속순차제시법에서 관찰자는 무엇을 요구받는가? 일상 생활의 불안정한 시각 정보 환경을 실험실의 통제된 환경에서 구현하려는 시도 중 하나로 신속순차제시법(rapid serial visual presentations paradigm; 이하 RSVP)이 있다(Raymond, Shapiro, & Arnell, 1992; Chun & Potter, 1995; Martens & Wyble, 2010). RSVP 상황에서는 일련의 자극 항목들이 매우 빠른 속도로 시야의 고정 위치에 순차적으로 출현하며 관찰자는 RSVP 내에 출현하는 특정 표적의 유무에 대해 보고하도록 요구받는다(Eriksen & Spencer, 1969; Seiffert, & Di Lollo, 1997; Shapiro, Raymond, & Arnell, 1997;). 이처럼 RSVP 내에서 빠르게 출현하는 방해자극들 중 순간 제시되고 사라지며 다른 방해자극에 의해 감각적으로 차폐(sensory masking)되는 특정 표적을 탐지하고 변별하는 것은 경우에 따라서는 매우 어려울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Ariga, A., & Yokosawa, K. (2008). Attentional awakening: Gradual modulation of temporal attention in rapid serial visual presentation. Psychological Research, 72(2), 192-202. 

  2. Awh, E., Serences, J., Laurey, P., Dhaliwal, H., van der Jagt, T., & Dassonville, P. (2004). Evidence against a central bottleneck during the attentional blink: Multiple channels for configural and featural processing. Cognitive Psychology, 48(1), 95-126. 

  3. Brehaut, J. C., Enns, J. T., & Di Lollo, V. (1999). Visual masking plays two roles in the attentional blink. Perception & Psychophysics, 61(7), 1436-1448. 

  4. Breitmeyer, B. G., Ehrenstein, A., Pritchard, K., Hiscock, M., & Crisan, J. (1999). The roles of location specificity and masking mechanisms in the attentional blink. Perception & Psychophysics, 61(5), 798-809. 

  5. Broadbent, D. E., & Broadbent, M. H. (1987). From detection to identification: Response to multiple targets in rapid serial visual presentation. Perception & Psychophysics, 42(2), 105-113. 

  6. Bullier, J. (2001). Integrated model of visual processing. Brain Research Reviews, 36(2), 96-107. 

  7. Bundesen, C. (1990). A theory of visual attention. Psychological Review, 97(4), 523. 

  8. Cheng, A., Eysel, U. T., & Vidyasagar, T. R. (2004). The role of the magnocellular pathway in serial deployment of visual attention. European Journal of Neuroscience, 20(8), 2188-2192. 

  9. Chong, S. C., Hyun, J. -S., & Chung, C. S. (1998). Changes in sensitivity across visual field induced by exogenous attention (외인성 주의 유도에 의한 시야의 시각 민감도 변화).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8(4), 63-75. 

  10. Chua, F. K. (2005). The effect of target contrast on the attentional blink. Perception & Psychophysics, 67(5), 770-788. 

  11. Chun, M. M., & Potter, M. C. (1995). A two-stage model for multiple target detection in rapid serial visual presentation.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Human Perception and Performance, 21(1), 109. 

  12. Coltheart, M., & Arthur, B. (1972). Evidence for an integration theory of visual masking. The Quarterly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24(3), 262-269. 

  13. Davidoff, J. (1991). Cognition through color. The MIT Press. 

  14. Di Lollo, V., Kawahara, J. I., Ghorashi, S. S., & Enns, J. T. (2005). The attentional blink: Resource depletion or temporary loss of control?. Psychological Research, 69(3), 191-200. 

  15. Du, F., & Abrams, R. A. (2009). Onset capture requires attention. Psychonomic Bulletin & Review, 16(3), 537-541. 

  16. Dux, P. E., Wyble, B., Jolicoeur, P., & Dell’Acqua, R. (2014). On the costs of lag-1 sparing.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Human Perception and Performance, 40(1), 416. 

  17. Eriksen, C. W. (1966). Temporal luminance summation effects in backward and forward masking. Perception & Psychophysics, 1(2), 87-92. 

  18. Eriksen, C. W., & Spencer, T. (1969). Rate of information processing in visual perception: Some results and methodolog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79(2p2), 1. 

  19. Ferrera, V. P., Nealey, T. A., & Maunsell, J. H. (1992). Mixed parvocellular and magnocellular geniculate signals in visual area V4. Nature, 358(6389), 756- 758. 

  20. Hommel, B., & Akyurek, E. G. (2005). Lag-1 sparing in the attentional blink: Benefits and costs of integrating two events into a single episode. The Quarterly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Section A, 58(8), 1415-1433. 

  21. Jonides, J. (1980). Towards a model of the mind's eye's movement. Canadian Journal of Psychology/Revue Canadienne de Psychologie, 34(2), 103. 

  22. Kean, M., & Lambert, A. (2003). The influence of a salience distinction between bilateral cues on the latency of target­detection saccades.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94(3), 373-388. 

  23. Kerzel, D., & Schonhammer, J. (2013). Salient stimuli capture attention and action. Attention, Perception, & Psychophysics, 75(8), 1633-1643. 

  24. Kim, G., & Hyun, J. -S. (2016). The influence of location uncertainty and visibility of targets on the strength of attentional blink (표적 위치의 불확실성과 표적 가시성이 주의깜박거림 강도에 미치는 영향).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27(2), 275-301. 

  25. Kim, J. -H., & Kim, J. -Y. (2015). Method Extracting Observation Data by Spatial Factor for Analysis of Selective Attention of Vision (시각의 선택적 주의집중 분석을 위한 공간요소별 주시데이터 추출방법).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13(3), 541- 550. 

  26. Laycock, R., Crewther, D. P., & Crewther, S. G. (2008). The advantage in being magnocellular: a few more remarks on attention and the magnocellular system. Neuroscience & Biobehavioral Reviews, 32(8), 1409- 1415. 

  27. Loftus, G. R., & Masson, M. E. (1994). Using confidence intervals in within-subject designs. Psychonomic Bulletin & Review, 1(4), 476-490. 

  28. Martens, S., & Wyble, B. (2010). The attentional blink: Past, present, and future of a blind spot in perceptual awareness. Neuroscience & Biobehavioral Reviews, 34(6), 947-957. 

  29. McLaughlin, E. N., Shore, D. I., & Klein, R. M. (2001). The attentional blink is immune to masking-induced data limits. The Quarterly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Section A, 54(1), 169-196. 

  30. Muller, H. J. & Rabbitt, P. M. (1989). Spatial cueing and the relation between the accuracy of “where” and “what” decisions in visual search. The Quarterly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41(4), 747-773. 

  31. Nakayama, K., & Mackeben, M. (1989). Sustained and transient components of focal visual attention. Vision Research, 29(11), 1631-1647. 

  32. Olivers, C. N., & Watson, D. G. (2006). Input control processes in rapid serial visual presentations: Target selection and distractor inhibition.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Human Perception and Performance, 32(5), 1083. 

  33. Potter, M. C., Staub, A., & O'Connor, D. H. (2002). The time course of competition for attention: attention is initially labile.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Human Perception and Performance, 28(5), 1149. 

  34. Raymond, J. E., Shapiro, K. L., & Arnell, K. M. (1992). Temporary suppression of visual processing in an RSVP task: An attentional blink?.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Human Perception and Performance, 18(3), 849. 

  35. Reeves, A., Fuller, H., & Fine, E. M. (2005). The role of attention in binding shape to color. Vision Research, 45(27), 3343-3355. 

  36. Seiffert, A. E., & Di Lollo, V. (1997). Low-level masking in the attentional blink.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Human Perception and Performance, 23(4), 1061. 

  37. Shapiro, K. L., Raymond, J. E., & Arnell, K. M. (1994). Attention to visual pattern information produces the attentional blink in rapid serial visual presentation.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Human Perception and Performance, 20(2), 357. 

  38. Shapiro, K. L., Raymond, J. E., & Arnell, K. M. (1997). The attentional blink. Trends in Cognitive Sciences, 1(8), 291-296. 

  39. Sheu, C. F. (2006). Triadic judgment models and Weber's law. Journal of Mathematical Psychology, 50(3), 302-308. 

  40. Shiu, L. P., & Pashler, H. (1994). Negligible effect of spatial precuing on identification of single digits.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Human Perception and Performance, 20(5), 1037. 

  41. Shih, S. I., & Reeves, A. (2007). Attentional capture in rapid serial visual presentation. Spatial Vision, 20(4), 301-315. 

  42. Sperling, G. (1965). Temporal and spatial visual masking. I. Masking by impulse flashes. Journal of the Optical Society of America, 55(5), 541-559. 

  43. Treisman, A. (1988). Features and objects: The fourteenth Bartlett memorial lecture. The Quarterly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40(2), 201-237. 

  44. Treisman, A., & Schmidt, H. (1982). Illusory conjunctions in the perception of objects. Cognitive Psychology, 14(1), 107-141. 

  45. Wolfe, J. M. (1994). Guided search 2.0 a revised model of visual search. Psychonomic Bulletin & Review, 1(2), 202-238. 

  46. Wyble, B., Potter, M. C., & Mattar, M. (2012). RSVP in orbit: Identification of single and dual targets in motion. Attention, Perception, & Psychophysics, 74(3), 553-562. 

  47. Yashar, A., & Lamy, D. (2010). Intertrial repetition facilitates selection in time common mechanisms underlie spatial and temporal search. Psychological Science, 21(2), 243-25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