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중 생체신호를 이용한 신경망 기반 전산화 감정해석
Neural-network based Computerized Emotion Analysis using Multiple Biological Signals 원문보기

감성과학 =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v.20 no.2, 2017년, pp.161 - 170  

이지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공학교실) ,  김병남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공학교실) ,  유선국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공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감정은 학습능력, 행동, 판단력 등 삶의 많은 부분에 영향을 끼치므로 인간의 본질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감정은 개인이 느끼는 강도가 다르며, 시각 영상 자극을 통해 감정을 유도하는 경우 감정이 지속적으로 유지되지 않는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총 4가지 감정자극(행복, 슬픔, 공포, 보통) 시 생체신호(뇌전도, 맥파, 피부전도도, 피부 온도)를 획득하고, 이로부터 특징을 추출하여 분류기의 입력으로 사용하였다. 감정 패턴을 확률적으로 해석하여 다른 공간으로 매핑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Restricted Boltzmann Machine (RBM)과 Multilayer Neural Network (MNN)의 은닉층 노드를 이용하여 비선형적인 성질의 감정을 구별하는 Deep Belief Network (DBN) 감정 패턴 분류기를 설계하였다. 그 결과, DBN의 정확도(약 94%)는 오류 역전파 알고리즘의 정확도(약 40%)보다 높은 정확도를 가지며 감정 패턴 분류기로서 우수성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이는 향후 인지과학HCI 분야 등에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motion affects many parts of human life such as learning ability, behavior and judgment.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human nature. Emotion can only be inferred from facial expressions or gestures, what it actually is. In particular, emotion is difficult to classify not only because individuals f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DBN의 우수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유사한 방법으로 학습되지만 RBM을 사용하지 않는 오류 역전파 알고리즘을 통하여 두 알고리즘의 성능을 분석해보고자 했다. 또한, 시각 자극에서 감정 유발이 잘 되는 구간을 학습데이터로 사용하여 DBN 및 오류 역전파 알고리즘을 학습한 후 같은 5개의 테스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성능을 분석했다.
  • 본 논문에서는 뇌파, 맥파, 피부전도도, 피부 온도를 기반으로 하는 특징을 입력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측정된 생체신호로부터 특징벡터를 추출했다.
  • 본 논문에서는 뇌파, 맥파, 피부전도도, 피부 온도에 기반을 둔 다양한 생체신호로부터 감정 패턴 분류기의 입력데이터를 추출했다. 어떠한 생체신호가 입력으로 사용되는가에 따라 분류기의 성능은 변화한다.
  • 본 연구에서는 감정 판별의 한계를 해결하기 위하여 감정 자극 시 중추신경계 및 자율신경계의 생체신호를 종합적으로 획득하여 객관적인 판별을 하고자 했다. 또한, 영상 자극에서 획득된 감정 신호를 연속적으로 보기 위하여 생체신호를 창 이동(Sliding Window) 시켜주어 특징을 추출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상정보의 시각자극에 의해 유발된 감정을 생체신호를 통해 확률적으로 해석하여 정확도가 높은 감정 패턴 분류기를 구현하는 것이다.

가설 설정

  • 자극유발 영상 시작 후 초기 5분 데이터는 감정의 유발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가정 하에 이를 제외한 55분 데이터에서 특징을 추출했다. 특징은 획득 데이터에 5분 기반 창(Window)을 사용하여 계산하였으며 30초씩 창 이동(Sliding Window)을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Chen, H., & Murray, A. F. (2003). Continuous Restricted Boltzmann Machine with an Implementable Training Algorithm. In Vision, Image and Signal Processing, IEEE Proceeding-, 150(3), 153-158. 

  2. Choi, W. (2011). A Classification Analysis of Negative Emotion Based on PPG Signal Using Fuzzy-Ga.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3. Cowie, R., Douglas-Cowie, E., Tsapatsoulis, N., Votsis, G., Kollias, S., Fellenz, W., & Taylor, J. G. (2001). Emotion Recognition in Human-Computer Interaction. Signal Processing Magazine, IEEE, 18(1), 32-80. 

  4. Guang-yuan, L., & Min, H. (2009). Emotion Recognition of Physiological Signals Based on Adaptive Hierarchical Genetic Algorithm. In 2009 World Congress on Computer Science and Information Engineering, 670-674. 

  5. Haag, A., Goronzy, S., Schaich, P., & Williams, J. (2004). Emotion Recognition Using Bio-Sensors: First Steps Towards an Automatic System. In Tutorial and Research Workshop on Affective Dialogue Systems, 36-48. 

  6. Hinton, G. E., Osindero, S., & Teh, Y.-W. (2006). A Fast Learning Algorithm for Deep Belief Nets. Neural Computation, 18(7), 1527-1554. 

  7. Jerritta, S., Murugappan, M., Nagarajan, R., & Wan, K. (2011). Physiological Signals Based Human Emotion Recognition: A Review. In Signal Processing and its Applications (CSPA), 2011 IEEE 7th International Colloquium on, 410-415. 

  8. Khashman, A. (2008). A Modified Backpropagation Learning Algorithm with Added Emotional Coefficients. Neural Networks, IEEE Transactions on, 19(11), 1896-1909. 

  9. Kleinginna, P. R., & Kleinginna, A. M. (1985). Cognition and affect: A reply to Lazarus and Zajonc. American Psychologist, 40(4), 470-471. 

  10. Krause, R. (1987). Universals and Cultural Differences in the Judgments of Facial Expressions of Emo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3(4), 712-717. 

  11. Lang, P. J. (1995). The Emotion Probe: Studies of Motivation and Attention. American Psychologist, 50(5), 372-385. 

  12. LeCun, Y., & Ranzato, M. (2013). Deep Learning Tutorial. In Tutorials in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achine Learning (ICML13), Citeseer. 

  13. Lisetti, C. L., & Nasoz, F. (2004). Using Noninvasive Wearable Computers to Recognize Human Emotions from Physiological Signals. EURASIP Journal on Advances in Signal Processing, 11, 1-16. 

  14. Malik, M., & Camm, A. J. (1990). Heart Rate Variability. Clinical Cardiology, 13(8), 570-576. 

  15. Moretti, D. V., Babiloni, C., Binetti, G., Cassetta, E., Dal Forno, G., Ferreric, F., & Nobili, F. (2004). Individual Analysis of Eeg Frequency and Band Power in Mild Alzheimer's Disease. Clinical Neurophysiology, 115(2), 299-308. 

  16. Murugappan, M., Ramachandran, N., & Sazali, Y. (2010). Classification of Human Emotion from Eeg Using Discrete Wavelet Transform. Journal of Bio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3, 390-396. 

  17. Niu, X., Chen, L., & Chen, Q. (2011). Research on Genetic Algorithm Based on Emotion Recognition Using Physiological Signals. In 2011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ational Problem-Solving, 614-618. 

  18. Peng, Y., Zhu, J.-Y., Zheng, W.-L., & Lu, B.-L. (2014). Eeg-Based Emotion Recognition with Manifold Regularized Extreme Learning Machine. In Engineering in Medicine and Biology Society (EMBC), 2014 36th Annual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IEEE, 974-977. 

  19. Schaaff, K., & Schultz, T. (2009). Towards Emotion Recognition from Electroencephalographic Signals. In 2009 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ffective Computing and Intelligent Interaction and Workshops, 1-6. 

  20. Wang, D., & Shang, Y. (2013). Modeling Physiological Data with Deep Belief Networks. International of Journal Information and Education Technology (IJIET), 3(5), 505-5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