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외 녹색건축인증에서의 커미셔닝 평가기준에 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Evaluation Criteria of Commissioning for Sustainable Building Certification 원문보기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18 no.1, 2017년, pp.27 - 36  

정다훈 ,  정찬우 (포스코A&C)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토교통부는 녹색건축물 조성을 촉진하기 위해 '17년 공동주택은 냉,난방 에너지 90%('90년 대비) 절감 목표를 수립하였으며, 2015년 UN 기후변화회의(2015 United Nations Climate Change Conference)에서 당국은 2030년 배출전망 (BAU)인 8억 5060만 ton $CO^2$ 대비 37%를 감축하겠다고 발표하였다. 이를 만족하기 위해서는 가장 많은 탄소 발생을 야기하는 건축물에서 탄소배출 최소화를 위한 조치가 시급하며, 이에 건물 사용 시 발생하는 탄소배출 감축을 위해 필요한 건물 성능 강화를 유도하는 커미셔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 건설업계에서 커미셔닝은 법제화되어 있지 않고 건설 참여자의 수행의지 및 효과 홍보 부족으로 인해 활성화 되어있지 않다. 또한, 녹색건축으로의 인증을 획득하는 과정에서 조차 커미셔닝은 필수 수행 항목으로 지정되어 있지 않아 국내 커미셔닝은 그 효과 대비 저평가 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커미셔닝의 효과에 대해 기술하고, 해외 녹색건축인증 LEED, BREEAM을 기준으로 커미셔닝이 녹색건축에 있어서 어떻게 평가받고 있는지 국내 G-SEED와 비교, 분석하여 국내 녹색건축인증에서의 커미셔닝 필수화를 제안하고 나아가 커미셔닝이 국내에서 활성화 될 수 있도록 건설 주체자의 인식 변화를 유도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established Heating and cooling energy conservation plan of apartment for 2017, reducing 90% compared to energy consumption of 1990. Also, at 2015 United Nations Climate Change Conference, the Ministry announced to reduce 37% of estimated $CO^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커미셔닝에 대한 정의 분석에서부터 현재 국내외 녹색건축인증 제도 내 커미셔닝의 평가기준을 비교 분석하여 국내 커미셔닝의 입지를 확인한다. 또한 이를 통해, 향후 국내 녹색건축인증에서의 커미셔닝을 필수항목으로 제정하기 위한 제반사항을 제안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장에서는, 앞서 커미셔닝 정의의 차이를 알아본 바와 같이 주요 나라의 녹색건축 인증제도 중 G-SEED, LEED 및 BREEAM 내 커미셔닝 Rating System을 검토하여 녹색건축 수행에서의 인증별 커미셔닝 업무 범위 정의, 목적, 인증을 위한 상세 방법 등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녹색 건축물 확산을 위한 각 나라별 커미셔닝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도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 이에 본 장에서는, 앞서 커미셔닝 정의의 차이를 알아본 바와 같이 주요 나라의 녹색건축 인증제도 중 G-SEED, LEED 및 BREEAM 내 커미셔닝 Rating System을 검토하여 녹색건축 수행에서의 인증별 커미셔닝 업무 범위 정의, 목적, 인증을 위한 상세 방법 등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녹색 건축물 확산을 위한 각 나라별 커미셔닝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도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커미셔닝에 대한 정의 분석에서부터 현재 국내외 녹색건축인증 제도 내 커미셔닝의 평가기준을 비교 분석하여 국내 커미셔닝의 입지를 확인한다. 또한 이를 통해, 향후 국내 녹색건축인증에서의 커미셔닝을 필수항목으로 제정하기 위한 제반사항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에서는 커미셔닝을 어떻게 정의하는가? LEED나 ASHRAE에서는 설비 뿐 아니라 건물 외피성능등 그 범위를 보다 넓게 정의하고 설계, 시공 및 운영 등 건설 전반에 걸쳐 수행되어야 함을 명시한 것과 달리, 국내에서의 커미셔닝은 건물의 설비부분에 집중하여 각 설비들이 건축주 요구조건에 맞게 가동되는지 검증하는 것으로서 커미셔닝을 정의하였다(Table 2). 또한, 국내의 커미셔닝은 해외와 같이 관련 기준을 제시하는 지침서도 충분히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정의내리고 있는 커미셔닝도 단순 설비 시스템 성능 검증으로 그 범위가 한정적이다.
커미셔닝을 했을 때 가질 수 있는 효과는 무엇인가? ● 시스템의 효율적 구성과 완벽한 성능 확보 ● 초기 투자비 절감 : 설계 품질 향상, 시공 중 시행착오 예방, 원가 절감 ● 준공 후 건물 운전 유지 관리 비용의 절감 ● 업무 효율성 향상 : 설계, 시공, 타 공종과의 통합적 업무 진행 및 조정
녹색건축인증이 수행하는 일은 무엇인가? 건축물의 경우 에너지 소비의 1/3, 자원소비의 40%, co2배출의 50%, 폐기물 배출의 20~50%를 차지하고, 철강 등 기초소재, 수도, 단열재 등 건축자재, 기계설비, 조경 등 산업에 대한 파급효과가 큰 분야라 할 수 있다. 이에 건축물의 자재 생산, 설계, 건설, 유지관리, 폐기 등 전 과정을 대상으로 에너지 및 자원의 절약, 오염물질의 배출감소, 쾌적성, 주변 환경과의 조화 등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대한 평가를 위한 녹색건축인증이 출범되었다. 이는 영국, 미국, 일본, 캐나다 등 선진 각 국에서 시행중에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국토교통부와 환경부가 연구기관 및 학계·업계의 의견을 들어, 녹색건축물 인증제도 시행 방침을 확정하여 2002년 1월부터 시행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ABC Commissioning Group (2016). www.commissioning.org. 

  2. AEI (2011). Commissioning plan for WCU: Harrill Residence Hall Renovation, PROJECT NUMBER: 10399-00. 

  3. ASHRAE (2016). www.ashrae.org. 

  4. Bob Gohn (2013). "Building optimization and commissioning services : A market analysis and forcast", Navigant research. 

  5. BRE Global Ltd. (2014). BREEAM UK New Construction Technical Manual SD5076 : 4.1 - 2014, UK. 

  6. Brian Davie (2013). "Building enclosure commissioning (BECx) : Practical project implementation", ACG 9th annual conference on total building commissioning, Chicago(Rosemont), IL, USA. 

  7. Choi, D. H., Kim, J. O., and Song, S. W. (2013). "The Study on Current State and Problems of Domestic Commissioning Based on Case Study",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Journal, 42(9), pp. 66-73. 

  8. Evan Mills (2009). "Building Commissioning", California Energy Commission Public Interest Energy Research (PIER). 

  9. Evan Mills (2010). "Making the Business Case for Building Commissioning", ACG 6th Annual Conference for Total Building Commissioning, Las Vegas, USA. 

  10. Green Building Council (2016). www.usgbc.org/leed, U.S. 

  11. Institute for Facilities Management (2016). www.appa.org. 

  12. KEITI (2016). www.g-seed.or.kr. 

  13. Korea Architects registration Board (2016). www.kirakarb.or.kr. 

  14. Korea Professional Engineer Architectural Execution Association (2016). www.kpea.or.kr. 

  15.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1). Korea building Machinary and equipment standard construction guide, Notification 2011 - 837, Korea. 

  16.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4). G-SEED Certification Criteria, Notification 2014 - 705, Korea. 

  17. National Institute of Building Sciences (2012). NIBS Guideline 3-2012 Building Enclosure Commissioning Process BECx. 

  18. National Institute of Building Sciences (2016). www.wbdg.org. 

  19. Park, S. C., Ahn, Y. C., Lee, K. H., (2013) "A study on the promotion of commissioning process for a public office building",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architectural sustainable environment and building system, June of KIAEBS, 7(2), pp. 79-85. 

  20. Park, S. C. (2014). "A study on the plan to promote TAB and commissioning", Busan university Doctor degree paper. 

  21. Paul, M. C. (2007). "Commissioning for LEED certification", High performance buildings 2007, Nashville, TN, USA. 

  22. Stum, K. (2008). "Under floor Air Distribution Systems and their Commissioning." Presented at the National Conference on Building Commissioning, April 23. 

  23. Yoon, J. H., An, Y. S., and Kim, B. S. (2007). "A study on the condensation and thermal environment according to window systems types installed for a extended-balcony apartment."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 7(5), pp. 87-92. 

  24. U.S. Green Building Council, Inc. (2014). LEED v4 for Building Design and Construction, U. S.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