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에너지 다소비 대학의 온실가스 배출 변화와 특성 - 온실가스 배출 규제 시행 이후의 변화를 중심으로 -
Research on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GHG Emissions by Major Energy-consuming Universities in Korea - Focused on the variation since the implementation of GHG emission regulation by Government - 원문보기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18 no.1, 2017년, pp.74 - 82  

정혜진 () ,  신인철 (성균관대학교 사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1년부터 온실가스 에너지 목표관리제와 같은 국가적 온실가스 감축 규제가 대학에도 적용되기 시작하면서 2000년대 급속한 증가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졌던 대학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2011년 이후 안정세 및 하락세를 보여 오고 있다. 따라서, 온실가스 배출 규제의 시행을 계기로 대학사회가 온실가스 에너지에 대한 관리를 강화하고 있고 그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고 이야기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보다 강력한 제도적 속성을 지닌 배출권거래제 시행 준비 시기에는 총량이 줄어드는 결과를 보이는 등 온실가스 다배출 대학을 중심으로 감소하는 추세로 전환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별 대학의 온실가스 감축 활동을 세부적으로 추적하지는 않았지만 온실가스 배출에 영향을 끼치는 주요 활동도 자료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 대학의 온실가스 배출이 2011년 이전에는 연구수혜액, 그리고 2013년 이후에는 연면적의 변화가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향후 대학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 설정 원단위는 연면적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되며, 보다 체계적인 대학의 온실가스 감축을 지원하기 위한 면적 단위 온실가스 배출량의 기준 수립과 관련 정보 공유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is known that energy usage from Korean Universities was growing rapidly in the early 2000s. But since 2011, the change was caused by GHG emissions regulation enforced by the governmen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find the characteristics and trends of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majo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후)대학 단위에서">대학단위에서 발생되어지고 있는 온실가스 배출 증가의 추세가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는지3) 탐색하고자 하였다. 다만, 현재는 모든 개별대학에 대한 정보는 공개 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지난 2010년 온실가스 다 배출기관으로 지정된 대학의 온실가스 배출량 변화를 추적하여 트렌드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4). 2010년 9월 환경부에서는 총 470개의 관리업체를 지정하였는데 후)변화특성을">변화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대학정보공시 자료 분석을 통해 배출량에 영향을 끼친 요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대학은 본 연구는 2000년대 초까지 급속도의 증가세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된 대학의 에너지 사용량과 온실가스 배출량이 온실가스 에너지 목표관리제, 배출권 거래제도와 같은 온실가스 배출규제 이후에는 어떤 양상으로 변화해 왔는지를 확인하고 이를 통해 제도 시행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일차적인 목적을 지니고 있다. 기존에는 에너지 사용량이 개별 기관 단위로 공표되지 않아서 후)이중">이 중 대학이 15개 지정되었다. 이때 지정된 15개 대학 중 조직경계의 변화가 없었던 14개 대학을 대상으로 2008년부터 2015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 변화 추이를 통해 2000년대 이후 대학의 온실가스 배출량 변화를 파악하고, 특히 온실가스 에너지 목표관리 이전과 이후의 대학 온실가스 변화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러 기관을 통해 발표된 것과 같이 2000년대 초반까지 대학단위에서 발생되어지고 있는 온실가스 배출 증가의 추세가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는지3) 탐색하고자 하였다. 다만, 현재는 모든 후)배출원 단위로">배출원단위로 활용되는 주요한 온실가스 배출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즉, 배출총량을 기준으로 온실가스 배출변화량을 추적할 경우 보유하고 있는 건물 면적의 증가에 따라 발생하는 온실가스 증가 속성이 반영되기 때문에 단위면적(㎡)당 온실가스 변화량의 추이를 통해 온실가스 배출집약도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14개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학의 온실가스 배출 활동도를 가장 잘 나타내는 지표는 무엇인가? 대학의 온실가스 배출 활동도를 가장 잘 나타내는 지표는 건물 연면적의 변화, 그리고 에너지 이용강도를 나타내는 구성원 수, 마지막으로 대학 본연의 기능과 관련 있는 교육 연구 활동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는 대학의 온실가스 배출 활동을 대표하는 지표라고 할 수 있다(Shin et al., 2012).
에너지절약 통계핸드북 자료를 바탕으로 한 녹색연합의 자료가 이목을 끈 이유는 무엇인가? 국내 대학의 에너지 소비량에 대해 알려져 있는 정보는 에너지 관리공단에서 2007년 발표한 에너지절약 통계핸드북 자료를 바탕으로 한 녹색연합의 자료가 대표적이다(Green Union, 2008). 당시 본 자료가 이목을 끈 이유는 개별 대학의 에너지 사용량이 처음으로 공개되었으며 2000년부터 7년 동안 대학의 에너지 사용량 증가율이 84.9%에 이르고, 이는 같은 기간 우리나라 전체 에너지 소비 증가량에 비해 3.7배나 높다는 문제제기를 한 점 때문이다. 비슷한 맥락의 정보가 2011년에 한번 더 발표되었는데, 본 자료에서도 2000년 13만 TOE (Ton of Oil Equivalent)였던 대학 에너지 사용량이2010년에는 26만 TOE를 소비하여 10년 만에 100%나 상승했고 같은 기간 우리나라 전체 에너지 소비 증가율 22.
우리나라 온실가스 다배출 대학의 배출총량의 추세는 어떠한가? 우리나라 온실가스 다배출 대학의 배출총량은 2008년 503,000여톤에서 2010년 약 553,000여톤까지 급속한 증가를 보이고, 이후 2013년까지는 완만한 증가를 나타냈으며 2013년 565,500톤을 정점으로 2015년 524,000톤까지 그 배출규모가 감소하는 추세이다. 2012년도 이후 온실가스 배출총량이 줄어든 반면에 교사시설면적이 약 800만㎡에서 899만㎡까지 꾸준히 상승한 점을 비추어볼 때 단위면적당 배출집약도는 유의성 있게 감소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Committee on Green Growth (2012). Long-term Development Plan of Green Campus. 

  2. Ferrer-Balas, D., J. Adachi, S. Banas, C. Davidson, A. Hoshikoshi, A. Mishra, Y. Motodoa, M. Onga and M. Ostwald. (2008).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of sustainability transformation across seven universities." International Journal of Sustainability in Higher Education, 9(3), pp. 295-316. 

  3. Greenhouse Gas Inventory & Research Center of Korea (2007-2015). GHG emissions information by company. 

  4. Green Union (2008). University alternative in the climate change era: Low Carbon Green Campus Guidebook. 

  5. Jung, H. J., and Woo, J. B. (2014). "Research on Cases of University Campus GHG Reduction and Energy Managem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Education, 27(3). pp. 416-429. 

  6. Kim, S. Y., Park, M. S., Lee, H. S., and Jung, H. J. (2013). "A Case Study of GHG Reduction Based on Electricity Consumption Pattern of Individual Rooms."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14(4). pp. 55-64. 

  7. Korean Council for University Education (2007-2015). Information Disclosure by University. 

  8. Korea Energy Agency (2007-2014). Energy (savings) statistics handbook. 

  9.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2014). Energy Census. 

  10.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2015). University GHG Inventory Building Guideline. 

  11. Linden, A. (2014). ITSA: Stata module to perform interrupted time series analysis for single and multiple groups. Statistical Software Components S457793, revised 29 Mar 2014, ed: Boston College Department of Economics. 

  12. Linden, A. (2015). "Conducting interrupted time-series analysis for single-and multiple-group comparisons." Stata Journal, 15, pp. 480-500. 

  13. Ministry of Environment (2009). "Development of practical program for spreading green campus." pp. 92-99. 

  14. Park, J. H., and Hong, T. H. (2010). "Improvements of Policies related Building Energy Reduction in Korea."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KICEM. 11(4). pp. 32-40. 

  15. Seo, D. H. (2014). "University's Green Campus Status."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ing of Korea, 43(1), pp. 52-59. 

  16. Shin, E. S., Jung, H. J., and Lee, S. M. (2012). "Development of the Guideline Applied for University on GHG Emission Inventory."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8(3), pp. 316-32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