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1형 당뇨병 자녀를 둔 부모의 불안, 당뇨관련 스트레스 및 외상 후 성장
The Anxiety, Diabetes-Related Distress and Posttraumatic Growth of Parents Who Have Child with Type 1 Diabete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7, 2017년, pp.257 - 268  

김미영 (을지대학교 간호대학) ,  강현주 (강원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1형 당뇨병 자녀를 둔 부모의 불안, 당뇨관련 스트레스 및 외상 후 성장의 정도에 대해 알아보고, 일반적 특성 및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차이와 각 변수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서술적 조사 연구로 자료수집은 2016년 1월 4일부터 29일까지 1형 당뇨 인터넷 카페에서 온라인 설문으로 이루어졌고 77명이 최종 분석에 포함되었다. 측정변수는 불안, 당뇨관련 스트레스, 외상 후 성장이었다. 통계분석은 t-test, Mann-Whitney U test, Kruskal-Wallis test와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부모가 종교가 있는 경우 외상 후 성장이 유의하게 높았고(p<.05), 자녀의 연령이 6세 미만인 경우(p<.05), 저혈당 경험이 있는 경우(p<.05)와 당화혈색소가 높은 경우(p<.05) 부모의 불안과 스트레스가 높았다. 그 외의 변수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상관관계에서는 불안과 스트레스가 정적 상관관계(r=.684, p<.001), 불안과 스트레스와 외상 후 성장은 부적 상관관계(r=-.401, p<.001; r=-.327, p<.05)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외상후 성장은 부정적인 정서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외상 후 성장을 도모할 수 있는 중재와 불안과 스트레스를 낮출 수 있는 중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nxiety, levels of diabetes-related distress, and post-traumatic growth of parents who have children with type 1 diabetes and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ifferences and variables based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disease-related charac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형 당뇨 자녀를 둔 부모의 불안, 당뇨관련 스트레스 및 외상 후 성장 정도를 조사한다.
  • 1형 당뇨 자녀와 부모의 일반적 특성과 자녀의 질병관련 특성을 파악한다.
  • 1형 당뇨병 자녀를 둔 부모의 불안, 스트레스와 같은 부정적인 정서를 낮추고, 외상 후 성장과 같은 긍정적인 정서를 높이기 위해서는 불안, 스트레스 및 외상 후 성장의 정도를 파악하고,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차이와 살펴보고 이들의 상관관계를 이해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당뇨 환아 부모의 불안, 당뇨관련 스트레스 및 외상 후 성장 정도 및 특성을 파악하여 부모의 정서에 대한 이해를 돕고, 부모의 부정적인 정서를 낮추고, 긍정적인 변화를 도모하는 간호 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1형 당뇨병 자녀를 둔 부모의 불안, 당뇨관련 스트레스 및 외상 후 성장 정도를 파악하고, 자녀와 부모의 일반적 특성 및 자녀의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고, 각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1형 당뇨병 자녀와 부모의 일반적 특성과 질병관련특성에 따른 부모의 불안, 당뇨관련 스트레스 및 외상 후 성정의 정도를 알아보고, 일반적 특성 및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차이와 각 변수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1형 당뇨병 자녀를 둔 부모의 대표적인 부정적인 정서인 불안과 스트레스와 긍정적인 정서인 외상 후 성장을 살펴보고 일반적 특성과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자녀의 연령이 어린 경우, 저혈당 경험이 있는 경우, 당화혈색소가 높은 경우 불안과 스트레스가 높았다.
  • 본 연구에서는 1형 당뇨병 자녀를 둔 부모의 불안, 당뇨관련 스트레스 및 외상 후 성장 정도를 알아보고, 일반적 특성과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차이점과 각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불안 점수의 총점은 14.
  • 본 연구에서는 당뇨 관련 특이적 도구를 사용하였으므로 스트레스 관련 비특이적인 도구를 사용한 경우나 다른 질병의 스트레스 수준과는 직접적인 비교는 할 수는 없었으나, 구체적으로 어떠한 측면에서 스트레스를 느끼는 지 등의 내용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스트레스가 가장 높은 항목은 ‘자녀가 당뇨를 가지고 살아야 한다는 것에 대한 걱정(두려움)’, ‘자녀가 당뇨를 가지고 살아야 한다는 것에 대한 우울함’으로 당뇨병 자체를 수용하는 것과 관련된 스트레스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당뇨병이란? 당뇨병이란 인슐린의 분비 장애 및 말초 조직 내의 인슐린에 대한 저항성의 증가로 발생하는 질병으로 1형, 2형 및 기타 종류로 분류되는데, 그 중 1형 당뇨병은 주로 아동에게서 발생하고, 베타세포의 파괴로 인슐린 결핍이 초래되어 인슐린을 평생 투약하고, 식이조절과 운동 및 합병증 예방을 위한 활동이 요구되는 특성이 있다[1]. 한국인의 1형 당뇨병 발생률은 코카시안에 비해 낮은데[2]1995-2000년 동안 한국의 15세 미만 청소년의 1형 당뇨병 연간발생률은 100,000명당 1.
1형 당뇨병의 특징은 무엇인가? 당뇨병이란 인슐린의 분비 장애 및 말초 조직 내의 인슐린에 대한 저항성의 증가로 발생하는 질병으로 1형, 2형 및 기타 종류로 분류되는데, 그 중 1형 당뇨병은 주로 아동에게서 발생하고, 베타세포의 파괴로 인슐린 결핍이 초래되어 인슐린을 평생 투약하고, 식이조절과 운동 및 합병증 예방을 위한 활동이 요구되는 특성이 있다[1]. 한국인의 1형 당뇨병 발생률은 코카시안에 비해 낮은데[2]1995-2000년 동안 한국의 15세 미만 청소년의 1형 당뇨병 연간발생률은 100,000명당 1.
외상 후 성장이 주는 변화는 어떤것이 있는가? 이와 같이 어려움을 극복함을 통해 의미를 깨닫는 심리적인 성숙을 경험하는 긍정적인 심리적인 변화에 대해 Tedeschi와 Calhoun[9]은 외상 후 성장(PosttraumaticGrowth; PTG)이라고 하였고, 이는 외상 이전의 적응수준을 뛰어 넘는 변형과 기능에서의 질적인 변화를 포함한다[9]. 고통스러운 사건에 대하여 먼저 부정적인 정서가 생기지만, 어려움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자기 자신에 대하여, 자신의 미래에 대하여, 주변 이웃에 대하여, 삶의 우선순위에 대하여, 영적인 측면에 대하여 긍정적인 변화가 있을 수 있는 것이다[10]. Tedeschi와 Calhoun[9]은 외상사건에는 전쟁, 재난, 테러, 사고뿐 아니라 일반적인 스트레스 범주를 넘어선 사건인 질병의 진단, 사랑하는 사람의 갑작스런 죽음, 재정적 파산과 같이 주관적으로 지각한 삶의 위기도 포함된다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Standards of medical care for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Puerto Rico Health Sciences Journal, vol. 20, no. 2, pp. 175-188, 2001. 

  2. M. H. Jeong, "Characteristics of Korean Type 1 Diabetes", Korean Society of Pediatric Endocrinology, vol. 10, no. 2, pp. 127-131, 2005. 

  3. C. H. Shin, "Epidemiologic characteristics of type 1 diabetes in children aged 14 years or under in Korea, 1985-2000",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vol. 51, no. 6, pp. 569-575, 2008. DOI: http://dx.doi.org/10.3345/kjp.2008.51.6.569 

  4. R. P. Hoffman, "Adolescent adherence in type 1 diabetes", Comprehensive therapy, vol. 28 no. 2, pp. 128-133, 2002. DOI: https://doi.org/10.1007/s12019-002-0050-8 

  5. Y. H. Yang, "The relationship with caregiving context and caregiving stress and social support for wives caregivers of chronic ill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vol. 7, no. 1, pp. 85-105, 1995. 

  6. J.S. Kim, M.H. Kim, "A study on family functioning and anxiety in family caregiver system of chronically ill patients", J Korean Acad Adult Nurs, vol. 10, pp. 289-301, 1998. 

  7. Lloyd, Cathy E., et al., "Association between stress and glycemic control in adults with type 1 (insulin-dependent) diabetes", Diabetes Care, vol. 22, no. 8, pp. 1278-1283, 1999. DOI: http://dx.doi.org/10.2337/diacare.22.8.1278 

  8. Polatinsky, Stefan, Yvette Esprey, "An assessment of gender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benefit resulting from the loss of a child", Journal of traumatic stress, vol. 13. no. 4, pp. 709-718, 2000. DOI: http://dx.doi.org/10.1023/a:1007870419116 

  9. R. G. Trdeschi, L. G. Calhoun,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Measuring the positive legacy of trauma", Journal of Traumatic Stress, vol. 9, no. 3, pp. 455-471, 1996. DOI: http://dx.doi.org/10.1002/jts.2490090305 

  10. R.G. Trdeschi, L.G. Calhoun, "Handbook of posttraumatic growth: research and practice,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2006. 

  11. J. S. Jun, K. H. Shin, W. S. Gim, J. H. Kwon, "The Influence of Diabetes Stress on Depression: The Moderating Effects of Individual Variable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vol. 12, no. 4, pp. 851-868, 2007. DOI: https://doi.org/10.17315/kjhp.2007.12.4.011 

  12. T.Y. Kwon. A study of psychosocial adjustment of 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 adolenscents, The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2003. 

  13. Faul, F., Erdfelder, E., Buchner, A., Lang, A. G.,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vol. 41, pp. 1149-1160, 2009. DOI: http://dx.doi.org/10.3758/brm.41.4.1149 

  14. M. Sohn, E. Y. Kim, J. E. Lee, K. H. Kim, "Exploring Positive Psychology of Children with Type 1 Diabetes Focusing on Subjective Happiness and Satisfaction with Life",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ol. 21, no. 2, pp. 83-90, 2015. DOI: https://doi.org/10.4094/chnr.2015.21.2.83 

  15. C. D. Spielberger, R. L. Gorsuch, R. E. Lusche STAI Manua, Palo Alto, California :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1970. 

  16. Mairtin S. McDermott, Theresa M. Marteau, Gareth J. Hollands, Matthew Hankins, Paul Aveyard, "Change in anxiety following successful and unsuccessful attempts at smoking cessation: cohort study",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vol. 202, pp. 62-67, 2013. DOI: http://doi.org/10.1192/bjp.bp.112.114389 

  17. H. S. Park,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Korean diabetes stress questionnaire, Gachon University of Medicine and Science, School of Medicine, 2011. 

  18. W. H. Polonsky, B. J. Anderson, P.A. Lohrer, G. Welch, A. M. Jacobson, J. E. Aponte, C. E. Schwartz, "Assessment of diabetes-related distress", Diabetes Care, vol. 18, pp. 754-760, 1995. DOI: https://doi.org/10.2337/diacare.18.6.754 

  19. S.H. Song, H.S. Lee, J.H. Park, K.H. Kim,.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vol. 14, pp. 193-214, 2009. DOI: https://doi.org/10.17315/kjhp.2009.14.1.012 

  20. M. E. Hilliard, M. Monaghan, F. R. Cogen, R. Streisand, "Parent stress and child behaviour among young children with type 1 diabetes", Child Care Health Dev, vol. 37, no. 2, pp. 224-232, 2010. DOI: http://dx.doi.org/10.1111/j.1365-2214.2010.01162.x 

  21. J. M. Butler, M. Skinner, D. Gelfand, C. A. Berg, D. J. Wiebe, "Maternal Parenting style and adjustment in adolescents with type 1 diabetes" Journal of Pediatric Psychology, vol. 32, no. 10, pp. 1227-1237, 2007. DOI: https://doi.org/10.1093/jpepsy/jsm065 

  22. E. J. Kim,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family functioning in families with chronically ill children. The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1992. 

  23. Y. H. Kwan, A Comparative Study on Stress and Coping Behavior of Fathers Who Have Chronically Ill Children and Fathers with Well Children, Sookmyoung Woman's University, 2002. 

  24. Sato, E. "Socio-psychological problem of patients with late adolescent on set type1 diabetes-analysis by qualitative research", Nagoya journal of medical science, vol. 66, no. 1-2, pp. 21-29. 2003. 

  25. D. H. Kim, "Effective Management of Chronic Somatic Disease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Journal of nursing query, vol. 6, no. 2, pp. 9-24, 1997. 

  26. I. Hungerbuehler, M. E. Vollrath, M. A. Landolt, "Posttraumatic growth in mothers and fathers of children with severe illnesses",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vol. 16, no. 8, pp. 1259-1267, 2011. DOI: http://dx.doi.org/10.1177/1359105311405872 

  27. H. J. Kim, J. H. Kwon, J. N. Kim, R. Lee, K. S. Lee, "Posttraumatic Growth and Related Factors in Breast Cancer Survivors",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vol. 13, no. 3, pp. 781-799, 2008. DOI: https://doi.org/10.17315/kjhp.2008.13.3.013 

  28. M.J. Cordova, L.L. Cunningham, C.R. Carlson, M.A. Andrykowski, M. A. "Posttraumatic growth following breast cancer: a controlled comparison study." Health Psychology, vol. 20, no. 3, pp. 176-185. 2001. DOI: https://doi.org/10.1037/0278-6133.20.3.176 

  29. Vrijmoet-Wiersma, C. M. Jantien, et al., "Assessment of parental psychological stress in pediatric cancer: A review", Journal of Pediatric Psychology, vol. 33, no. 7, pp. 694-706, 2008. DOI: https://doi.org/10.1093/jpepsy/jsn007 

  30. Devlieger, Patrick J., and Gary L. Albrecht. "Your experience is not my experience: the concept and experience of disability on Chicago's near west side", Journal of Disability Policy Studies, vol. 11, no. 1, pp. 51-60, 2000. DOI: https://doi.org/10.1177/104420730001100115 

  31. I. S. Park, S. J. Kim, K. A. Kang, T. H. Kim, "Analysis of fatigue perceived by the hospitalized children's mother", J Korean Acad Child Health Nurs, vol. 10, no. 1, pp. 80-88, 2004. 

  32. Y. I. Lee, "Parents of a child admitted to a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stress level and coping type", Korea Nursing Science Society Fall Conference, vol. 10, pp. 85, 2008. 

  33. P. A. Linley, S. Joseph, "Positive change following trauma and adversity: A review", Journal of Traumatic Stress, vol. 17, no. 1, pp. 11-21. 2004. DOI: https://doi.org/10.1023/B:JOTS.0000014671.27856.7e 

  34. R. J. Fazio, L. M. Fazio. "Growth through loss: Promoting healing and growth in the face of trauma, crisis and loss", Journal of Loss and Trauma, vol. 10, no. 3, pp. 221-252. 2005. DOI: http://dx.doi.org/10.1080/15325020590928207 

  35. Bonner, Melanie J., et al., "Brief report: Psychosocial functioning of fathers as primary caregivers of pediatric oncology patients", Journal of Pediatric Psychology, vol. 32, no. 7, pp. 851-856, 2007. DOI: https://doi.org/10.1093/jpepsy/jsm011 

  36. Y. K. Cho, "The change of social structure and fathering in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Converging Humanities. vol. 2, no. 1, pp. 83-112, 2014. DOI: http://dx.doi.org/10.14729/converging.k.2014.2.1.83 

  37. B. E. Lee, et al. "Clinical Evaluation of Hypoglycemic Symptoms Reported by Children with 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and by Their Parents",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vol. 44, no. 4, pp. 450-455, 2001. 

  38. W. O. Kim, H. S. Kang, K. J. Cho, Y. A. Song, E. S. Ji, " Comparative Study on Parenting Stress, Guilt, Parenting Attitude, and Parenting Satisfaction Between Mothers with a Hemophilic Child and a Healthy Child",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ol. 14, no. 4, pp. 270-277, 2008. DOI: https://doi.org/10.4069/kjwhn.2008.14.4.270 

  39. Wild, Diane, et al.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on fear of hypoglycemia in diabetes: Implications for diabetes management and patient education."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vol. 68. no. 1, pp. 10-15, 2007. DOI: https://doi.org/10.1016/j.pec.2007.05.003 

  40.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Standards of medical care in diabetes", Diabetes Care, vol. 36, pp. s11-s66. 2013. DOI: http://dx.doi.org/10.2337/dc13-S011 

  41. International Society for Pediatric and Adolescent Diabetes. Global IDF/ISPAD guideline for diabetes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2011. Retrieved May 1, 2016 from http://www.idf.org/sites/default/files/Diabetesin-Childhood-and-Adolescence-Guidelines.pdf 

  42. C. I. Hong, Pediatrics, Korean Textbooks Corporation, Seoul, 2008. 

  43. J. Y. Kim, D. H. Ahn, B. J. Koh, Y. K. Lee, H. K. Lee, H. S. Hwang, " Parenting Stress and Support System in Parents of Child Neuropsychiatric Out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vol. 41, no. 6, pp. 1130-1141, 2002. 

  44. Davis, Christopher G., Susan Nolen-Hoeksema, and Judith Larson. "Making sense of loss and benefiting from the experience: two construals of mean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75. no. 2, pp. 561. 1998. DOI: http://dx.doi.org/10.1037/0022-3514.75.2.56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