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재단의 운영실태와 문제점
What are the Community Foundation Doing, and What Difficulties do They Hav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8, 2017년, pp.226 - 240  

노혜진 (KC대학교 계약학과) ,  이현옥 (중앙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증가하고 있는 지역재단의 활동에 주목하여, 지역재단의 역사가 길지 않은 한국의 현실에서 과연 지역재단의 정체성이 무엇이고, 어떻게 운영되며, 어떠한 어려움에 직면해 있는지를 심층적으로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민간과 지자체 지역재단에서 활동하는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통한 사례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지역재단의 정체성 규정에 있어 설립주체에 따른 구분보다 지역을 위해 무엇을 하고 있는가를 중요하게 생각하였고, 사업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모금을 지역재단의 중요한 성과로 보았다. 지역재단 운영과정에서 제도적 정치적 환경의 문제, 조직역량의 미흡으로 인한 모금의 어려움, 지역재단 정체성 확립에서의 문제, 지역내 다른 기관들과의 관계 및 주민참여의 문제, 역량부족과 제도적 불안정 문제로 인해 어려움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지역재단이 지역문제해결의 중간지원조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적 상황에 맞는 정체성 수립과 모델 개발, 중간지원조직으로서의 기능 강화, 지역재단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행정적 제도적 지원방안 마련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in depth what is the identity of the community foundation, how it operates, and what difficulties it fac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5 practitioners working in community foundat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

주제어

표/그림 (5)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민간재단과 지자체 재단은 모금 방식에서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 대부분 재단에서 모금압박을 경험한 반면, 구체적인 모금방식에 있어서는 차이를 보였다. 민간재단의 경우는 공동의제를 발굴하여 지역 조직들과 연합모금 형태를 지향하고 있었으며, 지자체 재단의 경우는 대체로 관의 지원을 통해 모금활동을 하고 있었다. 또한 지역재단들은 지역공동체를 지원하는 사업을 수행하였고, 사회복지 영역으로 범위를 제한하지 않고 다양한 분야를 시도하고 있었고, 운영방식에서는 지역 네트워크를 활용하는 방식으로 사업을 행하였다.
세계지역재단협의회 연구에 따르면 지역재단의 성격은 무엇에 의해 정의되는가? 세계지역재단협의회 연구에 의하면, 지역재단의 성격은 배분, 지역주민에 대한 책임, 지역 기부자 모색, 지역사회 통합과 신뢰의 형성, 지역주민을 조직의 리더로 세워나가기, 기부자의 욕구를 반영하기 등의 순으로 정의된다. 한편, 지역재단은 지역 내에서 리더십을 발휘하는 구체적인 양상은 배분기관간 협력을 촉진, 지역조직 대상 훈련, 지역의 관심 이슈 제기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재단의 정의가 한국 상황에 정확하게 접목시키기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 그런데 이러한 정의를 한국 상황에 정확하게 접목시키기는 어렵다. 왜냐하면 한국에는 법적지위는 민간조직이지만, 실제로는 지자체가 설립한 지역재단들이 훨씬 많고, 이들 역시 지역문제 해결을 조직의 핵심 목표로 상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 상황에 맞는 지역재단의 개념을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에 대한 충분한 논의 없이, 선행연구에서는 지자체 주도의 지역재단을 제외하거나, ‘지역단체’, ‘지역재단 관련 유사재단’, 혹은 ‘지역복지재단’, ‘기초자치단체 복지재단’으로 명명하며 별개의 것으로 구분하는데 그치고 있다[7-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김교성, 노혜진, "지역 빈곤의 격차와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61권, 제2호, pp.85-106, 2009. 

  2. 김진석, "복지국가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재정, 전달체계, 사회서비스 인력 수급을 중심으로," 2014 사회정책연합 공동학술대회 자료집, 2014. 

  3. 강내영, "일본 중간지원조직의 운영현황과 시사점," 3차 농어촌형 사회적기업 활성화 포럼 자료집, 지역재단, 2011. 

  4. 양용희, "한국의 지역재단과 중간지원기관의 역할," NGO연구, 제8권, 제1호, pp.65-82, 2013. 

  5. 박원순, 지역재단이란 무엇인가, 서울: 아르케, 2011. 

  6. 김미현, 태미화, 서울형 지역재단 모델 개발 연구보고서, 서울시복지재단, 2014. 

  7. 최인수, 김건위, 양은경, 한국형 지역재단 모델 개발 연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6. 

  8. 정무성, 양용희, 김가희, 이동우, 지역사회에서의 민간재원 활성화 방안-지역재단을 중심으로, 한국 사회복지협의회, 2009. 

  9. 전병주, "기초자치단체 복지재단의 실태 및 활성화 방안,"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2권, 제2호, pp.61-67, 2014. 

  10. 한인섭, 김정렬, "지역복지재단의 운영 실태와 제도화에 대한 연구," 한국거버넌스학회 학회보, 제21권, 제3호, pp.125-148, 2014. 

  11. 김미현, 김범용, 박성호, 이형진, 지속가능한 지역재단 운영방안 연구, 서울시복지재단, 2015. 

  12. 안상훈, 노혜진, 김수완, 김영미, 이현옥, 김윤지, 김희진, 나눔을 둘러싼 사회경제적 환경변화와 모금회의 대응,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나눔연구소, 2016. 

  13. WINGS, "Community Foundation Global Status Report 2010," WINGS, 2010. 

  14. http://communityfoundationatlas.org/facts/ 

  15. 아름다운재단, 지역기부문화 활성화를 위한 지역재단 연구보고서, 아름다운재단, 2007. 

  16. 정무성, 배도, 이은화, 정진용, 조상미, 구혜영, 정가원, 나눔문화 활성화 방안 연구-풀뿌리모금 활성화와 투명성 강화를 중심으로, 보건복지부.한국사회복지협의회, 2011. 

  17. 김미현, "지역특성에 따른 지역재단 진입사례,"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학술대회, 2014. 

  18. 김미현, "국내 지역재단 유형 및 정책과제,"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pp.239-265, 2015. 

  19. WINGS, "Infrastructure In Focus: A Special Look at Organizations Serving Community Philanthropy," WINGS, 2014. 

  20. 이지숙, "지역복지재단의 실태 및 방향성에 관한 연구," 한국공공관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pp.3-17, 2016. 

  21. R. Yin, 신경식.서아영 역(2011), 사례연구방법, 서울: 한경사, Case Study Research: Design and Methods(4th ed), 2009. 

  22. H. Simons, Case Study Research in Practice, CA: Sage, 2009. 

  23. 노혜진, "가족 안에서 여성은 어떻게 빈곤을 경험하는가?,"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제6권, 제2호, pp.67-101, 2012. 

  24. 고미영, 질적사례연구, 서울: 청목출판사, 2009. 

  25. Deborah K. Padgett, Qualitative methods in social work(2nd), CA: Sage, 2008. 

  26. 이유나, "국내 PR학 분야의 사례연구방법 적용에 대한 고찰," 홍보학연구, 제10권, 제2호, pp.38-60, 2006.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