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효율적인 수자원관리를 위한 범주형 확률장기예보의 예측력 평가 및 정량화
Assessment of predictability of categorical probabilistic long-term forecasts and its quantification for efficient water resources management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50 no.8, 2017년, pp.563 - 577  

손찬영 (수문기상협력센터) ,  정예림 (수문기상협력센터) ,  한수희 (수문기상협력센터) ,  조영현 (한국수자원공사)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후변화로 인해 강수의 불확실성이 증가하는 현 시점에서 효율적인 물 관리를 위한 계절예측 및 기상 예보의 활용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상청에서 2014년 6월부터 시행하고 있는 범주형 확률장기예보를 Hit Rate, Reliability Diagram, Relative Operating Curve (ROC)의 평가지표를 활용하여 예측력을 검증하였고, 추가적으로 확률예보를 활용하여 정량적인 예측 강수량을 생산하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확률장기예보의 예측력 검증결과 최대 48%의 예측력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확률예보를 활용하여 예측 강수량을 추정한 결과, 정량적으로 관측 자료와 유사하게 모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예측 적합도 평가결과 100%의 정확도를 가진 예보의 경우 최대 0.98, 실제 예보의 경우 최대 0.71의 상관계수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확률예보를 활용한 예측 강수량 추출기법은 강수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물 관리를 가능하게 해줄 것으로 판단되며 효율적인 수자원 장기 이수계획 및 저수지 운영의 의사결정지원 등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the uncertainty of precipitation increases due to climate change, seasonal forecasting and the use of weather forecasts become essential for efficient water resources management. In this study, the categorical probabilistic long-term forecasts implemented by KMA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수자원 분야에 1개월 및 3개월 범주형 확률장기예보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확률장기예보에 대한 예측력 검증이 선행되어야 하며 추가적으로 정성적인 확률장기예보자료를 활용하여 불확실성을 포함한 강수자료로 정량화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범주형 확률장기예보를 Hit rate 등 Anders (2011)와 KMA (2014)에서 제안하는 다양한 검증기법을 통해 예측력을 판단하였고, 범주형 확률장기예보를 저수지 운영계획 등에 활용하고자 불확실성을 포함한 정량적 강수량 산출기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미래 불확실성을 고려한 이수측면의 수자원 운영 및 관리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본 연구는 기상청에서 공식적으로 예보하고 있는 1개월 및 3개월 범주형 확률장기예보에 대하여 예측력을 검증하고 범 주형 확률장기예보를 댐 저수지 운영계획 등 수자원 운영 및 관리 분야에 활용하기 위하여 범주형 확률장기예보에서 제시하는 각 범주별 예보확률을 이용한 강수량 추정기법을 제안하였다. 용담댐 및 남강댐유역에 대한 확률장기예보의 예측력 검증결과, 전체적으로 약 30~40%의 예측력을 보였는데 특히, 용담댐유역 대전 ‧ 세종 ‧ 충청남도지역의 3개월 예보의 경우는 최대 48%의 예측력을 보였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 제안한 범주형 확률장기예보를 활용한 예측 강수량 산정기법이 정량적으로 예측 강수량을 적절히 추출할 수 있는지 검토하기 위해 2014년 6월부터 2016년 6월까지 각 월별 관측된 강수의 범주(높음, 비슷, 낮음)를 모두 정확하게 예보했다고 가정하였다. 예를 들어 2014년 6월의 관측된 실제 강우량이 6월의 평년 강우량 대비 높았다면 각 범주별 확률 PBN, PNN, PAN은 각각 0%, 0%, 100%로 가정되어 예측 강수량 추출을 위한 범주별 예보 확률로 활용하게 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기 기상예측정보의 특징은? 최근 이상기후로 인해 강수량의 불확실성이 가중되고 홍수, 가뭄 등 수재해의 발생빈도 및 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안정적인 용수공급 등 수자원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장기 기상예측기반의 수자원관리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장기 기상예측정보는 수자원의 효율적인 이용 및 증가되는 수요와 불확실한 공급에 대한 의사결정을 지원해주며 가뭄 대비를 위한 물 공급 제한 등에 활용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정보이다. 현재 수자원 분야에서 장기 수자원의 효율적인 공급 및 운영을 위해 매년 10월부터 다음 해 6월까지 댐 저수지 수위 운영 및 홍수기 대비 운영 목표 수위 계획을 수립 및 운영하고 있지만, 장기예보 자료의 불확실성 및 수문해석 모형 입력 자료로의 활용 어려움, 정성적인 자료 제공, 예측 자료의 검증 미흡 등으로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장기예보를 참고할 뿐 실제로는 과거 관측 자료에 기반을 둔 빈도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댐 운영 계획을 수립하고 있는 실정이다.
물 관리 계획과 관련된 연구 동향은? 물 관리 계획을 위해 국 ‧ 내외에서는 과거 자료를 활용하여 강수량 및 유량을 예측하는 방법과 장기예보 자료에 기반을 둔 방법을 주로 활용하고 있다. 이와 관련된 연구동향을 살펴보면 Simpson et al. (1993)은 예측 가능한 태평양 지역의 해수면온도 자료를 이용하여 하천의 연유출량을 예측하고 설정된 범주(BN, NN, AN)에 대해 연간 하천 유출량의 확률들을 추정하는 기법을 제안한 바 있다. 또한 Croley (2000)는 범주형 확률강수예보를 활용하여 표본시나리오에 가중 값을 부여하는 방법을 제시한 바 있으며, Stedinger and Kim (2010)은 확률밀도함수를 이용하여 표본시나리오에 가중 값을 부여하는 PDF-ratio방법을 제안한 바 있다. Gouweleeuw et al. (2005)는 범주형 중장기 기상예보자료와 강우-유출모형을 조합하여 1995년과 1997년의 홍수사상에 대하여 분석을 수행한 바 있으며, Kang et al. (2005)은 중장기 수자원 운영 및 관리에 활용하고자 수치예보와 월 강수 전망을 조합하여 Ensemble Streamflow Prediction (ESP)기법을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한 바 있다. 추가적으로 Kim et al. (2011)은 금강유역을 대상으로 구성된 바 있는 RRFS (Rainfall-Runoff Forecasting System)-ESP시스템에 PDF-ratio방법을 기반으로 한 사전 처리기능을 추가하여 보다 효율적인 중장기 예측시스템으로의 확장을 시도한 바 있으며, Kang (2013)은 해수면온도(Sea Surface Temperature, SST)와 북반구 500 hPa 지위고도 (Geopotential Height, GPH) 자료로부터 선정된 예측인자를 이용하여 안동댐 계절별 유입량에 대한 카테고리 확률예측과 조건부 확률밀도함수에 의한 예측을 수행한 바 있다. Yu et al. (2014)은 강수량과 기온에 대한 3개월 예보자료를 이용하여 각 월별 앙상블을 생성하고 HBV (Hydrologiska Byrans Vattenbalansavdelning) 물수지 모형에 입력하여 물 부족을 확률적으로 전망하는 방법을 제시한 바 있다.
장기예보 자료의 한계점은? 장기 기상예측정보는 수자원의 효율적인 이용 및 증가되는 수요와 불확실한 공급에 대한 의사결정을 지원해주며 가뭄 대비를 위한 물 공급 제한 등에 활용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정보이다. 현재 수자원 분야에서 장기 수자원의 효율적인 공급 및 운영을 위해 매년 10월부터 다음 해 6월까지 댐 저수지 수위 운영 및 홍수기 대비 운영 목표 수위 계획을 수립 및 운영하고 있지만, 장기예보 자료의 불확실성 및 수문해석 모형 입력 자료로의 활용 어려움, 정성적인 자료 제공, 예측 자료의 검증 미흡 등으로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장기예보를 참고할 뿐 실제로는 과거 관측 자료에 기반을 둔 빈도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댐 운영 계획을 수립하고 있는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Croley II, T. E. (2000). Using meteorology probability forecasts in operational hydrology. ASCE Press, p. 206. 

  2. Gouweleeuw, B. T., Thielen, J., Franchello, G., De Roo, A. P. J., and Buizza, R. (2005). "Flood forecasting using medium-range probabilistic weather prediction." Hydrology and Earth System Sciences, Vol. 9, No. 4, pp. 309-368. 

  3. Kang, B., Rleu, S. Y., and Ko, I. H. (2005). "Long-term streamflow prediction for integrated real-time water management system.",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2005, KWRA 

  4. Kang, J. W. (2013). "Probabilistic forecasting of seasonal inflow to reservoir."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Vol. 22, No. 8, pp. 965-977. 

  5. Kim, J. C., Kim, J., and Lee, S. J. (2011). "Improvement of mid/long-term ESP scheme using probabilistic weather forecasting."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4, No. 10, pp. 843-851. 

  6. KMA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4). The improvement of regional long-term forecast system. KMA Publication No. 11-136000-001095-14, KMA, pp. 65-73. 

  7. KMA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6). A forecast characteristics analysis technical note of GloSea5. KMA, pp. 3-14. 

  8. Persson, A., Andersson, E., and Tsonevsky, I. (2015). User guide to ECMWF forecast products. Ver.1.2, ECWMF, pp. 101-113. 

  9. Simpson, H. J., Cane, M. A., Herczeg, A. L., Zebiak, S. E., and Simpson, J. H. (1993). "Annual river discharge in Southeastern Australia related to El Nino-southern oscillation forecasts of sea surface temperature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34, No. 11, pp. 3035-3044. 

  10. Stedinger, J. R., and Kim, Y. O. (2010). "Probabilities for ensemble forecast reflecting climate information." Journal of Hydrology, Vol. 391, pp. 9-23. 

  11. Yu, P. S., Yang, T. C., Kuo, C. M., and Wang, Y. T. (2014). "A stochastic approach for seasonal water-shortage probability forecasting based on seasonal weather outlook." Water Resources Management, Vol. 28, No. 12, pp. 3905-392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