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주질환이 심뇌혈관질환 발생에 미치는 영향: 지역결핍과 개인소득을 중심으로
Effects of Periodontal Disease on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A Focus on Personal Income and Social Deprivation 원문보기

치위생과학회지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v.17 no.4, 2017년, pp.375 - 381  

김민영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인문사회치의학교실) ,  신호성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인문사회치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02~2013년도 국민건강보험공단 표본 코호트자료를 활용하여 만 40세 이상 치주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CVD 누적 치료 경험률 및 개인의 소득과 지역의 CDI의 차이에 따른 치료 경험률을 파악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치주질환이 있는 대상자에서 고혈압은 34.3%, 뇌졸중은 12.6%의 누적 치료 경험률이 확인되었다. 둘째, 치주질환이 있는 대상자에서 지역적 차이(CDI)에 따른 고혈압의 치료 경험률의 차이는, CDI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치료 경험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01). 셋째, 치주질환이 있는 대상자에서 소득분위에 따른 고혈압 치료 경험률의 차이는, 소득분위가 낮은 집단에서 치료 경험률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p<0.001). 넷째, 치주질환이 있는 대상자에서 지역적 차이(CDI)에 따른 뇌졸중 치료 경험률의 차이는, CDI가 높을수록 뇌졸중 치료 경험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01). 다섯째, 치주질환이 있는 대상자에서 소득분위에 따른 뇌졸중 치료 경험률의 차이는, 소득분위가 높아질수록 뇌졸중의 치료 경험률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p<0.001). CVD와 치주질환의 관계에 지역의 CDI와 개인의 소득은 역의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국민의 구강 및 보건의료 소비에 있어 사회경제적, 지역간 격차 해소에 대한 정책적 대안으로, 사회경제적 취약계층에 대한 보건의료서비스 제공으로 보건의료에 대한 접근성 개선과, 공공의료기관의 확충으로 보건의료서비스의 지리적 접근성 취약지를 해결하고 동시에 보건의료서비스의 이용 가능성을 높이는 등 다각적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fferences between personal income and social deprivation on the association between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hypertension, stroke) and periodontal disease. This study used 12 years of cohort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CVD뿐 아니라 치주질환 같은 만성질환은 건강상태 및 유전적 요인 이외에도 다양한 사회경제적 요인이 작용하여 발생하게 된다16,17).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자의 기본 특성을 살펴본 후, 치주질환에서 개인의 소득과 지역결핍의 차이가 고혈압, 뇌졸중 등의 CVD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코호트 자료를 활용하여 평가하고자 한다.연구대상 및 방법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심뇌혈관질환의 주요 위험 인자는? 심뇌혈관질환(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CVD)의 주요 위험 인자인 고혈압 유병률은 2014년에 25.5%로 보고되었다1).
심뇌혈관질환의 지속적 관리가 중요한 이유는? 5%로 보고되었다1). 우리나라의 단일 질환 사망 원인 1위인 뇌졸중 발생률은 연령이 높아질수록 증가하고 있으며, 2030년에는뇌졸중 발생이 약 3배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CVD의 예방 및 지속적 관리는 매우 중요해졌다2). 기존 연구에서 CVD의발생에 있어 주요 위험인자 중 하나로 치주감염을 제시하고있다3-5).
CVD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개인의 소득, 교육수준, 지역적 결핍 등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라 CVD에 영향을 미치는 결과가 확인되었다9-13). 사회경제적 수준이 낮을수록 CVD의 발생이 높아지며9), 개인의 소득이 높을수록 CVD 사망률이 감소된다고 보고되었다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Park YH: Research and review the implementation decree for the act on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cardiovascular diseas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Seoul, pp.8-10, 2016. 

  2. Clinical Research Center For Stroke: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stroke. 2nd ed. Clinical Research Center For Stroke, Seoul, pp.1-24, 2013. 

  3. Dave S, Van Dyke T: The link between periodontal disease and cardiovascular disease is probably inflammation. Oral Dis 14: 95-101, 2008. 

  4. Jepsen S, Kebschull M, Deschner J: Relationship between periodontitis and systemic diseases. Bundesgesundheitsblatt Gesundheitsforschung Gesundheitsschutz 54: 1089-1096, 2011. 

  5. Sfyroeras GS, Roussas N, Saleptsis VG, Argyriou C, Giannoukas AD: Association between periodontal disease and stroke. J Vasc Surg 55: 1178-1184, 2012. 

  6. Kawabata Y, Ekuni D, Miyai H, et al.: Relationship between prehypertension/hypertension and periodontal disease: a prospective cohort study. Am J Hypertens 29: 388-396, 2016. 

  7. Joshipura KJ, Hung HC, Rimm EB, Willett WC, Ascherio A: Periodontal disease, tooth loss, and incidence of ischemic stroke. Stroke 34: 47-52, 2003. 

  8. Chou SH, Tung YC, Lin YS, et al.: Major adverse cardiovascular events in treated periodontitis: a population-based follow-up study from Taiwan. PLoS One 10: e0130807, 2015. 

  9. Woodward M, Oliphant J, Lowe G, Tunstall-Pedoe H: Contribution of contemporaneous risk factors to social inequality in coronary heart disease and all causes mortality. Prev Med 36: 561-568, 2003. 

  10. Im JS, Choi DK, Yim J, et al.: Socioeconomic differentials in stroke and cardiovascular disease mortality in Korea. Korean J Health Educ Promot 23: 109-119, 2006. 

  11. Zhou G, Liu X, Xu G, Liu X, Zhang R, Zhu W: The effect of socioeconomic status on three-year mortality after first-ever ischemic stroke in Nanjing, China. BMC Public Health 6: 227, 2006. 

  12. Jung-Choi K, Khang YH, Cho HJ: Changes in contribution of causes of death to socioeconomic mortality inequalities in Korean adults. J Prev Med Public Health 44: 249-259, 2011. 

  13. Singh GK: Area deprivation and widening inequalities in US mortality, 1969-1998. Am J Public Health 93: 1137-1143, 2003. 

  14. Jung SW, Cho YT: Neighborhood characteristics and individual health under Korean context. J Prev Med Public Health 38: 259-266, 2005. 

  15. World Health Organization: Health 2020: A European policy framework and strategy for the 21st century. WHO Regional Office for Europe, Copenhagen, pp.1-26, 2012. 

  16. House JS: Understanding social factors and inequalities in health: 20th century progress and 21st century prospects. J Health Soc Behav 43: 125-142, 2002. 

  17. Wallace D: Kevin Fitzpatrick and Mark LaGory (2011): Unhealthy cities: poverty, race, and place in America. New York: Routledge. Int J Urban Reg Res 38: 1923-1925, 2014. 

  18.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Big Data: Sample DB fourth-quarter educational materials.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Wonju, pp.105-169, 2015. 

  19. Shin H, Lee S, Chu JM: Development of composite deprivation index for Korea: the correlation with standardized mortality ratio. J Prev Med Public Health 42: 392-402, 2009. 

  20. Kim HS, Kim MK, Shin HS: Expenditure in ambulatory dental care and factors related to its spending. Health Policy Manag 22: 207-224, 2012. 

  21. Chai GM: Advanced statistics by using SPSS and AMOS. Yangseowon, Paju, pp.71-160, 2014. 

  22. Sim JH, Ahn DC, Son MA: Difference of area-based deprivation and education on cerebrovascular mortality in Korea. Health Policy Manag 22: 163-182, 2012. 

  23. Shin HS, Kim DJ: The evolution of health and utilization inequalities over time. In-depth analyses of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health interview and health behavior survey part.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Seoul, pp.405-438, 2007. 

  24. Shi L, Lebrun LA, Tsai J: Access to medical care, dental care, and prescription drugs: the roles of race/ethnicity, health insurance, and income. South Med J 103: 509-516, 2010. 

  25. Lu JF, Leung GM, Kwon S, Tin KY, Van Doorslaer E, O'Donnell O: Horizontal equity in health care utilization evidence from three high-income Asian economies. Soc Sci Med 64: 199-212, 2007. 

  26. Shin HW, Shin JW, Song JC, Kong YH, Yu CH, Shin JK: A study on the feasibility and supporting method of supporting the operation cost of the low income elderly.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Affairs, Sejong,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