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최근 중의학에서 시스템생물학의 발전 현황 - 한의학에 미치는 영향 및 시사점을 중심으로 -
Current Status of Systems Biology i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 in regards to influences to Korean Medicine 원문보기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Journal of Society of Preventive Korean Medicine, v.21 no.2, 2017년, pp.1 - 13  

이승은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  이선동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is paper serves to explore current trends of systems biology i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TCM) and examine how it may influence the Traditional Korean medicine. Methods : Literature review method was collectively used to classify Introduction to systems biology, diagnosis and synd...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중국에서 시스템생물학과 중의학을 융합시켜 발전하고 있는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한의학에 미치는 영향 및 시사점을 알아보고자 한다.
  • 시스템생물학의 개념 및 중의학에서 이를 어떻게 적용하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중국의 많은 인구수나 정부의 지원 등의 환경적 차이35) 를 고려하면 당연한 결과라 할 수도 있겠으나, 중의학에서의 시스템생 물학 연구는 한의학보다 월등히 앞서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그 결과, 중국의 많은 인구수나 정부의 지원 등의 환경적 차이35) 를 고려하면 당연한 결과라 할 수도 있겠으나, 중의학에서의 시스템생 물학 연구는 한의학보다 월등히 앞서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본 논문의 목적은 단순히 중국이 연구개발에서 앞서고 있음을 주장하는 데에 있지 않고, 중국에서 시스템생물학을 활용한 연구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고, 현재 이 분야의 학문적 중요도가 높다는 것과, 나아가 중국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의학이 더욱더 발전시켜나갈 수 있음을 표방하는 것이다.
  • 본 논문에서는 최근 중의학에서 시스템생물학의 발전현황을 진단 및 증 체계, 침구경혈학 분야, 본초방제 분야, TCM 시스템생물학 및 그 기술의 학문적 발전방향으로 분류하였으며 이것이 한의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가설 설정

  • 21) 대사체학 연구의 목표는 생화학적 수준에서 생명체의 상호영향 및 외부 화합물과의 반응을 해석하고22) , 가능한 한 많은 대사체를 동시에 관찰함으로써 그들의 상관관계를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설명하는 것이다.23) 이를 의학에 적용하면, 개인별 대사의 특징을 구분함으로써 치료에 대한 반응을 예측할 수 있게 될 것이다.18) 그림 2는 오믹스와 개인맞춤의학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 이러한 맥락에서 증 분류를 단일 질병의 진단 및 단계 분류를 위한 방법으로 간주하기도 한다.29) 증은 TCM의 독특하고 복잡한 전체론적 체계이며, 전체론적 원리에서 출발했기 때문에 이러한 동적 개념을 무시하고 처방과 증을 분리할 수 없으며 만약 그렇게 한다면 한의학의 고유한 장점을 잃게 될 것이다.31) 이러한 점에서 시스템생물학은 질병과 증을 조합하는 역동적인 연구방법을 제시하는 유용한 지침이 된다.
  • 이와 관련된 내용26),29) 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량의 데이터베이스를 통합해야 한다. 둘째, 이상의 시스템생물학 분야 외에도 약동학 및 약력학을 통합해야 한다.
  • 첫째, 증을 진단하는 데에 객관적인 변증도구가 없고 환자의 주관적인 증상 설문과 TCM 의사의 판단에 의존하므로 과학적 연구 데이터로서의 가치가 낮다.29) 둘째, TCM 증 진단모델이 본질적으로 현재의 통계분석방법에 적합하지 않다.29) 셋째로 증 연구에서, 서로 다른 증에 차별적으로 발현되는 분자를 확인하는 데에 초점을 둔연구는 많지만 그 확인된 분자의 기능을 결정하는 데에 초점을 둔 연구는 거의 없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물학은 많은 발전을 했지만 생명체에 대해 아는 것이 많지 않은 이유는? 라마르크가 처음 생물학이라는 용어를 사용1) 한 이후로 생물학은 많은 발전을 거듭해왔으나, 생명체의 그 복잡성과 유기성 때문에 여전히 생명체에 대해 아는 바는 많지 않다. 이제까지의 생물학은 A에 대한 B의 반응을 ‘발견’2) 하는 것에 집중해 왔기 때문이다. 하지만 실제 생명체는 너무도 복잡하고 다단하여 그 필요한 생명현상을 세포, 조직 및 장기와 같은 다양한 레벨에서 유지하며, 생명요소들인 DNA, mRNA, protein, metabolite 등의 상호작용에 의한 네트워크를 갖는다3) 그러므로 생명현상의 근본기작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단일 유전자나 단백질 연구로는 한계가 존재하게 된다.
시스템생물학과 중의학을 융합하는 연구의 목표는? 5) 시스템생물학의 다층적인 관점은 황제내경8) 에서부터 시작된 동아시아 의학이 갖는 통합적인 관점과 많은 부분이 일치하므로 시스템생물학을 이용해 동아시아 의학을 해석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와 관련한 연구는 특히 중의학에서 많은 진전을 보인다.14) 현재 이 융합의 큰 목표는 복잡한 질병치료를 위한 거시적인 치료 기본 메커니즘이나 전략을 결정할 뿐만 아니라 TCM 처방의 배오 원칙과 그 네트워크 조절 효과를 해석하는 것이다.7) 서양 의학에서도 마찬가지로 시스템생물학을 이용해 개인맞춤의학으로 도약하려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시스템생물학은 무엇인가? 시스템생물학(systems biology)은 시스템 과학과 생물학의 합성어로 시스템이론을 생물학에 적용한 것이다. 시스템이론은 변수 간의 상호관계와 동역학적 특성 등을 찾아냄으로써 외부에서의 입력에 따라 원하는 출력을 내는 분석 및 예측 가능한 이상적인 모델을 정립하는 이론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쑨이린, 이은희 역. 생물학의 역사. 1판. 서울:도서출판 더숲. 2012:12. 

  2. 조광현. 시스템생물학. 1판. 서울:홍릉과학출판사. 2013:iv, 7, 449. 

  3. 황대희. 프로티오믹스에서 시스템생물학으로: 다양한 프로티오믹스 데이터의 네트워크 모델로의 통합. 생화학분자생물학회 소식. 2008:28(1):25-26. 

  4. 유석종, 유재수. 시스템생물학분야 데이터 수집 및 시뮬레이션 동향. 정보과학회지. 2013:31(8):82-91. 

  5. Liu C, Liu R, Fan H, Xiao X, Chen X, Xu H, Lin Y. Network Pharmacology Bridges Traditional Application and Modern Development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Chinese Herbal Medicines. 2015:7(1):3-17. 

  6.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생물학 명강 1. 1판. 서울: 북하우스 퍼블리셔스. 2013:264-265. 

  7. Bai G, Hou YY, Jiang M, Gao J. Integrated Systems Biology and Chemical Biology Approach to Exploring Mechanisms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s. Chinese Herbal Medicines. 2016:8(2):99-106. 

  8. 배병철 역, 황제내경 소문, 서울:성보사. 1994:7 

  9. Soojin Lee. Systems Biology - A Pivotal Research Methodology for Understanding the Mechanisms of Traditional Medicine. Journal of Pharmacopuncture. 2015:18(3):11-18. 

  10. Wang X, Zhang A, Sun H, Wang P. Systems Biology Technologies Enable Personalized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A Systematic Review. The American Journal of Chinese Medicine. 2012:40(6):1109-22. 

  11. 김창업, 이충열. 한의학과 시스템생물학의 만남, 의미와 전망.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16:30(6):370-375. 

  12. 이충열. 현대 한의학의 정체성 문제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11:25(5):777-789. 

  13. 김창업. 한의학 연구자를 위한 시스템 생물학 학습 가이드.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16:30(6):412-418. 

  14. Luo G, Liu Q, Wang Y, Liang Q. Systems Biology for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1 판, New Jersey:John Wiley & Sons, Inc.. 2012. 

  15. 이동엽. 시스템 생물정보학을 활용한 복잡한 생명시스템의 이해. BT NEWS. 2007:14(4):6-12. 

  16. Hiroaki Kitano. Systems Biology: A Brief Overview. Science. 2002:295:1662-1664. 

  17. 박종화. 생정보학 기술을 이용한 유전체학 동향 : 오믹스. 유전체소식지. 2006:6(4):8-13. 

  18. Zhang A, Sun H, Yan G, Cheng W, Wang X. Systems biology approach opens door to essence of acupuncture. Complementary Therapies in Medicine. 2013:21(3):253-9. 

  19. 석기태. 대장암에서의 "Omics" 연구 - 단백체학 연구를 중심으로. Intestinal Research. 2011:9(1):66-70. 

  20. Thamizhanban D, Rani T, Pravalika P. A Review on Hyphenated Separation Techniques Used in Pharmaceutical Analysis. IOSR Journal of Pharmacy and Biological Sciences. 2016:11(6:2):65-74. 

  21. 홍영식. 영양 대사체학.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014: 43(2):179-186. 

  22. 김소현, 양승옥, 김경헌, 김영석, 유광현, 윤영란, 이동호, 이충환, 황금숙, 정면우, 최기환, 최형균. 대사체학의 연구 동향, 응용 및 국내 연구 활성화 방안. KSBB Journal. 2009:24(2):113-121. 

  23. 최문영, 김경민, 최민석, 허윤석, 이해나, 이충우, 권성원. 가공시간에 따른 인삼의 대사체학 분석. 약제학회지. 2008:38(1):23-29. 

  24. Han Y, Li L, Zhang Y, Yuan H, Ye L, Zhao J, Duan DD. Phenomics of Vascular Disease: The Systematic Approach to the Combination Therapy. Current Vascular Pharmacology. 2015:13(4):433-40. 

  25. Masoudi-Nejad A, Mousavian Z, Bozorgmehr JH. Drug-target and disease networks: polypharmacology in the post-genomic era. In Silico Pharmacology. 2013:1(17):1-4. 

  26. Zhang Y, Mao X, Guo Q, Lin N, Li S. Network Pharmacology-based Approaches Capture Essence of Chinese Herbal Medicines. Chinese Herbal Medicines. 2016:8(2):107-116. 

  27. Xu Q, Qu F, Pelkonen O. Network Pharmacology and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Alternative Medicine. 2012:277-298. 

  28. 한방병리학 교재편찬위원회. 한방병리학. 2013년재판. 경기:한의문화사. 2013:278-279. 

  29. Wang P, Chen Z.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ZHENG and OMICS Convergence: A Systems Approach to Post-Genomics Medicine in a Global World. OMICS: A Journal of Integrative Biology. 2013:17(9):451-459. 

  30. 한방병리학 교재편찬위원회. 한방병리학. 2013년재판. 경기:한의문화사. 2013:286-287. 

  31. Cao H, Zhang A, Zhang H, Sun H, Wang X. The application of metabolomics i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opens up a dialogue between Chinese and Western medicine. Phytotherapy Research. 2015:29(2):159-66. 

  32. Jia J, Yu Y, Deng J, Robinson N, Bovey M, Cui YH, Liu HR, Ding W, Wu HG, Wang XM. A review of Omics research in acupuncture: The relevance and future prospects for understanding the nature of meridians and acupoints.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2112:140(3):594-603. 

  33. Ji Q, Zhu F, Liu X, Li Q, Su SB. Recent Advance in Applications of Proteomics Technologies o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Research. Evidence-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2015:983139:1-13. 

  34. Hao da C, Xiao PG. Network Pharmacology: A Rosetta Stone for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Drug Development Research. 2014:75 (5):299-312. 

  35. 윤강재, 김동수, 권수현, 안보령, 강아람, 양건해, 중국과 대만의 중의학(中醫學) - 서의학(西醫學) 관계 설정 현황과 시사점: 인력양성과 보장성을 중심으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중국종합연구 협동연구총서, 2016:01(49):1-352. 

  36. 박기태. 한의학의 올바른 이해와 향후전망. 한국생명과학회 심포지움. 2006:4:33-34.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