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임계이산화탄소(scCO2) 주입압력 측정에 의한 장기분지 응회암과 이암의 scCO2 차폐능 평가
Evaluation of the Sealing Capacity of the Supercritical CO2 by the Measurement of Its Injection Pressure into the Tuff and the Mudstone in the Janggi Basin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50 no.4, 2017년, pp.303 - 311  

안정필 (부경대학교 지구환경학과) ,  이민희 (부경대학교 지구환경학과) ,  왕수균 (부경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국내 $CO_2$ 지중저장 후보지인 장기분지에서 덮개암층으로 대표되는 이암응회암 코아에 대하여, 초임계이산화탄소(supercritical $CO_2$; $scCO_2$) 초기 주입압력을 측정하고 90일 동안 지화학 반응 실험 결과에 근거하여 두 암석의 $scCO_2$ 차폐능(sealing capacity)을 평가하였다. 장기분지 $CO_2$ 주입 예정부지 주변에서 수행한 대심도시추코아 중 깊이 800 m 이상 되는 이암과 응회암 코아를 대상으로 $scCO_2$ 초기 주입압력을 측정하였다. 스테인레스 강철로 제작한 고압셀(100 mL 용량)을 이용하여 지중저장 조건(100 bar, $50^{\circ}C$)에서 $scCO_2$-지하수-암석 반응을 실시하여 반응 전/후 광물 변화를 관찰하여 덮개암의 지화학적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덮개암에 대한 초기 $scCO_2$ 주입압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원통형 스테인레스강철 고압셀 내부에 암석 코아를 고정시키고, 코아 상부와 하부의 압력 차이(100 - 300 bar)를 이용하여 증류수로 포화시킨 후, 고압셀 외부에 부착된 압력계를 이용하여 코아 내에 포화된 공극수압을 100 bar로 유지시켰다. 지중저장 현장에서 덮개암 내부로 $scCO_2$가 이동하는 경계조건을 모사하기 위하여 고압셀 출구를 $scCO_2$와 증류수로 채워진 대형 고압탱크(5 L 용량; 100 bar, $50^{\circ}C$ 유지)에 연결시켜, 고압셀에 고정된 암석 코아 공극 내로 침투하는 경우 지중저장 조건 하에서 일정량의 $scCO_2$가 코아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하였다. 셀 입구에서는 코아의 공극수압인 100 bar보다 높게 유지시켜 $scCO_2$를 주입하되, 주입이 지속적으로 진행되기 시작하는 최소 주입압력($100bar+{\Delta}p$)을 암석에 대한 주입압력으로 측정하였다. 90일 반응 후 응회암과 이암의 큰 광물학적 변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나 두 암석 모두 $scCO_2$ 주입 시 지화학적으로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응회암의 경우 공극수압과 $scCO_2$ 주입압력 차이(${\Delta}p$)가 15 bar에서 $scCO_2$의 내부 침투가 시작되어 20 bar 이후부터는 지속적인 $scCO_2$ 주입이 이루어졌다. 이암의 경우에는 ${\Delta}p$를 150 bar까지 증가시켜도 $scCO_2$가 주입되지 않아 응회암보다 $scCO_2$ 차폐효과가 약 10 배 높은 것으로 나타나, 장기분지에 $CO_2$ 주입 시 응회암보다는 이암층이 덮개암 역할을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laboratory scale experiment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sealing capacity of the capping rock such as tuff and mudstone, measuring the intial supercritical $CO_2$ ($scCO_2$) injection pressure and the $scCO_2$-water-rock reaction for 90 days. The drilling core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반응 후 3일, 5일, 10일, 30일, 60일, 90일 간격으로 고압셀로부터 이암시료와 지하수를 회수하였으며, 지하수 시료는 pH 측정기(pH/Ion S220, Mettler Toledo)를 이용하여 반응 전후 지하수 용액의 pH를 측정하고, ICP/AES (Inductively Coupled Plasma/Atomic Emission Spectrometer; Optima 7300V, Perkin Elmer, USA)를 이용하여 주요 양이온(Ca2+, Mg2+, Na+, K+, Si4+)의 농도와 IC(Ion Chromatography; ICS-1000, Dionex, USA)를 이용하여 주요 음이온(Cl-, SO42-, NO2-, F-, NO3-, PO3-, Br-)의 농도를 분석하였다. 반응 후 이암시료는 자연 건조 후 XRD, XRF와 SEM-EDS를 이용하여 반응 후 일어나는 광물학적 변화를 관찰함으로서, scCO2 저장부지 덮개암인 이암의 지화학적 안정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암의 지화학 반응 실험과정은 Fig.
  • , 2015). 본 연구에서는 대심도 시추로부터 확보한 장기역암층상부 내 대표적 응회암과 이암코아를 대상으로 지중저장 온도-압력조건에서 scCO2가 암석코아 내에 주입되기 시작하는 초기 주입압력을 측정하여, 장기역암층에 scCO2를 주입하는 경우 두 암석층이 차폐암으로서 적합한지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응회암과 이암코아를 채취한 대심도 시추지점(JG-4와 JG-6)주변 지질도는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O2 저장 부지 선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 2016). CO2 저장 부지 선정을 위한 주요 인자로는 저장암의 저장량(storage capacity)과 누출 안전성(leakage safety) 등이 있으며, 저장량은 저장암의 체적, 지질 구조적 연장성, 공극률, 초임계이산화탄소(supercritical CO2: scCO2) 주입 시 지하수를 대체하여 공극 내 저장되는 scCO2 비율(대체저장효율)등에 영향을 받는다(Bachu et al., 2007; NETL, 2007; 2010; Smith et al.
저장암의 저장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 2016). CO2 저장 부지 선정을 위한 주요 인자로는 저장암의 저장량(storage capacity)과 누출 안전성(leakage safety) 등이 있으며, 저장량은 저장암의 체적, 지질 구조적 연장성, 공극률, 초임계이산화탄소(supercritical CO2: scCO2) 주입 시 지하수를 대체하여 공극 내 저장되는 scCO2 비율(대체저장효율)등에 영향을 받는다(Bachu et al., 2007; NETL, 2007; 2010; Smith et al.
우리나라에서 이산화탄소 지중저장으로 적합한 지질은? , 2015). 선행 연구 결과에 의하면 한반도의 지질구조상 지하에 존재하는 대규모 퇴적분지의 역암이나 사암층을 최적의 CO2 저장층으로 판단하여, 지하 800 – 1000 m에 분포하는 장기분지 기저역암층을 최적의 주입/저장 부지로 선정하고 부지 특성화 및 안전성 평가를 수행 중이다(Kim et al., 20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achu, S. (2015) Review of $CO_2$ storage efficiency in deep saline aquifer. Int. J. Greenh. Gas Control, v.40, p.188-202. 

  2. Bachu, S., Bonijoly, D., Bradshaw, J., Burruss, R., Holloway, S., Christensen, N. and Mathiassen, O. (2007) $CO_2$ storage capacity estimation, methodology and gaps. Int. J. Greenh. Gas Control, v.1, p.430-443. 

  3. Bolger, G.W. and Reifenstuhl, R.R. (2008) Mercury injection capillary pressure and reservoir seal capacity of 26 outcrop samples, Miocene to Triassic age. In Reifenstuhl, R.R., and Decker, P.L., eds., Bristol Bay.Alaska Peninsula region, overview of 2004-2007 geologic research: Alaska Division of Geological & Geophysical Surveys Report of Investigation 2008-1D, p.69-78. 

  4. Daniel, R.F. (2005) Boggy creek carbon dioxide seal capacity study, Otway basin, Victoria, Australia. CO2CRC Publication No RPT05-0045, 47p. 

  5. Kaldi. J., Daniel, R., Tenthorey, E., Michael, K., Schacht, U., Nicol, A., Underschultz, J. and Backe, G. (2013) Containment of CO2 in CCS: Role of caprocks and faults. Energy. Proc., v.37, p.5403-5410. 

  6. Jung, H. B., Um, W. and Cantrell, K.J. (2013) Effect of oxygen co-injected with carbon dioxide on Gothic shale caprock- $CO_2$ -brine interaction during geologic carbon sequestration. Chem. Geol., v.354, p.1-14. 

  7. Kim, M., Gihm, Y., Son, E., Son M., Hwang, I.G., Shinn, Y.J. and Choi, H. (2015) Assessment of the potential for geological storage of $CO_2$ based on structural and sedimentologic characteristics in the Miocene Janggi basin, SE Korea. J. Geol. Soc. Korea, v.51, p.253-271. 

  8. Kim, M., Kim, J., Jung, S., Son, M. and Sohn, Y.K. (2011) Bimodal volcanism and classification of the Miocene basin fill in the northern area of the Janggi-myeon, Pohang, southeast Korea. J. Geol. Soc. Korea, v.45, p.463-472. 

  9. Kim, S., Kim, J., Lee, M. and Wang, S. (2016) Evaluation of the $CO_2$ capacity by the measurement of the $scCO_2$ displacement efficiency for the sandstone and the conglomerate in Janggi basin. Econ. Environ. Ceol., v.49, p.469-477. 

  10. Leung, D.Y., Caramanna, G. and Maroto-Valer, M.M. (2014) An overview of current status of carbon dioxide capture and storage technologies. Renew. Sustain. Energy Rev., v.39, p.426-443. 

  11. Michael, K., Golab, A., Shulakova, V., Ennis-King, J., Allinson, G., Sharma, S. and Aiken, T. (2010) Geological storage of $CO_2$ in saline aquifers - A review of the experience from existing storage operations. Int. J. Greenh. Gas Control, v.4, p.659-667. 

  12. NETL(National Energy Technology Laboratory) (2007) Carbon Sequestration Atlas of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Annual Report. U.S. Department of Energy/Office of Fossil Energy. 

  13. NETL(National Energy Technology Laboratory) (2010) Carbon Sequestration Atlas of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Annual Report. U.S. Department of Energy/Office of Fossil Energy. 

  14. Park, J., Baek, K., Lee, M., Chung, C. and Wang, S. (2017) The use of the surface roughness value to quantify the extent of supercritical CO2 involved geochemical reaction at a CO2 sequestration site. Appl. Sci., v.7, p.1-17. 

  15. Smith, D.J., Noy, D.J., Holloway, S. and Chadwick, R.A. (2011) The impact of boundary conditions on $CO_2$ storage capacity estimation in aquifers, Energy Proc., v.4, p.4828-4834. 

  16. Song, C.W., Son, M., Sohn, Y.K., Han, R., Shinn, Y.J. and Kim, J.C. (2015) A study on potential geologic facility sites for carbon dioxide storage in the Miocene Pohang Basin, SE Korea. J. Geol. Soc. Korea, v.51, p.53-66. 

  17. Song, J. and Zhang, D. (2013) Comprehensive review of caprock-sealing mechanisms for geologic carbon sequestration. Environ. Sci. Technol., v.47, p.9-22. 

  18. Span, R. and Wagner, W. (1996) A new equation of state for carbon dioxide covering the fluid region from the tripple-point temperature to 1100 K at pressures up to 800 MPa. J. Phys. Chem. Ref. Data, v.25, p.1509-1596. 

  19. Wang S., Kim, J. and Lee, M. (2016) Measurement of the scCO2 storage ratio for the CO2 reservoir rocks in Korea. Energy Proc., v.97, p.342-34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