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슬관절의 측면 방사선 촬영에서 보조기구를 이용한 검사방법의 정확성과 편의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Accuracy and Convenience of Imaging Method Using Support Device in Knee Joint Lateral Radiography 원문보기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v.11 no.4, 2017년, pp.253 - 262  

엄소영 (순천향대학교 부속 부천병원 영상의학과) ,  조용근 (순천향대학교 부속 부천병원 영상의학과) ,  강성진 (순천향대학교 부속 부천병원 영상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슬관절의 측면 촬영 검사방법에서 기존에 권고되고 있는 정 측면 자세에서 중심 X선의 입사 각도를 머리 쪽 $5{\sim}7^{\circ}$로 조정하는 방법을 검사방법 A, 중심 X선이 슬관절 강을 향해 검사대의 수평면과 수직으로 입사하는 방법을 검사방법 B, 경골 원위부(distal tibia)의 바깥 면(lateral side)을 방사선 투과성 물질(radiolucent materials)로 보상한(compensated) 상태에서 중심 X선을 관절 강에 수직 입사하는 방법을 검사방법 C로 분류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을 분류하여 3가지 검사방법을 각각 시행한 후, 검사영상에서 관절 강 거리(joint space distance)와 양측과의 거리(both condyle distance)를 정량적 지표로 설정하여 이를 측정하고 비교하였다. 또한 각 검사방법의 편의성을 검사자(Practician)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확인하였다. 정량적 지표의 측정 결과 검사방법 A와 C는 통계적 분석 결과 특징적인 차이가 없었지만(p>0.05), 검사 방법 B는 A와 C 모두에서 차이를 보였다(p<0.05). 검사방법의 편의성을 평가한 결과, 검사방법 A가 모든 항목에서 검사방법 B, C 보다 상대적으로 점수가 낮게 평가되었고, 검사방법 B와 C는 근소한 차이로 B가 높은 평가를 받았다. 본 연구를 통해 제안한 간단한 보조기구(support device)를 이용한 슬관절 측면 촬영 검사방법은 다소 복잡한 준비과정 없이도 기존의 권고 방법과 큰 차이가 없는 관절 강의 묘사가 가능하고, 검사의 진행과정에서 검사자의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lateral projection imaging method of knee joint, a method that adjusts the incidence angle of central X-ray toward the head side to $5{\sim}7^{\circ}$ in true lateral position which is existing recommended is called imaging method A, Method of imaging the central X-ray perpendicular t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슬관절의 측면촬영 검사방법에서 기존에 권고되고 있는 중심 X선의 입사 각도를 머리 쪽 5~7°로 조정하는 방법을 기준으로, 경골 원위부 (distal tibia)의 바깥 면(lateral side)을 방사선 투과성 물질(radiolucent materials)로 보상한(compensated) 상태에서 중심 X선을 관절 강에 수직 입사하는 방법을 적용한 후 검사하고, 이를 비교하여 정확한 대퇴-경골 관절 강의 묘사를 위한 간단한 촬영 방법을 제안해 보고자 하였다.
  • 이러한 상황은 슬관절 질환의 상태나 경과를 관찰하거나 평가하기 위한 목적에 부합하지 못한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본 연구자들은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관절강의 정확한 묘사에는 크게 차이가 없으면서도 검사방법을 단순화하여 편의성을 개선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해 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슬관절의 측면 촬영 검사방법에는 무엇이 있는가? 슬관절의 측면 촬영 검사방법에서 기존에 권고되고 있는 정 측면 자세에서 중심 X선의 입사 각도를 머리 쪽 $5{\sim}7^{\circ}$로 조정하는 방법을 검사방법 A, 중심 X선이 슬관절 강을 향해 검사대의 수평면과 수직으로 입사하는 방법을 검사방법 B, 경골 원위부(distal tibia)의 바깥 면(lateral side)을 방사선 투과성 물질(radiolucent materials)로 보상한(compensated) 상태에서 중심 X선을 관절 강에 수직 입사하는 방법을 검사방법 C로 분류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을 분류하여 3가지 검사방법을 각각 시행한 후, 검사영상에서 관절 강 거리(joint space distance)와 양측과의 거리(both condyle distance)를 정량적 지표로 설정하여 이를 측정하고 비교하였다.
슬관절의 영상의학적 평가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슬관절의 영상의학적 평가는 주로 일반 X선 검 사방법이 접근성과 편의성이 높다는 이유로 가장 선행되는 평가 항목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기본적으로 정면 촬영(anterior-posterior project ion)검사와 측면촬영(lateral projection) 검사방법을 이용하여 관절 구조물의 이상 유무를 평가하고 있다. [2,3] 슬관절의 누운 자세(supine position) 정면촬영 검사방법의 경우 해부학적 정면 자세에서 중심 X선이 대퇴-경골 관절 강(femoro-tibial joint space)을 향하여 수직 입사하는 상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정확한 영상을 얻기 위한 과정에 큰 어려움이 없는 편이다.
국민 소득 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증가한 육체 활동으로 인한 문제점은 무엇인가? 최근 들어 국민 소득 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삶의 질에 대한 개선을 위하여 여가나 건강을 위한 목적 의 육체 활동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무리한 활동으로 인한 관절 질환의 발생 비율도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여러 관절 중에서 체중의 부하가 큰 슬관절(k nee joint)은 다른 관절보다 많은 손상의 비중을 차지 하고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H. J. Mankin, "The response of articular cartilage to mechanical injury," Journal of Bone & Joint Surgery-American Volume, Vol. 64, Issue 3, pp. 460-466, 1982. 

  2. N. H. Choi, J. H. Lee, "Evaluation of patellofemoral joint disorder," Journal of Korean orthopaedic society for sports medicine, Vol. 5, No. 1, pp. 17-21, 2006, in Korean. 

  3. T. J. Ahn, J. K. Kim, B. W. Ahn, C. H. Park, "Standardization of Preoperative Radiography for Total Knee Arthroplasty," Knee surgery & related research, Vol. 6, No. 2, pp. 158-164, 1994. 

  4. T. R. McAdams, K. Mithoefer, J. M. Scopp, B. R. Mandelbaum, "Articular Cartilage Injury in Athletes," Cartilage. Vol. 1, Issue 3, pp. 165-179, 2010. 

  5. http://stat.kosis.kr/nsieu/view/tree.do?taskbranchView&hOrg350&id350_35004*MT_OTITLE&hOrg350 

  6. T. E. McAlindon, S. Snow, C. Cooper, P. A. Dieppe, "Radiographic patterns of osteoarthritis of the knee joint in the community: the importance of the patellofemoral joint," Annals of the Rheumatic Diseases, Vol. 51, pp. 844-849, 1992. 

  7. C. J. P. Thijn, "Accuracy of double-contrast arthrography and arthroscopy of the knee joint," Skeletal Radiology, Vol. 8, Issue 3, pp. 187-192, 1982. 

  8. F. R. Noyes, C. L. Stabler, "A system for grading articular cartilage lesions at arthroscopy," American Journal of Sports Medicine, Vol. 17, No. 4, pp. 505-513, 1989. 

  9. M. L. Purnell, A. I. Larson, W. Clancy,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sertions on the Tibia and Femur and Their Relationships to Critical Bony Landmarks Using High-Resolution Volume-Rendering Computed Tomography," The American Journal of Sports Medicine, Vol. 36, Issue 11, pp. 2083-2090, 2008. 

  10. R. Kijowski, A. Lu, W. Block, T. Grist, "Evaluation of the articular cartilage of the knee joint with vastly undersampled isotropic projection reconstruction steady-state free precession imaging," Journal of Magnetic Resonance Imaging, Vol. 24, No. 1, pp. 168-175, 2006. 

  11. R. F. LaPrade, B. K. Konowalchuk, H. M. Fritts, F. A. Wentorf, "Articular Cartilage Injury of the Knee," The Physician and sportsmedicine, Vol. 29, No. 5, pp. 53-59, 2001. 

  12. H. D. Clarke, W. N. Scott, J. N. Insall, Anatomy, Insall JN, Scott WN editors, Surgery of the knee, 3rd edition, New York, Churchill Livingstone Inc., pp. 13-76, 2001. 

  13. C. C. Jiang, K. M. Yip, T. K. Liu, "Posterior slope angle of the medial tibial plateau," Journal of the Formosan Medical Association, Vol. 93, No. 6, pp. 509-512, 1994. 

  14. A. A. Hofmann, K. N. Bachus, R. W. Wyatt, "Effect of the tibial cut on subsidence following total knee arthroplasty," Clinical Orthopaedics & Related Research, No. 269, pp. 63-69, 199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