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페로브스카이트 La0.5Ca0.5MnO3 재료의 열전 특성에 미치는 열처리 효과
Thermal Treatment Effect on Thermoelectric Characteristics of Perovskite La0.5Ca0.5MnO3 원문보기

전기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lectrochemical Society, v.20 no.3, 2017년, pp.55 - 59  

양수철 (동아대학교 화학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밀도범함수법 (DFT; Density Functional Theory) 기반의 제일원리 계산을 통해 페로브스카이트 $La_{0.5}Ca_{0.5}MnO_3$ (LCMO) 재료의 열전 특성에 미치는 열처리 효과를 조사하고 실험을 통해 확인해 보았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얻어진 열전 파워팩터 (PF; Power Factor) 값은 열처리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으며, 1100 K에서 높은 PF 값 ($S^2{\sigma}=566{\mu}W/m{\cdot}K^2$)을 나타내었다. 해당 PF 열전 특성 값은 전기전도도 (Electrical Conductivity) 값의 향상보다는 지벡계수 (Seebeck Coefficient)의 향상에 더욱 우세한 영향을 받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실험을 통해 각각의 열전 특성들에 미치는 영향성을 확인하였다. 수열합성법을 통해 합성된 $La_{0.5}Ca_{0.5}MnO_3$ 재료를 가지고 600K ~ 1100K의 온도 조건에서 열처리 공정을 진행했으며, 이후 XRD (X-ray Diffraction) 분석과 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분석을 통해 재료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사방정계 구조를 가지는 페로브스카이트 LCMO 재료는 900K 이상에서 16~19 nm의 작은 결정 크기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했으며, 이를 통해 열처리 온도의 증가가 열전 주요 특성인 전기전도도와 지벡계수 값을 각각 향상시킬 수 있음을 밝혔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rmoelectric characteristics of perovskite $La_{0.5}Ca_{0.5}MnO_3$ (LCMO) nanomaterials were investigated by theoretical simulation and experimental analysis. Thermoelectric power factors calculated by DFT simulation were gradually enhanced as increase in annealing temp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밀도범함수법 기반의 제일원리 계산을 통해 페로브스카이트 La0.5Ca 0.5 MnO3 재료의 열처리 온도에 따른 열전 특성을 분석하고 실험적으로 검증하였다. 열처리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열전 파워팩터 특성은 지속적으로 증가했으며, 1100 K에서 전기 전도도와 지벡계수의 복합적인 향상을 통해 제일 높은 파워팩터 특성 값 (S 2σ = 566 μW/m·K2 )을 나타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어떤 효과를 이용하여 높은 열전 성능지수를 얻을 수 있는가? 2-6 게다가 전기전도성과 지벡계수는 심각한 감결합 관계를 가지고 있어, 열전 성능지수를 향상시키기가 매우 어려웠다.1 하지만, 2000년이후로 나노 물질에 대한 연구들이 활발해 지면서 양자 제한 효과 (Quantum Confinement Effect)를 이용하여 높은 열전 성능지수를 얻을 수 있는 것이 밝혀졌으며, 이를 통해 열전 현상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발해지기 시작하였다. 7,8 2010년 이후로 ABO3 화학 구조를 가지는 페로브스카이트 물질의 열전 특성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열전 소재의 조성에 따라 전기적인 특성들이 쉽게 조절되는 것을 확인함으로서 열전 소재로서의 응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열전 성능지수를 향상시키기 매우 어려웠던 이유는 무엇인가? 2000년 이전까지 주로 연구된 열전 소자 재료는 Bi2Te3 ,PbTe, SiGe 계열로 열전 성능지수가 1 정도에 불과하고, 해당 재료들이 가지고 있는 인체 유해성 및 희소성은 열전소자를 상업화 하는데 있어서 큰문제를 야기하였다.2-6 게다가 전기전도성과 지벡계수는 심각한 감결합 관계를 가지고 있어, 열전 성능지수를 향상시키기가 매우 어려웠다.1 하지만, 2000년이후로 나노 물질에 대한 연구들이 활발해 지면서 양자 제한 효과 (Quantum Confinement Effect)를 이용하여 높은 열전 성능지수를 얻을 수 있는 것이 밝혀졌으며, 이를 통해 열전 현상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발해지기 시작하였다.
열적 특성 값들을 밀도범함수법을 통해 계산하였을 때 고려하지 않은 요소는 무엇인가? 5/Å) 그리고 전자 반복 수렴은 10-5 eV 그리고 상호 스페이스 투영 오퍼레이터를 사용하였다. 16 전자스핀과 자기 극성은 고려하지 않았다. 300 K 에서 1100 K 사이의 온도에서 9개 포인트를 지정하여 화학포텐셜에 따른 전기전도성, 지벡계수, 파워팩터를 분석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W. S. Liu, X. Yan, G. Chen, and Z. F. Ren, Nano Energy, 1, 42-56 (2012). 

  2. J. F. Li, W. S. Liu, L. D. Zhao, and M. Zhou, Npg Asia Materials, 2, 152-158 (2010). 

  3. M. Culebras, R. Toran, C. M. Gomez, and A. Cantarero, Nanoscale Research Letters, 9, 415 (2014). 

  4. X. B. Zhao, X. H. Ji, Y. H. Zhang, T. J. Zhu, J. P. Tu, and X. B. Zhang, Applied Physics Letters, 86, 062111 (2005). 

  5. J. P. Heremans, V. Jovovic, E. S. Toberer, A. Saramat, K. Kurosaki, A. Charoenphakdee, S. Yamanaka, and G. J. Snyder, Science, 321, 554-557 (2008). 

  6. A. J. Minnich, H. Lee, X. W. Wang, G. Joshi, M. S. Dresselhaus, Z. F. Ren, G. Chen, and D. Vashaee, Physical Review B, 80, 155327 (2009). 

  7. M. S. Dresselhaus, G. Chen, M. Y. Tang, R. G. Yang, H. Lee, D. Z. Wang, Z. F. Ren, J. P. Fleurial, and P. Gogna, Advanced Materials, 19, 1043-1053 (2007). 

  8. T. E. Humphrey and H. Linke, Physical Review Letters, 94, 096601 (2005). 

  9. S. Hebert, D. Berthebaud, R. Daou, Y. Breard, D. Pelloquin, E. Guilmeau, F. Gascoin, O. Lebedev, and A. Maignan, Journal of Physics-Condensed Matter, 28, 013001 (2016). 

  10. P. Jha, T. D. Sands, P. Jackson, C. Bomberger, T. Favaloro, S. Hodson, J. Zide, X. F. Xu, and A. Shakouri, Journal of Applied Physics, 113, 193702 (2013). 

  11. D. Varshney, I. Mansuri, and A. Yogi, Low Temperature Physics, 36, 629-634 (2010 ). 

  12. M. S. Toprak, C. Stiewe, D. Platzek, S. Williams, L. Bertini, E. C. Muller, C. Gatti, Y. Zhang, M. Rowe, and M. Muhammed,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14, 1189-1196 (2004). 

  13. R. Z. Zhang, X. Y. Hua, P. Guo, and C. L. Wang, Physica B-Condensed Matter, 407, 1114-1118 (2012). 

  14. P. D. Borges, D. E. S. Silva, N. S. Castro, C. R. Ferreira, F. G. Pinto, J. Tronto, and L. Scolfaro, Journal of Solid State Chemistry, 231, 123-131 (2015). 

  15. M. W. Oh, D. M. Wee, S. D. Park, B. S. Kim, and H. W. Lee, Physical Review B, 77, 165119 (2008). 

  16. G. Yang, J. H. Wu, J. Zhang, and D. W. Ma, Journal of Alloys and Compounds, 678, 12-17 (2016). 

  17. T. Zhang, C. G. Jin, T. Qian, X. L. Lu, J. M. Bai, and X. G. Li, Journal of Materials Chemistry, 14, 2787-2789 (2004). 

  18. D. F. Zou, S. H. Xie, Y. Y. Liu, J. G. Lin, and J. Y. Li, Journal of Applied Physics, 113, 193705 (2013). 

  19. R. Tripathi, A. Dogra, A. K. Srivastava, V. P. S. Awana, R. K. Kotnala, G. L. Bhalla, and H. Kishan, Journal of Physics D-Applied Physics, 42, 025003 (200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