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하수 포화 석회석 채굴공동에서의 골재 충전 및 임시배수시 발생하는 지하수 유동 평가
Evaluation of Groundwater Flow by Gravel-Filling and Temporary Drainage in Groundwater-saturated Limestone Mine Cavities 원문보기

터널과 지하공간: 한국암반공학회지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v.27 no.4, 2017년, pp.205 - 216  

최우석 ,  강병천 ((주)산하이앤씨 지반사업부) ,  김은섭 ((주)산하이앤씨 기술연구소) ,  신동춘 (벽산엔지니어링(주) 지반사업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하수위 변동은 석회석 폐광산에서 발생하는 지반침하의 주된 요인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로 포화된 석회석 채굴공동에서 발생하는 지하수 유동을 자연상태와 골재 충전, 임시배수로 구분하여 지반 안정성에 미칠 영향을 3차원 지하수 유동 해석을 통해 평가하였다. 해석 결과 골재 충전시 지반 및 소류지의 지하수위가 상승하였지만 강우나 소류지 농업용수 사용으로 발생하는 수위차 보다 작고 유속 또한 자연상태의 유속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임시배수시에는 지반 및 소류지의 지하수위가 급격하게 하강하고 공동 내 유속이 최대 25배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지반침하 위험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luctuations in groundwater level are the major cause of ground subsidence in the abandoned limestone mine. In this study, evaluation of groundwater flow under three different cases of natural condition, aggregate-filling, temporary drainage in groundwater-saturated limestone mine cavities was exec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채굴공동 및 상부 용식공동이 지하수로 포화되어있는 충북 청주시 삼성석회석 광산을 대상으로 과업구간의 지하수 유동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외부 조건을 우기, 건기, 골재충전, 임시배수를 구분하여 이에 따른 지하수 유동해석을 실시하였다. 해석에 앞서서는 경계조건을 선정하고 결과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현장조사와 유향·유속 측정시험을 실시하여 해석결과와 비교하였다.
  • 따라서 채굴 공동 및 용식 공동 지반 지하수위에 영향을 끼치는 외부 수계는 노천 채굴적과 소류지로 판단된다. 본 절에서는 소류지와 노천 채굴적의 수위 모니터링과 유향・유속 측정 시험을 통해 과업 구간의 지하수 유동을 개략적으로 판단하고, 측정 결과를 지하수 유동해석의 경계조건으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 해석 Case는 우기, 건기, 채굴적 충전시 및 임시배수 4가지 Case로 구분하였으며, 상세한 조건 및 산정방법은 Table 1, Table 2와 같다. 우기 및 건기의 Case는 농업용수 사용 및 강우외의 경계조건 변동요인이 없는 상태에서 발생 할 수 있는 지하수 유동을 확인하고 현장 조사 결과와 비교하고자 하였다. 채굴 공동 충전 Case의 경우 가장 일반적으로 쓰이는 폐광산 채굴 공동 보강방법이며, 충전에 따라 발생하는 수위증가량은 지하수 포화 석회석 채굴공동 충전효율화 방안 연구(한국광해관리공단, 2016)에서 조사한 노천 채굴적 면적, 채굴 공동 부피, 인근 굵은 골재의 공극률에 의해 계산하였다.
  • 해석에 앞서서는 경계조건을 선정하고 결과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현장조사와 유향·유속 측정시험을 실시하여 해석결과와 비교하였다. 최종적으로는 각 조건에서 지하수 유동에 따라 발생 할 수 있는 문제점을 검토하고, 향후 석회석 폐광산 지반 보강 설계 및 시공과 지반 안정성 검토의 근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가설 설정

  • 채굴 공동 충전 Case의 경우 가장 일반적으로 쓰이는 폐광산 채굴 공동 보강방법이며, 충전에 따라 발생하는 수위증가량은 지하수 포화 석회석 채굴공동 충전효율화 방안 연구(한국광해관리공단, 2016)에서 조사한 노천 채굴적 면적, 채굴 공동 부피, 인근 굵은 골재의 공극률에 의해 계산하였다. 이때 골재에 의해서만 노천 채굴적 수위가 증가하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실제로는 계산된 수위 증가가 발생할 가능성은 매우 적으므로 경계조건을 안전측으로 보았다고 할 수 있다. 임시배수의 경우 지하수가 포화되어 있을 때 적용공법의 제약이 많으므로 대상지의 지반보강을 위해 쓸 수 있는 방편으로 판단되어 해석 Case로 결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석회석 폐광산 침하요인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특히 석회석 광산의 경우 주로 주방식 채광법을 적용하여 채굴적 규모가 상당히 큰 편으로 트러프형 침하뿐만 아니라 대규모의 함몰형 침하가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Choi et al, 2015). 석회석 폐광산의 지반 침하요인은 채굴 공동 외에도 석회암 용식 작용에 의한 용식 공동이나 함몰지 등의 다양한 지형적인 특성과 차별 풍화에 의한 불규칙한 기반암선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Wilson and Beck, 1988; Goodman, 1993; Beck and Pearson, 1995; Park. 1999; Waltman and Fookes, 2003; Lee et al.
지하수위 변동은 석회석 폐광산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지하수위 변동은 석회석 폐광산에서 발생하는 지반침하의 주된 요인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로 포화된 석회석 채굴공동에서 발생하는 지하수 유동을 자연상태와 골재 충전, 임시배수로 구분하여 지반 안정성에 미칠 영향을 3차원 지하수 유동 해석을 통해 평가하였다.
국내 광산의 폐광 이후 지반침하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높은 이유는 무엇인가? 국내 광산은 그동안 채산성 위주로 개발되어 폐광지역에서 발생하는 지반침하 대책 수립이 미흡했기 때문에 폐광 이후 지반침하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높다(한국광해관리공단, 2016). 특히 석회석 광산의 경우 주로 주방식 채광법을 적용하여 채굴적 규모가 상당히 큰 편으로 트러프형 침하뿐만 아니라 대규모의 함몰형 침하가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Choi et al,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10, 토담자원 갱내 유출수와 주변 저수지와의 관련성 기술자문. 

  2. 한국광해관리공단, 2013, 삼성석회석광산 지반침하 정밀 조사 및 자동계측기 설치.모니터링 정밀조사 보고서. 

  3. 한국광해관리공단, 2014, 폐광지역 지반침하 위험도 평가 기술 개발. 

  4. 한국광해관리공단, 2016, 폐광지역 지반침하 위험도 평가를 위한 체계적 기준 정립 및 적용 연구 

  5. 한국광해관리공단, 2016, 지하수 포화 석회석 채굴공동 충전효율화 방안 연구. 

  6. Brady, B.H.G., and E.T. Brown, 1985, Rock Mechanics for Underground Mining, George Allen & Unwin. 

  7. Beck, B.F. and F.M, Pearson, 1995, Karst geohazards: engineering and environmental problems in karst terrane. Proc. 5th Multidisciplinary Conference on sinkhole and the engineering and engineering and environmental impact of karst, Gatlinburg, Tennessee, 25-50. 

  8. Baek, Y.J., 2011, A numerical study on effects of groundwater on the stability of mine gangway, Master thesis, Semyung University. 

  9. Choi, W. S., B. C. Kang, E. S. Kim, D. C. Shin, S. L. Kim and S. H. Baek, 2015, A Case Study of Ground Subsidence on the Groundwater-Saturated Limestone Mine,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ol. 25, No. 4, 511-524. 

  10. Choi, W.S., B.C. Kang, D.C. Shin, S.L. Kim and E.S. Kim, 2016, Experimental study on grouting materials of grout column method for reinforcement technology in groundwater-saturated mined cavity, Tunnel & Underground Space, Vol. 19, No. 6, 534-544. 

  11. Goodman, R.E, 1993, Engineering Geology: Rock In Engineering Construction, Wiley, 143-193. 

  12. Lee, S.J., B.R Kim, S.O, Choi, and S,H, Oh, 2015, A case study of site investigation and ground stability analysis for diagnosis of subsidence occurrence in limestone mine, Tunnel & Underground Space, Vol. 25, No. 4, pp. 332-340. 

  13. Lee, B.J., S.W. Park, D.H. Kim and Y.K. Song, 2016, Ground subsidence caused by the development of underground karstic networks in limestone terrain, Taebag city Korea,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ol. 26, No. 1, 60-70. 

  14. Murck, B.W., B.J. Skinner and S.C. Porter, 1997, Dangerous Earth, An Introduction to Geologic Hazards, 299. 

  15. Park, H.D., 1999, Engineering geology of cavernous limestone area, 1999 Proceedings of the Korean Geotechical Society Conference, 1-20. 

  16. Park, J. J. 2013, Derivation of probable rainfall intensity formula and IDF curve in Chungbuk area, Master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ation. 

  17. Sun, W.C., Y.B. Jeong, Y.S. Choi and H.D. Park, 2010, Failure prediction for weak rock slopes in a large open-pit mine by GPS measurements and assessment of landslide susceptibility,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ol. 20, No. 3, 243-255. 

  18. Wilson, W. and B.F, Beck, 1988, Evaluating sinkhole, zards in mantled karst terrain, Geotechnical Special Publication, No. 14, 1-24. 

  19. Waltman, A.C. and P.G, Fookes, 2003, Engineering classification of karst ground conditions, Quarterly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and Hydrology, Vol. 36, 101-1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