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팽창흑연을 사용한 복합재료의 난연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the Fire Retardant-Characteristics of Expandable Graphite Composite Materials 원문보기

한국안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32 no.3, 2017년, pp.28 - 33  

전관옥 (인천대학교 대학원 안전공학과) ,  이동호 (인천대학교 소방방재연구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composite material of expandable graphite was made to the material development for improving such as a composite material of the sandwich panels or material properties of a fire door and was tested by the ISO 1182, ISO 5660-1(Cone calorimeter Method). For the test, the composite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재료 개발은 ISO 1182와 ISO 5660-11) 및 ISO 2271에 의하여 국제표준재료별 시험기준을 만족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연성 목재에 팽창흑연과 난연 첨가재를 혼합시킴으로서 방화 성능이 개선된 건축 내장재 개발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에서 선정된 팽창흑연은 흑연의 층상구조 특성에 기인하여 흑연 층간조직 사이에 황 또는 질소 화합물을 결합 후 열을 가하면 입자가 수백 배 팽창함에 따라 아코디언처럼 층의 분리 현상이 발생하는 구조적 특징을 갖는다.
  • 또한 팽창흑연과 관련된 난연성 연구5-10)와 열적 물리적 거동 연구11-21)가 많이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목재 파우더에 팽창흑연을 첨가시켜 열방출율(HRR), 총열방출률( THR), 질량감소율(Mass loss rate), 팽창비(Expansion rate)등 난연재료의 특성을 Cone calorimeter를 사용하여 실험적으로 규명하고 난연성능지수를 산정하여 난연 성능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다 안전한 건축 내장재 개발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현대 사회구조는 점차 복잡다단해지고 건축 구조물의 지하화 및 고층화가 지속 되어감에 따라 화재 발생으로 부터 인명과 재산 피해의 최소화를 확보하기 위해 보다 안전한 건축 내장재 개발을 요구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건축자재는 건축법 시행령 제2조에 의거하여 불연재료, 준불연재료, 난연재료로 구분하고 있다.
건축자재는 어떻게 구분될 수 있는가? 현대 사회구조는 점차 복잡다단해지고 건축 구조물의 지하화 및 고층화가 지속 되어감에 따라 화재 발생으로 부터 인명과 재산 피해의 최소화를 확보하기 위해 보다 안전한 건축 내장재 개발을 요구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건축자재는 건축법 시행령 제2조에 의거하여 불연재료, 준불연재료, 난연재료로 구분하고 있다. 이러한 재료 개발은 ISO 1182와 ISO 5660-11) 및 ISO 2271에 의하여 국제표준재료별 시험기준을 만족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건축 내장재 개발은 어떠한 기준을 만족해야 하는가? 국내의 경우, 건축자재는 건축법 시행령 제2조에 의거하여 불연재료, 준불연재료, 난연재료로 구분하고 있다. 이러한 재료 개발은 ISO 1182와 ISO 5660-11) 및 ISO 2271에 의하여 국제표준재료별 시험기준을 만족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연성 목재에 팽창흑연과 난연 첨가재를 혼합시킴으로서 방화 성능이 개선된 건축 내장재 개발을 목표로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ISO 5660-1, "Reaction-to-fire Tests-Heat Release, Smoke Production and Mass Loss Rate-Part 1 : Heat Release Rate(Cone Calorimeter Method)",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SA, 2008. 

  2. M. Modesti, A. Lorenzetti, F. Simioni and G. Camino, "Expandable Graphite As An Intumescent Flame Retardant in Polyisocyanurate-polyurethane Foams", Polymer Degradation and Stability, vol. 77, pp. 195-202, 2002. 

  3. A. Laachachi, N. Burger, K. Apaydin, R. Sonnier and M. Ferriol, "Is expanded graphite acting as flame retardant in epoxy resin", Polymer Degradation and Stability, vol. 117, pp. 22-29, 2015. 

  4. S. C. Moon, J. K. Choi and B. W. Jo, "Flame Retardancy and Foaming Properties of the NBR/Ground Tire Rubber Foams Containing Expandable Graphite", Polymer (Korea), vol. 28, No. 5, pp. 412-425, 2004. 

  5. B. Dittrich, K. A. Wartig, D. Hofmann, R. Mulhaupt and B. Schartel, "Flame Retardancy Through Carbon Nanomaterials : Carbon Black, Multiwall Nanotubes, Expanded Graphite, Multi-layer Graphene and Graphene in Polypropylene", Polymer Degradation and Stability, vol. 98, pp. 1495-1505, 2013. 

  6. Youming Yu, Junfeng Hou, Zhiziang Dong, Cong Wang, Fengzhu Lu and Pingan Song, "Evaluating the Flammability Performance of Portland Cement-bonded Particleboards with Different Cement-wood Ratios using a Cone Calorimeter", Journal of fire sciences, vol. 34, No. 3, pp. 199-211, 2016. 

  7. A. M. Pereyra and C. A. Giudice, "Flame-retardant Impregnants for Woods based on Alkaline Silicates", Fire Safety Journal, vol. 44, pp. 497-503, 2009. 

  8. H. J. Seo, S. M. Kim and D. W. Son, "The Evalution of Flame Retardant Performance of the Wood-based Building Materials Applied to Carbon Materials", Journal of Korean Soc. Living Environ. Sys, vol. 21, No. 5, pp. 855-861, 2014. 

  9. O. D. Kwon, J. C. Lee, K. S. Seo, C. S. Seo and S. B. Kim, "Effect of Flame Retardants on Flame Retardancy of Flexible Polyurethane Foam",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ol. 24, No. 2, pp. 208-213, 2016. 

  10. J. M. Cha, S. H. Hyun, J. B. Kim and M. O. Yoon, "A Study on the Flame Retardant Performance of MDF Wood According to Flame Retardant Treatment Method",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vol. 25, No. 6, pp. 146-155, 2011. 

  11. B. K. Choi, W. K. Choi, Y. S. Kuk, H. G. Kim and M. K. Seo, "A Study on Thermal Behaviors of Expanded Graphite/Erythritol Composite", Appl. Chem. Eng., vol. 25, No. 5, pp. 463-467, 2014. 

  12. S. J. Park, K. S. Kim and J. R. Lee, "Thermal and Mechanical Interfacial Properties of Expanded Graphite/ Epoxy Composites", Journal of Korean Ind. Eng. Chem., vol. 15, No. 5, pp. 493-498, 2004. 

  13. S. Y. Park, D. H. Kim and H. S. Im, "The Experimental Study for the Combustion-Property of Sandwich Panels using ISO 5660 Cone Calorimeter",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vol. 1208, No. 4, 2006. 

  14. J. W. Lee, B. W. Lee, S. P. Kwon, B. H. Lee, H. S. Kim and H. J. Kim, "Burning Behavior of Flooring Materials in the Cone Calorimeter and Evaluation of Toxic Smoke", Journal of Mokchae Konghak, vol. 36, No. 1, pp. 45-53, 2008. 

  15. S. B. Kwak, C. H. Jung, J. D. Nam, J. H. Kim. M. A. Choi and J. H. Kong, "Fire Resistance and Thermal Stability Study of Fire-Retarded Polypropylene Systems by Using Cone Calorimeter and Thermogravimetry", Polymer Korea, vol. 24, No. 6, pp. 777-786, 2000. 

  16. S. H. Min, J. S. Sun, S. C. Kim, Y. M. Choi and S. K. Lee, "A Study on Fire Performance Evaluation of EIFS on Anti-Flaming Finish by Cone Calorimeter Test",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vol. 26, No. 3, pp. 106-111, 2012. 

  17. K. W. Lee, K. E. Kim and D. H. Le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Fiber Reinforced Plastic by Cone Calorimeter",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vol. 18, No. 2, 2004. 

  18. J. S. Jeon, J. K. Seo and S. M. Kim, "Suggestion of Thermal Environment Miniature for Evaluation of Heating Efficiency Based on Thermal Conductivity Measurement Method of Building Materials", Journal of Mokchae Konghak, vol. 39, No. 3, pp. 269-280, 2011. 

  19. W. S. Ahn, "Effects of GTR and Unexpanded Expancel Powders on Thermal Conducting Characteristics of Rigid Polyurethane Foam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3, No. 6, pp. 2846-2851, 2012. 

  20. J. H. Han, S. U. Kim and K. H. Lee, "Transfer Characteristics of Porous Metallic Salt-Expanded Graphite Reactive Media" The Korean Society for Energy, pp. 2076-2212, 1999. 

  21. S. J. Park, K. S. Kim and S. K. Hong,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Expanded Graphites by Wet Process", HWAHAK KONG HAK, vol. 41, No. 6, pp. 802-807,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