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브라켓의 변위가 비계 구조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Investigation of Bracket Deflection Influence on Structural Safety of Scaffold System 원문보기

한국안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32 no.3, 2017년, pp.66 - 73  

김동현 (대한산업안전협회) ,  이형도 (충북대학교 안전공학과) ,  원정훈 (충북대학교 안전공학과) ,  정성훈 (안전보건공단)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structural behavior of bracket scaffolds reflecting the influence of bracket's deflection. Even though the supporting condition of bracket scaffolds is different to that of general earth-supported scaffolds, there is no clear standards about the installation of bracket scaff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브라켓 처짐으로 인한 브라켓 비계의 거동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일반적인 비계인 베이스철물을 이용한 바닥지지 비계와 브라켓에 지지되는 브라켓 비계를 대상으로 유한요소 해석을 실시하였다. 비계기둥과 브라켓의 간격비를 매개변수로 변형특성, 조합응력비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가설 설정

  • 회전강성에 의해 연결부는 실제 거동은 힌지보다는 고정단에 가까운 거동을 나타내므로 정확한 거동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회전강성을 고려하여야 하나, 국내에 적용되는 클램프의 회전강성에 대해 적용할 수 있는 연구결과는 없다. 또한, 본 연구는 지점침하에 의한 거동 분석을 주 목적으로 함으로 시방서의 설계가정과 달리 비계기둥과 수평재의 연결은 연속으로만 가정하였다. 향후 클램프의 회전강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여 결과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
  • 바닥지지 비계의 경계조건으로 기둥 하단의 경계조건은 힌지로 가정하였으며, 브라켓 비계의 기둥 하단은 브라켓 위에 고정된 상태인 연속으로 가정하였다. 또한, 브라켓은 벽체에 고정되므로 벽체와 닿는 브라켓 지점은 고정단으로 가정하였다.
  • 따라서 브라켓 비계에서는 브라켓의 변위로 인해 비계 기둥에는 부등침하가 발생하여 부등 침하에 의한 추가적인 부재력이 비계 부재에 발생됨을 예측할 수 있다. 바닥지지 비계에서는 지점부 비계 기둥사이의 수직변위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부등침하의 영향이 고려되지 않는다.
  • 바닥지지 비계와 브라켓 비계의 기둥 부재에 적용된 수직재와 수직재 연결은 가설공사표준시방서에 따라 연속으로 가정하였으며8), 비계기둥(수직재)과 수평재는 클램프로 연결되는 상태를 고려하였다. 가설공사표준시방서에서는 수직재와 수평재 연결을 힌지로 가정하나, 클램프 연결부는 실제로 회전강성을 가지며 클램프 상태 등 다양한 영향에 의해 회전강성의 차이가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9).
  • 7과 같다. 바닥지지 비계의 경계조건으로 기둥 하단의 경계조건은 힌지로 가정하였으며, 브라켓 비계의 기둥 하단은 브라켓 위에 고정된 상태인 연속으로 가정하였다. 또한, 브라켓은 벽체에 고정되므로 벽체와 닿는 브라켓 지점은 고정단으로 가정하였다.
  • 0-R의 경우는 벽 이음이 실시되는 비계기둥의 위치와 브라켓 위치가 일치되는 경우와 일치되지 않는 경우가 혼재하고 있다. 벽 이음 위치의 합리적인 위치를 판단하기 위해 비계기둥과 브라켓 간격이 1:3인 경우를 대상으로 벽 이음이 실시되는 비계기둥이 모두 브라켓 위에 설치되는 것을 가정하여 해석을 실시하였다(BS-3.0-R1). 발생된 최대 조합응력비는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브라켓 비계에 대한 국내의 연구의 현황은? 브라켓 비계에 대한 국내의 연구를 살펴보면, 주로 브라켓만을 대상으로 한 구조 실험을 통하여 브라켓 유형에 따른 안전내력과 파괴양상, 취약개소인 지지볼트 상ˑ하부 변형 등을 측정한 연구와 현장실태 조사 연구가 주를 이루며3,4), 브라켓 비계 전체 시스템의 거동을 분석하는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비계란? 비계는 작업자의 고소작업을 위해 필요한 가설 구조물로 지표 바닥면을 다진 후 베이스 플레이트를 설치하고 비계기둥을 설치하는 바닥지지 비계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건설현장에서 사용되는 비계는 추락위험과 붕괴 등의 중대재해가 발생될 확률이 높은 가설 구조물이며1), 관련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규칙과 지침에서 비계에 대한 구체적인 안전규정이 제시되어 있다.
브라켓 비계의 표준안전지침 현황은 어떠한가? 반면, 브라켓 비계는 시공기술의 정확성 확보와 하중에 대한 안전성 검토를 선행한 후 설치되어야 하나, 충분한 구조검토가 이루어지지 않고 일반적인 비계와 같은 규정으로 시공되어 브라켓 비계의 안전성에 대한 문제가 부각되고 있다2). 또한, 건설현장에서 자주 사용되고 있음에도 바닥지지 비계와는 달리 차별화된 명확한 표준안전지침이 마련되고 있지 않는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J. K. Park, "The Survey of the Current Situation for System Scaffolding in the Domestic Construction Site(II)",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 30, No. 2, pp. 35-40, 2015. 

  2. K. S. Gwang, "A Study on the Examination for Safety of the Bracket in a Scaffold Work", Kyung nam University, 1996. 

  3. K. S. Son and W. M. Gal, "Establishing the Structural Criteria to install Scaffolding-Use Bracke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 10, No. 4, pp. 87-96, 1995. 

  4. KOSHA, "A Study on Installation Specification of Bracket Scaffold", 1996. 

  5. J. L. Peng, C. W. Wu, S. L. Chan and C. H. Huang, "Experimental and Numerical Studies of Practical System Scaffolds", Journal of Constructional Steel Research, Vol. 91, pp. 64-75, 2013. 

  6. J. S. Lee, Y. S. Lee and T. K. Oh, "Effect of Boundary Condition on Buckling Characteristics of Pipe Suppor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 30, No. 2, pp. 41-47, 2015. 

  7. W. K. Yu, K. F. Chung and S. L. Chan, "Structural Instability of Multi-storey Door-type Modular Steel Scaffolds", Engineering Structures, Vol. 26, pp. 867-881, 2004. 

  8. MOLIT, Standard Specification in Temporary Construction, 2016. 

  9. H. Liu, Q. Zhao, X. Wang, T. Zhou, D. Wang, J. Liu and Z. Chen, "Experimental and Analytical Studies on the Stability of Structural Steel Tube and Coupler Scaffolds without X-bracing", Engineering Structures, Vol. 32, pp. 1003-1015,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