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친수성 아민화된 poly(styrene-ethylene-butylene-styrene) 고분자 분리막 제조 및 투습도 특성평가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Hydrophilic Aminated poly(styrene-ethylene-butylene-styrene) Polymer Membrane 원문보기

멤브레인 = Membrane Journal, v.27 no.4, 2017년, pp.336 - 343  

손태양 (경상대학교 나노신소재융합공학과 공학연구원) ,  김지현 (경상대학교 나노신소재융합공학과 공학연구원) ,  박치훈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공학과) ,  남상용 (경상대학교 나노신소재융합공학과 공학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요즘 건물 내에서의 생활이 많아진 현대인에게 실내공기의 질은 매우 중요한 개념이고, 새롭게 생각을 해 보아야 하는 문제이다. 실내공기의 질은 실내공기의 온도, 습도 등으로 결정이 된다. 그리고 실내공기 개선을 위해서는 에너지 소비가 심하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하여, 전열교환을 이용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려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열교환 분리막 적용을 위하여, poly(styrene-ethylene-butylene-styrene) 고분자친수성 치환기인 암모늄을 도입하여 아민화된 SEBS 고분자를 합성하였고, 합성고분자에 대한 특성평가를 진행하였다. 암모늄을 도입하기 위하여 클로로메틸화 반응과 아민화 반응을 통하여 합성을 진행하였다. 결과적으로 합성고분자는 반응용제의 함량이 높아질수록 함수율, 이온교환용량이 증가하였고, 전열교환 분리막에서 중요한 투습도 또한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se days, the quality of indoor air is a very important concept for modern people who have lived in building and is a matter of new thinking. The quality is determined by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indoor air. In addition,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energy consumption is severe for indo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많은 상용화 고분자 중에서 값이 저렴하고, 우수한 물성을 가지는 poly(styrene-ethylene-butylene-styrene) 고분자를 이용하고 친수성 치환기로 암모늄기를 도입하여 친수성 고분자로 합성하였고, 합성고분자를 이용하여 분리막을 제조한 후 전열교환 분리막으로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특성평가를 진행하였다. 특성평가로는 함수율, 이온교환용량, 투습도 그리고 기계적 강도 등의 특성평가를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HVAC (heating,ventilation, air conditioning) 시스템이란 무엇인가? 그리고, 건강한 건물 조건에는 실외의 신선한 공기를 이용하여 온도와 습도가 제어되어야 한다는 것이 있다. 따라서, 그중 온도와 습도를 제어하는 기술에서 전열교환을 사용하는 기술로서, HVAC (heating,ventilation, air conditioning) 시스템, 즉 난방, 환기, 냉방 이들을 통합한 ‘공기조화설비’는 실내 및 자동차 환경의 안락을 위해 쓰이는 기술이 있다. 이 시스템에서는 습하고 신선한 공기를 실내로 제공하고 건물 내의 공기를 대기로 배출하는 것이 주요 기능이며, 건물 내로 새로 유입하기 전의 신선한 공기를 배기 공기의 온도 및 습도와 거의 동일하게 조정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습기를 조절하는 기술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이렇게 실내에서의 적당한 습기는 인간이 살아가는데 이로운 부분이 많다. 하지만, 습기가 너무 많으면 곰팡이나 세균이 번식하기 쉬운 환경으로 변하여, 이로 인한 문제로 질병이 쉽게 유발될 수 있어서 습기를 조절하는 기술이 필요로 한다. 특히 우리나라는 반도로 삼면이 바다로 쌓여있고, 장마철의 많은 습기로 인하여 곰팡이와 세균의 번식, 제품 품질 저하, 식품안전 문제, 전기 안전 문제 등의 많은 문제가 있다[1-3].
실내공기질의 개선을 위하여 신선한 바깥공기를 유입하는 것에 문제점은 무엇인가? 따라서, 실내공기질의 개선을 위하여 신선한 바깥공기를 유입하여야 한다. 하지만, 여름철의 고온다습한 실외공기를 실내로 유입할 때 냉방으로 인한 에너지 소비가 커지고, 겨울철의 차가운 공기의 실내 유입은 난방 에너지 사용으로 인한 에너지 소비가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4]. 그리고, 건강한 건물 조건에는 실외의 신선한 공기를 이용하여 온도와 습도가 제어되어야 한다는 것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S. Park,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desiccant dehumidification system", KJACR, 35, 44 (2006). 

  2. H. Q. Li and L. W. Jin, "Analysis on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a household dehumidifier", IRACC, 1, 676 (2004). 

  3. A. Kodama, T. Hirayama, M. Goto, T. Hirose, and R. E. Critoph, "The use of psychrometric charts for the optimization of a thermal swing desiccant wheel", Appl. Thermal Engng., 21, 1657 (2001). 

  4. K. Y. Kim and C. I. Baek, "Ventilation system technology for indoor air quality improvement", Magazine of the SAREK, 31, 38 (2002). 

  5. J. J. Kim, J. Y. Yu, D. W. Cho, J. S. Park, and K. D. Song, "Research on HVAC system operating schemes for pressurization to reduce stack effect problems in elevator halls of high-rise office building", JAIK, 30, 239 (2014). 

  6. Y. K. Kim and T. W. Lee, "An analysis of the energy saving effect through the retrofit and the optimal operation for HVAC systems", J. Air-Cond. Refrig. Eng., 24, 343 (2012). 

  7. T. Y. Um and S. H. Lee, "Criteria on energy efficiency and initial cost of HVAC equipment in Korea", Proceedings of the SAREK 2016 winter annual conference, B. H. kang, pp. 217, Seoul, Korea (2016). 

  8. S. J. Kim, S. W. Yang, and D. J. Kim, "Poly(arylene ether ketone) with pendant pyridinium groups for alkaline fuel cell membranes", Int. J. Hydrog. Energy, 42, 12496 (2017). 

  9. D. J. Kim, C. H. Park, and S. Y. Nam, "Characterization of a soluble poly(ether ether ketone) anion exchange membrane for fuel cell", Int. J. Hydrog. Energy, 41, 7649 (2016). 

  10. K. H. Gopi, S. G. Peera, S. D. Bhat, P. Sridhar, and S. Pitchumani,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quaternary ammonium functionalized poly(2,6-dimethyl-1,4-phenylene oxide) as anion exchange membrane for alkaline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s", Int. J. Hydrog. Energy, 39, 2659 (2014). 

  11. X. Yan, G. He, S. Gu, X. Wu, L. Du, and H. Zhang, "Quaternized poly(ether ether ketone) hydroxide exchange membranes for fuel cells", J. Membr. Sci., 375, 204 (2011). 

  12. Q. Zhang, S. Li, and S. Zhang, "A novel guanidinium grafted poly(aryl ether sulfone) for high-performance hydroxide exchange membranes", Chem. Commun., 46, 7495 (2010). 

  13. W. G. Jang, S. H. Ye, S. K. Kang, J. T. Kim, and H. S. Hong,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ion-exchange membrane using sPEEK for fuel cell application", Membr. J., 21, 270 (2011). 

  14. H. S. Cheon, M. Oh, and S. U. Hong, "Preparation and their characterization of blended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of polysulfone and sulfonated poly(ether ether ketone)", Membr. J., 13, 47 (2003). 

  15. D. H. Lee, S. J. Kim, S. Y. Nam, and H. J. Kim, "Synthesis and ion conducting properties of anion exchange membranes based on PBI copolymers for alkaline fuel cell", Membr. J., 20, 217 (2010). 

  16. M. K. Jeong and S. Y. Nam,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organic solvent-resistant polybenzimidazole membranes", Appl. Chem. Eng., 28, 420 (2017). 

  17. J. W. Rhim, H. B. Park, C. S. Lee, J. H. Jun, D. S. Kim, and Y. M. Lee, "Crosslinked poly(vinyl alcohol) membranes containing sulfonic acid group: proton and methanol transport through membranes", J. Membr. Sci., 238, 143 (2004). 

  18. M. Yoshikawa, T. Yukoshi, K. Sanui, and N. Ogata, "Selective separation of water-ethanol mixture through synthetic polymer membranes having carboxylic acid as a functional group", J. Polym. Sci. A Polym. Chem., 24, 1585 (1986). 

  19. C. Stone, T. S. Daynard, L. Q. Hu, C. Mah, and A. E. Steck, "Phosphonic acid functionalized proton exchange membranes for pem fuel cells", J. New. Mater. Electrochem. Syst., 3, 45 (2000). 

  20. J. H. Choi and C. M. Park, "Fabrication and electr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ion-selective composite carbon electrode coated with sulfonated poly(ether ether ketone)", Appl. Chem. Eng., 24, 247 (2013). 

  21. R. M. Pacia, S. W. Pyo, and Y. S. Ko, "Synthesis and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guanidine-based $CO_2$ adsorbent", Appl. Chem. Eng., 28, 473 (2017). 

  22. S. Shishatskiy, J. R. Pauls, S. P. Nunes, and K. V. Peinemann, "Quaternary ammonium membrane materials for $CO_2$ separation", J. Membr. Sci., 359, 44 (2010). 

  23. H. Y. Hwang, H. C. Koh, J. W. Rhim, and S. Y. Nam, "Preparation of sulfonated SEBS block copolymer membranes and their permeation properties", Desalination, 233, 173 (2008). 

  24. R. Vinodh, A. Ilakkiya, S. Elamathi, and D. Sangeetha, "A novel anion exchange membrane from polystyrene (ethylene butylene) polystyrene: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Mater. Sci. Eng., Part B, 167, 43 (2010). 

  25. H. S. Choi, C. H. Rhyu, S. U. Lee, C. S. Byun, and G. J. Hwang, "Study on anion exchange membrane for the alkaline electrolysis", Trans. Korea. Hydrog. New. Energy. Soc., 22, 184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