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피 수산물 메뉴에 선호 조리법 적용을 통한 초등학교 급식 개선에 관한 연구
Study on Improvement of Elementary School Food Service by Applying Preferred Recipes to Disliked Seafood Menus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7 no.4, 2017년, pp.387 - 398  

성지혜 (신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미정 (신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attempted to develop a seafood menu by applying the most preferred recipes to the most disliked seafood menus in order to improve elementary schoolers' seafood menu preferences and consumption levels.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attitudes of 106 fifth graders about nine cooking methods and 37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는 예상된 결과로서 튀김과 강정류는 다량의 유지류 사용으로 인해 열량과 지방의 증가를 가져왔고, 기존 메뉴에 비해 신 메뉴에는 포함되지 않은 부재료인 건멸치, 건새우, 오이 등 채소가 가진 영양소 함량의 차이 때문으로 사료된다. Lee EK 등(2011)이 칼슘 강화 메뉴를 개발하여 여학생들의 영양소 섭취 개선 효과를 분석함에 있어 모든 영양소가 아닌 칼슘 섭취 수준 향상에 중점을 둔 것처럼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수산물 메뉴 섭취량 개선이 중요한 목표였으므로 레시피를 최대한 단순화시켜 조리법의 변화에 의한 영향을 극대화를 꾀하였다. 즉, 레시피 변화에 따른 미량 영양소의 섭취 수준이 감소할지라도 채소 등 기피하는 식재료를 의도적으로 첨가함으로써 메뉴의 선호도를 오히려 저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지 않고자 의도하였다.
  • 홍합은 특유의 질감, 향, 맛, 외관에 대한 거부감이 매우 높았으므로 홍합의 비율을 높게 구성할 경우, 구이와 볶음의 선호도는 현저하게 낮았고, 튀김과 강정 선호도 또한 낮은 편이었다. 따라서 튀김으로 개발하되 채소 등의 부재료의 양을 늘리기 위한 전략으로 홍합크로켓을 개발하였다. 북어는 재료가 가진 밋밋한 맛과 질감을 보완하기 위해 북어강정의 형태로 개발함으로써 맛과 질감을 개선하였다.
  •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기호도가 낮은 수산물 메뉴를 개선하기 위한 전략의 일환으로 기피하는 수산물 메뉴에 선호하는 조리법을 적용하여 신 메뉴를 개발하고, 메뉴 선호도, 섭취량 및 영양소 기여도를 살펴보았다. 먼저 부산 소재 D 초등학교 5학년 10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수산물을 싫어한다고 응답한 학생은 16.
  • 37가지 수산물 메뉴의 기호도 분석 결과, 최대 기피 메뉴 상위 5위에 포함되면서 최소 선호 메뉴에도 포함된 것은 홍합국, 북어국, 골뱅이무침으로 나타났다. 이들 메뉴의 주재료인 홍합, 북어, 골뱅이를 주재료로 활용하되, 학생들이 선호하는 조리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섭취량과 영양소 섭취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레시피 개발을 목표로 하였다. 선행 논문, 요리서, 인터넷 사이트를 중심으로 수산물 메뉴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였고, 신 메뉴의 레시피 및 조리공정을 초등학교 급식에 최적화하기 위하여 수차례의 실험조리를 통하여 분량을 조절하고, 조리시간 단축 및 맛 증진 방법을 모색하였다.
  • 이와 같이 다수의 연구에서 학교급식 수산물 메뉴 기호도 및 섭취 실태가 다루어졌으며, 학령기 아동과 청소년의 올바른 성장을 위하여 학교급식을 통한 수산물의 섭취 기회 증가 및 수산물 메뉴의 조리법 개발을 통한 소비 촉진의 필요성을 강조하였으나, 학교급식에 적용 가능한 수산물 메뉴 개발 및 평가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학교 급식에서 제공하는 수산물 메뉴의 기호도 및 선호하는 조리법을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기피하는 수산물 메뉴에 선호하는 조리법 적용을 통하여 새로운 레시피를 개발함으로써 기존 메뉴와 신 메뉴의 섭취량 및 기호도 변화를 살펴보고, 수산물 메뉴개발을 통한 학교급식 개선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 Lee EK 등(2011)이 칼슘 강화 메뉴를 개발하여 여학생들의 영양소 섭취 개선 효과를 분석함에 있어 모든 영양소가 아닌 칼슘 섭취 수준 향상에 중점을 둔 것처럼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수산물 메뉴 섭취량 개선이 중요한 목표였으므로 레시피를 최대한 단순화시켜 조리법의 변화에 의한 영향을 극대화를 꾀하였다. 즉, 레시피 변화에 따른 미량 영양소의 섭취 수준이 감소할지라도 채소 등 기피하는 식재료를 의도적으로 첨가함으로써 메뉴의 선호도를 오히려 저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지 않고자 의도하였다.
  • 초등학교 급식 질 개선의 일환으로 수산물의 기호도 및 섭취량 증가를 위한 메뉴를 개발하고자 부산광역시 소재 D초등학교 5학년 4개 반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내용은 식재료 종류, 수산물 메뉴 및 조리방법에 관한 기호도, 수산물 메뉴 기피 원인, 개선방향 및 지난 2년간 점심 급식에 제공된 37가지의 수산물 메뉴에 대한 선호도와 기피도를 포함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령기의 영양 상태가 미치는 영향은? 학령기의 영양 상태는 아동의 성장과 건강상태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뿐 아니라, 이 시기에 형성된 식습관은 이후 생애 주기에 걸쳐 식생활과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초등학교 고학년 시기는 식습관이 형성되어 가는 시기이므로, 올바른 식습관 형성은 청․장년기 및 노년기의 영양 상태를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인자가 된다(Kim YH & Jang MR 2007).
학령기 아동의 올바른 식습관을 위하여 초등하교에서 지원하고 있는 것은? 학령기 아동에게 흔히 나타나는 식행동인 편식, 결식, 지나친 다이어트, 인스턴트 식품의 잦은 섭취 등을 교정하고, 비만, 고혈압, 당뇨병 등 영양문제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학령기 아동이 올바른 식습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이 매우중요하다(Lee JE & Jung IN 2005; Lee OH 등 2008). 따라서 초등학교에서는 학교급식의 올바른 실천 및 식생활 교육을 통하여 아동의 편식을 예방할 뿐만 아니라, 건강한 심신의성장과 발달을 돕고, 식생활과 건강에 대한 바른 가치관을형성하도록 지원하고 있다(Han HY 등 1997).
올바른 식습관 형성은 무엇을 예측하는 중요한 인자인가? 학령기의 영양 상태는 아동의 성장과 건강상태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뿐 아니라, 이 시기에 형성된 식습관은 이후 생애 주기에 걸쳐 식생활과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초등학교 고학년 시기는 식습관이 형성되어 가는 시기이므로, 올바른 식습관 형성은 청․장년기 및 노년기의 영양 상태를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인자가 된다(Kim YH & Jang MR 2007). 학령기 아동에게 흔히 나타나는 식행동인 편식, 결식, 지나친 다이어트, 인스턴트 식품의 잦은 섭취 등을 교정하고, 비만, 고혈압, 당뇨병 등 영양문제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학령기 아동이 올바른 식습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이 매우중요하다(Lee JE & Jung IN 2005; Lee OH 등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hn HJ, Kim HS (2009) Comparative study of the effects of conventional cooking and oven cooking on the acceptability of the school lunch menu. J Korean Soc Food Sci Nutr 24 (5): 533-539. 

  2. An JY, Lee HS (2002) Assessment of the nutritional value of the plate waste generated in school foodservices in Kyungbuk area. J Korean Diet Assoc 8(3): 311-317. 

  3. Cho MY, Lee MJ, Lee YM (2003) A study on utilization and consumption promotion of seafood in elementary school lunch program. J Korean Soc Food Culture 18(2): 139-150. 

  4. Han HY, Kim EY, Park KW (1997)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on nutrition knowledge, food attitude, food habits, food preference and plate waste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served by the nutritional school lunch program. J Nutr Health 30(10): 1219-1228. 

  5. Jeong HS, Lee TN, Yoon JY (2013) Survey on Hanwoo usage and menu development using lean cut Hanwoo for school foodservice. Korean J Food & Nutr 26(4): 620-632. 

  6. Jung MH, Lee IS, Kim HS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cceptability of curried rice with cheonggukjang powder for development of high school foodservice menu. Korean J Food Cookery Sci 26(3): 290-299. 

  7. Jung HS (2012) Middle school students’ intakes of and preferences for seafoods provided by school foodservice in Gyeongnam area. Korea J Food Cookery Sci 28(6): 829-837. 

  8. Kim J, Ko SH, Kim JY, Kim HY (2000) A study on plate waste and nutrient intake of school lunches in elementary school. Korean J Diet Culture 15(1): 29-40. 

  9. Kim JH, Kim HS (2016) A survey on the satisfac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school meals and their food preferences. J Korea Contents Soc 16(5): 488-496. 

  10. Kim KA, Kim SJ, Jung LH, Jeon ER (2003) Meal preference on the school food servic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Gwangju and Chollanamdo area.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9(2): 144-154. 

  11. Kim SH (1999) A study on the management of food waste in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3): 747-754. 

  12. Kim SH, Kwak TK, Choi EH, Lee KE (2007) Food waste management practices and influencing factors at elementary school food services. Korean J Community Nutr 12(16): 815-825. 

  13. Kim SH, Kim MJ, Kim HJ, Song YO (2013)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kimchi menus for elementary school food serv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7): 1148-1156. 

  14. Kim YH, Jang MR (2007) A research on analysis of eating habits and textbook contents for efficient nutrition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angneung city. J Korean Diet Assoc 13(4): 379-388. 

  15.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013) Korea health statistics 201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V-2).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Chungbuk, Korea. pp 42-44. 

  16. Lee EK, Choi YS, Bae BS (2011) Effect of school lunch menu intervention through calcium enriched menus on nutrient intakes of high school girls. Korean J Community Nutr 16 (2): 265-277. 

  17. Lyu ES, Lee HK, Shin ES (2009)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seafood and its use in foodservice in Buasan. Korean J Food Cookery Sci 25(2): 189-198. 

  18. Lee JE, Jung IN (2005) The perception of parents on the eating habits and nutritional education of their elementary school children. Family and Environ Res 43(7): 67-77. 

  19. Lee JS, Kim GS (2000) Factors on the seafood preference and eating frequency of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6): 1162-1168. 

  20. Lee OH, Chang SO, Park MJ (2008) Comparison of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 and dietary habit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with and without nutrition educ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11): 1427-1434. 

  21. Lee SM, Jung HA, Park SH, Joo NM (2005) Selection of representative menu and development of standard recipes in middle & high school meals. J Korean Diet Assoc 11 (1): 28-43. 

  22. Moon HK, Park MS, Lee KH (2008) Nutrition management examined by plate waste measurement - a comparison with elementary schools and middle schools in the Changwon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13(6): 879-889. 

  23. Oh H, Jung HY (2013) A study on the eating experience and preferences for seafood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yeonggi-do area. Korean J Food & Nutr 26(3): 492-501. 

  24. Oh YM, Kim MH, Sung CJ (2006) The study of satisfaction, meal preference and improvement on school lunch program of middle school boys and girls in Jeonju. J Korean Diet Assoc 12(4): 358-368. 

  25. Yi NY, Kwak TK (2008) Nutrient intake determined by school lunch plate waste and by self reported food consumption of selecte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J Korean Diet Assoc 14(1): 1-12. 

  26. Yoon SJ, Kim HA (2012)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food waste and factors affecting plate waste rate of school foodservice in the Gyeongnam area. J Korean Diet Assoc 18(2): 126-14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