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풍촌층 고품위 석회석 광상 탐사를 위한 암석 물성 특성
Characterization of Physical Properties for Mineral Exploration of High-grade Limestone in Pungchon Formation 원문보기

지구물리와 물리탐사 =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v.20 no.3, 2017년, pp.137 - 145  

신승욱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자원탐사개발연구센터) ,  박삼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자원탐사개발연구센터) ,  조성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자원탐사개발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다양한 화학산업에서 사용되는 고품위 석회석은 국내 태백산 분지 일대 상부 풍촌층에 분포하고 있다. 물리탐사는 광범위한 지표면 아래의 지질구조를 조사하는데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다. 고품위 석회석 조사와 관련된 물리탐사 연구사례가 거의 선행되지 않았으므로 석회석 조사에 적절한 탐사전략이 아직 마련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암상별 물성연구를 바탕으로 최적의 고품위 석회석 탐사방법을 제안하고, 탐사결과 해석에서 필요한 데이터베이스를 축적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연구를 위한 암석시료는 정선 일대 하부 화절층, 풍촌층, 암맥류를 대상으로 현장 시추 코어에서 채취했고, 실내 물성 측정과 암석 기재를 수행했다. 풍촌층 암석의 대자율은 하부 화절층과 암맥보다 확연히 낮으므로 이러한 암상 경계는 자력 탐사로 구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중부 풍촌층 암석의 전기적 물성, 특히 충전성은 상부/하부 풍촌층과 비교하면 차이가 나므로 상부 풍촌층의 고품위 석회석은 유도분극 탐사로 찾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igh-grade limestone applied to various chemical industries is abundant within upper Pungchon formation in Taebaeksan basin, South Korea. Geophysical exploration is one of the most efficient methods to investigate subsurface geological structure in an extensive area. Since the geophysical explora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노두 관찰을 통한 현장 지질조사는 야외에 드러난 지질특성을 조사한다. 지표면 아래 노출되지 않는 지질특성은 단지 시추조사와 물리탐사에 의해서만 가능하다.
  • 본 연구는 고품위 석회석의 조사에 효과적인 물리탐사 방법을 파악하고, 암석의 물성 자료를 축척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됐다. 또한, 암상별 광물 조성 차이에 따른 물성 변화를 해석하고자 했다. 현장에서 채취한 암석 시료의 물성은 기존 측정시스템을 이용하여 얻었고, 육안 관찰 및 현미경 관찰을 통해 암석 기재를 함께 수행했다.
  • 본 암석 물성 연구는 국내 풍촌층에 분포하는 고품위 석회석을 탐사하는 데 효과적인 탐사방법을 제시하고, 탐사자료 해석에서 참고할 수 있는 기초적 데이터베이스를 마련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됐다. 고품위 석회석은 열수변질에 의해 형성되거나 특정한 퇴적학적 환경에 의해 형성되므로 두 가지 특성이 나타나는 각각의 시추 코어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했다.
  • 하지만 국내 고품위 석회석의 물리탐사 사례는 거의 보고되지 않았고, 연구가 현재까지 미진하다. 본 연구는 고품위 석회석의 조사에 효과적인 물리탐사 방법을 파악하고, 암석의 물성 자료를 축척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됐다. 또한, 암상별 광물 조성 차이에 따른 물성 변화를 해석하고자 했다.
  • (2000)에 따르면 고생대 해성 환경에서 퇴적된 지층으로 덮여 있고, 태백형 조선누층군의 층서를 따른다. 태백형 조선누층군의 캠브리아기 지층은 퇴적학적으로 퇴적환경에 따라 새롭게 분류했지만, 기존 연구와 혼선을 피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층서명을 이전 분류방법을 사용하기로 한다. 이 지역 하부 지질은 캄브리아기의 풍촌층과 화절층이고, 이를 오르도비스기의 동점층, 두무동층, 막동층이 정합의 관계로 덮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품위 석회석 적합성을 평가하는 연구에서 국내 석회암은 어떻게 평가 되었는가? 제지 산업의 원료로써 국내 고품위 석회석의 적합성을 평가하는 연구가 수행됐고(Lee and Noh, 2007), 산출상태에 따라 생석회 소성 특성을 파악하려는 연구가 수행됐다(Noh and Lee, 2008). 연구결과 국내 석회암은 적합한 석회석 품질을 갖춘 것으로 평가됐다. 지속적인 석회석 광산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지질조사를 통해 지층 경계와 고품위대의 연장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태백산 분지에 존재하는 고생대 탄산염암은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태백산 분지에는 석회암과 백운암으로 구성된 고생대 탄산염암이 널리 분포하고 있다. 백운암은 내화재, 유리, 제철 제강, 비료, 충전재 등의 산업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석회암은 시멘트 산업에서 사용되고 있다(Hwang et al.
백운암은 어디에 쓰이는가? 태백산 분지에는 석회암과 백운암으로 구성된 고생대 탄산염암이 널리 분포하고 있다. 백운암은 내화재, 유리, 제철 제강, 비료, 충전재 등의 산업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석회암은 시멘트 산업에서 사용되고 있다(Hwang et al.,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Bong, L.-S., and Chung, G.-S., 2000, Diagenetic history of the ordovician Chongson limestone in the Chongson area, Kangwon Province, Korea, J. Korean Earth Sci. Soc., 21, 449-46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Chough, S. K., Kwon, S. T., Ree, J. H., and Choi, D. K., 2000, Tectonic and sedimentary evolu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 review and new view, Earth Sci. Rev., 52, 175-235. 

  3. Hwang, J., Choi, J. B., Jeong, G. Y., Oh, J., Choi, Y., and Lee, J., 2013, Occurrence and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of dolomite ores from South Korea, J. Miner. Soc. Korea, 26, 87-9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Kim, E.-J., Shin, D., Shin, S., Nam, H.-T., and Park, S., 2015, Skarn zonation and rock physical properties of the Wondong Fe-Pb-Zn polymetallic deposit, Korea, Geosci. J., 19, 587-598. 

  5. Kim, Y.-H., Kim, G. B., Choi, S.-G., and Kim, C. S., 2016, SWIR application for the identification of high-grade limestones from the Uppper Pungchon Formation, Econ. Environ. Geol., 49, 335-34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KORES, 2004, KORES report (Limestone: Jungsun), KORES, 1-12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KORES, 2005, KORES report (Limestone: Samcheok and Pyeongchang), KORES, 1-8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Kwon, Y. K., Chough, S. K., Choi, D. K., and Lee, D. J., 2006, sequence stratigraphy of the Taebaek Group (Cambrian-Ordovician), mideast Korea, Sediment. Geol., 192, 19-55. 

  9. Lee, N. K., and Noh, J. H., 2007, An Assessment of utilization of the pungchon limestone in paper industry, J. Miner. Soc. Korea, 20, 339-34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Noh, J. H., and Lee, H. C., 2008, Calcination characteristics of high-purity limestone from the Pungchon limestone in the quicklime manufacture, J. Miner. Soc. Korea, 21, 209-22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Noh, J. H., and Oh, S. J., 2005, Hydrothermal alteration of the Pungchon limestone and the formation of high-Ca limestone, J. Geol. Soc. Korea, 41, 175-19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Noh, J. H., Oh, S. J., and Kim, K. J., 2005, Supergene alteration of high-Ca limestone from the Pungchon Formation, J. Miner. Soc. Korea, 18, 135-14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Park, S., Shin, S. W., Son, J.-S., and Cho, S.-J., 2016, Application of spectral induced polarization method for skarn metallic deposits exploration, Geophys. and Geophys. Explor., 19, 212-21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Ryu, I.-C., 2003, Intergrated stratigraphy approach for new additional limestone reserves in the Paleozoic Taebacksan Basin, Korea, Econ. Environ. Geol., 36, 59-7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Shin, S., Park, S., and Kim, H.-R., 2013, Physical Properties of Rocks at the Gagok Skarn Deposit, Geophys. and Geophys. Explor., 16, 180-18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Shin, S. W., Park, S., and Shin, D. B., 2015a, Development of a new equivalent circuit model for spectral induced polarization data analysis of ore samples, Environ. Earth Sci., 74, 5711-5716. 

  17. Shin, S. W., Park, S. G., and Shin, D. B., 2015b, Spectral-induced polarization characteristics of rock types from the skarn deposit in Gagok Mine, Taebaeksan Basin, South Korea, Environ. Earth Sci., 73, 8325-8331. 

  18. Shin, S. W., Park, S., and Shin, D. B., 2016, Spectral-induced polarization characterization of rocks from the Handuk iron mine, South Korea, Environ. Earth Sci., 75, 82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