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산강 하구의 수심 및 표층 퇴적물 특성의 변화와 퇴적환경
Long-term Changes of Bathymetry and Surface Sediments in the dammed Yeongsan River Estuary, Korea, and Their Depositional Implication 원문보기

바다 : 한국해양학회지 = The sea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22 no.3, 2017년, pp.88 - 102  

김영길 ((주)지오시스템리서치) ,  장진호 (국립목포대학교 해양수산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영산강 하구에서 측정된 수심 자료(1982년, 2006년, 2012년)와 표층 퇴적물 입도 자료(1997년, 2005년, 2012년)의 시계열 변화 연구를 통하여 하구역의 퇴적환경 변화를 규명하였다. 영산강 하구는 돌출암초를 가진 수로형 하구로서 서해안의 다른 하구들에 비해 좁고, 깊고, 반폐쇄적인 특징을 갖는다. 영산강 하구의 수심은 1982~2006년 동안 평균 2.1 m나 감소한 반면, 이후 2006~2012년 사이에는 0.3 m 증가하였다. 1982~2006년 사이의 급격한 수심 감소는 하굿둑 건설 이후 수로의 유로 변경과 급격한 유속 감소에 따른 니질(mud) 퇴적물의 퇴적, 그리고 2006~2012년 사이의 수심 증가는 주로 하구 남측 해역의 준설과 배수갑문 확장 공사에 따른 주변 지역의 준설 때문으로 해석된다. 하굿둑 건설 이후 하구의 수심 변화량과 조위 변화량 등을 고려할 때, 지난 24년 동안(1982~2006년) 영산강 하구에서 연간 8~9 cm/yr의 퇴적이 이루어진 것으로 평가된다. 영산강 하구의 표층 퇴적물은 90% 이상이 실트와 점토로 구성된 니질 퇴적물이며, 실트는 수심이 얕은 하구의 가장자리에, 점토는 수심이 깊은 하구 중앙부에 우세하게 분포한다. 표층 퇴적물의 평균입도(mean grain size) 변화는 1997년 평균 6.0 Ø, 2005년 평균 7.8 Ø, 2012년 평균 7.7 Ø로 1997~2005년 사이에 실트와 점토의 증가로 인해 전반적으로 세립화한 특성을 보인다. 담수 방류에 의해 하구로 유입되는 퇴적물의 양과 하구에 퇴적된 니질 퇴적물 양의 비교, 그리고 바다 쪽에서 하굿둑 방향으로 이동했음을 보여주는 실트와 점토 분포 패턴의 변화 등은 영산강 하구에 퇴적된 니질 퇴적물의 주요 기원이 강이 아닌 외해(offshore)임을 지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ong-term changes in bathymetry and grain size of surface sediments were investigated for understanding depositional sedimentary environments in the channelized Yeongsan River Estuary, Korea. The results revealed that an average depth of the estuary had decreased up to 2.1 m from 1982 to 2006, whil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산강이란? 영산강은 길이 115.5 km, 유역면적 3,371 km2를 갖는 남한 4위의 큰 강으로서 영산강 하굿둑을 통해 황해 남부로 흐른다. 목포지역의 지질은 선캄브리아기 편마암 복합체를 기저로 고생대 변성퇴적암류 - 변성평안층군과 이들을 관입하는 트라이아이스기 화강암류 그리고 이들 모두를 부정합적으로 덮는 백악기 화산암류 - 퇴적암류로 이루어져 있다(Kim et al.
영산강 하구에서 1982∼2006년 사이의 급격한 수심 감소의 원인을 하굿둑 건설 이후 급격한 하구 유속 감소에 따른 니질 퇴적물의 퇴적 결과로 보는 이유는? 영산강 하구에서 1982∼2006년 사이의 급격한 수심 감소는 하굿둑 건설 이후 급격한 하구 유속 감소에 따른 니질 퇴적물의 퇴적 결과로 해석된다. 왜냐하면 하굿둑 건설 이후 하구의 유속은 23-74%나 감소하였고(KHOA, 1965; NGI, 1982; KHOA, 1994; Kim, 1999; Byun et al,, 2004), 면적은 약 11% 감소(Fig. 12)하면서 하구 퇴적물에서 실트와 점토가 크게 증가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1982∼2006년 동안 2.
자연 상태의 하구의 특징은? 하구는 육지와 바다를 연결하는 점이적인 연안환경으로 생태적 가치가 높고, 담수와 해수의 영향을 동시에 받는 매우 복잡한 환경이다. 자연 상태의 하구에서는 주변 육지의 기후, 강수량, 하천 유량 등에 따라 육지로부터 유입되는 퇴적물의 양이 조절되고, 하구로 유입된 퇴적물은 하구의 지형, 주기적인 조석과 파랑 작용, 그리고 하구 내의 흐름에 따라 다양한 순환양상을 갖는다(Meade, 1969; Castaing and Allen, 1981). 우리나라 대부분의 하구 환경은 1980년대부터 하굿둑 건설, 항구 및 산업 단지 조성, 주변 육지의 개발, 도시화 등으로 인해 크게 변하였다(MST, 1993; Le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ng K.Y., T.I. Kim, Y.S. Song, J.H. Lee, S.W. Kim, J.G. Cho, J.W. Kim, S.B. Woo and J.K. Oh, 2013. Numerical modeling of sediment transport during the 2011 summer flood in the Youngsan River Estuary, Korea. J.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25(2): 76-93. 

  2. Byun D.S., X.H. Wang and P.E. Holloway, 2004. Tidal characteristic adjustment due to dyke and seawall construction in the Mokpo Coastal Zone, Korea. Eatu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50: 184-196. 

  3. Castaing, P. and G.P. Allen, 1981. Mechanisms controlling seaward escape of suspended sediment from the Gironde: a macrotidal estuary in France. Marine Geology, 40: 101-118. 

  4. Cho Y.G. and K.Y. Park, 1998. Heavy metals in surface sediments of the Youngsan Estuary, West Coast of Korea. J.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7(4): 549-557. 

  5. Cho Y.K., L.H. Park, C. Cho, I.T. Lee, K.Y. Park and C.W. Oh, 2004. Multi-layer structure in the Youngsan Estuary, Korea.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61: 325-329. 

  6. Folk, R.L. and W.C. Ward, 1957. Brazos river bar: a study in the significance of grain size parameter. J. Sedimentary Petrology, 27: 3-26. 

  7. FRPEB (Four-River Project Evaluation Board), 2014. Research and evaluation report of the four-river Project, 226 pp. 

  8. GROOF (Gunsan Regional Office of Oceans and Fisheries), 2010. Research service report on hydraulic changes of the Keum River Estuary, 346 pp. 

  9. Jeong D.D. and J.S. Keum, 1999. A study on the change of current in the vicinity of Mokpo Harbor due to the discharging from Yongsan River Estuary Weir. J. Mokpo National Maritime University, 7(I): 109-118. 

  10. Jeong D.D., J.W. Lee and S.G. Gug, 1999. A study on the change of water quality in the vicinity of Mokpo Harbor due to the discharges from Youngsan River Estuary Weir and Yongam-Kumho Sea Dike. J. the Korean Institute of Port Research, 13(2): 1-8. 

  11. Kang J.W., J.J. Song and N.S. Oh, 1998. Analysis of ebb-dominant tidal currents characteristics at Mokpo coastal zone. J.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ing, 18(11-2): 185-193. 

  12. Kang J.W., S.R. Moon and S.M. Ahn, 2002. Suspended sediment transport characteristics in the estuary with significant shallow water tides and tidal flat. J. Ocean Engineering and Technology, 4(3): 201-208. 

  13. KHOA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gency), 1965. Technical report, 57-104. 

  14. KHOA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gency), 1994. Technical report, 110 pp. 

  15. KHOA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gency), 2006. Tidal table (Korean coast), 298 pp. 

  16. Kim, H.D., C.S. Kim, J.H. Kim, Y.H. Jung and Y.H. Lee, 2014. A study on magnetic survey method for investigating underwater artifacts. Later a Joint Symposium of the Korea Society of Marine Engineering, 283 pp. 

  17. Kim K.S., 1999. A numerical simulation of M2 tide in Mokpo Harbour. J. Mokpo National Maritime University, 7(I): 97-108. 

  18. Kim T.I., 2002. Hydrodynamics and sediment processes in the Keum River Estuary, West Coast of Korea. Ph.D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uwon, 206 pp. 

  19. Kim Y.J., C.S. Lee, H.N. Kim and I.H. Hwang, 1999. Geochemistry and geochronology of the Cretaceous igneous rocks in the Mokpo area. J. the Korea Earth Science Society, 20(5): 505-519. 

  20. Kwon H.K. and S.H. Lee, 1999. Physical environment changes in the Keum River Estuary by the dyke gate operation: I. mean sea level and tide. J. the Korea Society of Oceanography, 4(2): 93-100. 

  21. Lee H.J., Y.S. Chu and Y.A. Park, 1999. Sedimentary processes of fine-grained material and the effect of seawall construction in the Daeho macrotidal flat-nearshore area, northern west coast of Korea. J. Marine Geology, 157: 171-184. 

  22. Meade, R.H., 1969. Landward transport of bottom sediments in estuaries of the Atlantic coastal plain. J. Sedimentary Petrology, 39: 222-234. 

  23. MROOF (Mokpo Regional Office of Oceans and Fisheries), 2015. Quantity takeoff report for the construction of governmentship mooring facilities in the southern harbor of Mokpo. 

  24. MST (The Ministry of Science-Technology), 1993. Sedimentary effects of break-water construction on coastal environments (I), 175 pp. 

  25. NGI (National Geographic Institute), 1982. Basic Survey of Coastal Area: Mokpo area, 41 pp. 

  26. Park L.H., 2001. Water movement and variations of temperature and salinity at the Youngsan River Estuary: winter and summer. Master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Jeonnam. 

  27. Park L.H., Y.K. Cho, C. Cho, Y.J. Sun and K.Y. Park, 2001. Hydrography and circulation in the Youngsan River Estuary in summer, 2000. J. the Korea Society of Oceanography, 6(4): 218-224. 

  28. Park Y.J., 1987. Ecological survey on the marine environments in Yeongsan River Estuary before and after the enclosure of a dam. Master Thesis, Chosun University, Gwangju. 

  29. Passega, R., 1964. Grain size representation by CM pattern as a geological tool. J. Sedimentary Petrology, 34: 830-847. 

  30. Woo J.S., H.S. Choi, H.J. Lee and T.H. Kim, 2014. Organic matter in the sediments of Youngsan River Estuary: distribution and sources. J.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23(7): 1375-138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